[include(틀:말레이시아의 역사)] ||<-4> {{{#fff {{{+1 '''말레이시아 공산반란'''[br]Communist insurgency in Malaysia}}}}}}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aysian_Rangers,_Malay-Thai_border_(AWM_MAL-65-0046-01).jpg|width=100%]]}}} || ||<-4> [[냉전]]의 일부 || || '''{{{#fff 날짜}}}''' ||<-3>[[1968년]] [[6월 17일]] ~ [[1989년]] [[12월 2일]]|| || '''{{{#fff 장소}}}''' ||<-3>[[말레이 반도]], [[사라왁]]|| || '''{{{#fff 결과}}}''' ||<-3>'''평화협정 체결'''|| || '''{{{#fff 영향}}}''' ||<-3>[[말레이시아|말라야]] [[공산당]]의 해산|| ||<-4> '''{{{#fff 교전국}}}''' || ||<-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6]] [[싱가포르]] [[파일:태국 국기.svg|width=26]] [[태국]] ||<-2>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width=26]] '''[[말레이시아|말라야]] [[공산당]]''' [[파일:북칼리만탄 공산당기.png|width=26]] [[칼리만탄|북칼리만탄]] [[공산당]] [[파일:타이 공산당 당기.svg|width=26]] [[태국 공산당]] || ||<-4> '''{{{#fff 지원국}}}'''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6]]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width=26]]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6]] [[뉴질랜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6]] [[미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6]] [[인도네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width=26]] [[남베트남]]}}}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6]] [[중국]] [[파일:소련 국기.svg|width=26]] [[소련]]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6]] [[북베트남]]}}} || ||<-4> '''{{{#fff 지휘관}}}'''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술탄 이스마일 나시루딘 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압둘 할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야히야 페트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아마드 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이스칸다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아즐란 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압둘 라작]]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후세인 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6]] [[마하티르 빈 모하맛]]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6]] 유소프 이삭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6]] 벤저민 헨리 시어스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6]] 데반 나이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6]] 위킴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6]] [[리콴유]] [[파일:태국 국기.svg|width=26]]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width=26]] 타놈 키티카혼 [[파일:태국 국기.svg|width=26]] 세니 쁘라못 [[파일:태국 국기.svg|width=26]] 큭릿 쁘라못 [[파일:태국 국기.svg|width=26]] 끄리앙삭 차마난 [[파일:태국 국기.svg|width=26]] 쁘렘 띤나술라논}}}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width=26]] 칭 펭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width=26]] 압둘라 CD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width=26]] 라시드 마이딘 [[파일:북칼리만탄 공산당기.png|width=26]] 봉키촉 [[파일:북칼리만탄 공산당기.png|width=26]] 앙추팅 [[파일:타이 공산당 당기.svg|width=26]] 파욤 쭐라논트}}} || ||<-4> '''{{{#fff 병력}}}''' || ||<-2>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width=26]] [[공산당|말라야 공산당군]] 8,000명 [[파일:북칼리만탄 공산당기.png|width=26]] [[공산당|북칼리만탄 공산당군]] 1,000명}}} || ||<-4> '''{{{#fff 피해 규모}}}'''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ed 전사}}} 155명 {{{#orange 부상}}} 854명}}}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ed 전사}}} 212명 {{{#orange 부상}}} 150명 {{{#green 투항}}} 117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8년]]과 [[1989년]] 사이에 말레이시아(말라야)에서 중국의 지원을 받은 말라야 공산당에 의해 일어난 게릴라 전쟁. == 배경 == 1948년과 60년 사이를 일컫는 [[말라야 비상사태]] 당시 말라야 공산당은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1차 반란 이후 말라야 공산당은 새로운 게릴라전을 준비하며 군대를 재편성하고 재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베트남 전쟁]]에서 게릴라전에 특화된 [[베트콩]]들의 게릴라 전술을 보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며 철저하게 반란을 준비했다. 당시 [[중국]]은 말레이시아의 공산화를 이루기 위해 [[덩샤오핑]]을 통해 2번째 반란을 목적으로 말라야 공산당에게 10만 달러 지원을 약속했다. == 초기 공세 == 준비를 마친 말라야 [[공산당]]은 2차 반란을 일으켜 말레이시아 북부 지역에 [[매복]]하여 17명의 보안관을 살해했다. 이 사건은 2번째 [[반란]]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렸다. 또한 말라야 공산당의 대원 수는 1,600명으로 증가하였다. [[중국]]은 여전히 몰래 은밀히 말라야 공산당을 포함한 [[공산당]]에게 지원을 했다. [[1969년]] [[말레이시아]] 정부는 말라야 공산당의 반란에 대응하며 특수부대를 창설했고, [[영국]] [[SAS(특수부대)|SAS팀]]의 도움으로 104명의 병사를 훈련시켰고, [[뉴질랜드]]의 도움으로 208명을 추가로 훈련시켰다. == 말라야 공산당의 내부 분열 == [[1970년]] 초 말라야 공산당은 태국인 신병들 중 90%가 정부의 스파이라는 황당한 보고가 들어왔다. 당원들은 서로가 서로를 스파이라고 의심하기까지 시작했다. 또한 지도자들의 다툼으로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과 [[혁명|혁명파]]인 2개의 파벌로 분리되었다. 그렇게 [[공산주의]] 운동은 3개의 다른 집단으로 분리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독자적인 군대를 가지고있었다. 이후 게릴라들은 "말라야 민족 해방군" 대신 "말레이시아 인민 해방군"으로 개칭되었다. [[1975년]] 사이에 여전히 공산당의 활동이 늘어난 것은 대중들에게 [[말레이시아]]-[[중국]]의 수교에도 불구하고 혁명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였다. == 말레이시아 정부의 대응 == [[말레이시아]]는 공산당의 반란과 테러를 퇴치하기 위해 보안 조치를 강력하게 강화했다. [[1975년]] 말라야 공산당의 활동이 최고조에 달했을때 말레이시아 정부는 민중의 공포를 악화시키지 않고 외국인의 투자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위해 비상사태를 선포하지 않았다. 말레이시아는 중국의 지도부에게 말라야 공산당의 무장해제를 촉구할것을 요구했다. [[1988년]] 말레이시아 북부 지역에 있던 말라야 공산당 지도부는 평화협상에 참여하자는 정부의 제안에 동의했다. 이유는 [[1980년]]대 당시 말라야 공산당은 [[동유럽]]의 공산국가들이 하나둘씩 무너지는 것을 보고 말레이시아에서 공산 정부를 구성할 기회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드렸다. == 평화 협정 == 말라야 공산당은 평화 협정에 서명하는 것과 함께 무장부대 해산과 무장해제를 선언했다. == 관련 문서 == * [[말라야 비상사태]] - 본 사태의 전신 * [[태국 공산반란]] - 본 사태와 유사하게 동남아시아에서 일어난 중국의 지원을 받은 공산당의 준동 [[분류:1968년/사건사고]][[분류:말레이시아의 역사]][[분류:동남아시아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