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해군)] ||||<:>{{{+3 {{{#gold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br] {{{+2 {{{#gold تنترا لاوت دراج مليسيا }}}}}} [br] {{{+1 {{{#gold Tenera Laut Diraja Malaysia }}}}}}|| |||| [[파일:말레이시아 해군 엠블럼.svg|width=150]] || |||| [[파일:말레이시아 해군기.svg|width=300]] || || {{{#fff '''창설년도'''}}} ||1934년 4월 27일||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 || {{{#fff '''소속'''}}} ||[[말레이시아군]]|| || {{{#fff '''군종'''}}} ||[[해군]]|| [목차] [clearfix] == 개요 == 말레이시아의 [[해군]]. == 상세 == 말레이시아 해군은 동남아시아에서 비교적 질이 높은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내에서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편이라 준수한 군함들을 구매하려 한다. 그래서 해군의 규모가 아주 크지는 않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내실이 있는 편이다. [[H&K XM8]]을 제식소총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해군 특수부대 [[PASKAL]]이 있다. 이 부대는 UDT와 해병대를 겸하는 해군 경보병부대로 육상기지가 있는 항만 지역의 해안방어, 수중폭파, 상륙작전을 맡는다. 가상 적국으로는 [[필리핀군]], [[태국군]], [[싱가포르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있고 [[대만군]]과는 협력관계가 강하다. 중국을 전통적으로 싫어해 온 반중 성향의 나라인 만큼 중국과 대치 중인 [[대만]]과 친해질 수밖에 없다. [[스프래틀리 군도]] 영유권 문제로 중국을 포함한 주변국들과 마찰이 있기 때문에, 빠르게 해군력을 확충하고 있다. 일본과의 관계가 좋아서 2007년부터 중고 순시선을 제공하였으며, 2016년에도 2척을 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766049|#]] 군함 명칭에 KD가 붙는 걸 볼 수 있는데, 'Kapal Di-Raja(왕립 함선)'의 약자다. == 해군력 == [include(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함선)] ||<-7>
'''{{{#fff 말레이시아 해군의 상륙함}}}'''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MRSS || LPD || - || - || - || - ||사업 진행 중 || ||<-7> '''{{{#fff 말레이시아 해군의 호위함}}}'''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마하라자 렐라급 호위함|마하라자 렐라급]] || 호위함 || 프랑스 / 말레이시아 || - || - || 5척 || || ||[[레키우급 호위함|레키우급]] || 호위함 || 영국 || 2척 || - || - || || ||<-7> '''{{{#fff 말레이시아 해군의 초계함}}}'''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케다급 원양초계함|케다급]] || 원양초계함 || 독일 / 말레이시아 || 6척 || - || - || || ||[[케리스급 연안전투함|케리스급]] || 원양초계함 || 중국 || 4척 || - || - || || ||[[카스투리급 초계함|카스투리급]] || 초계함 || 독일 || 2척 || - || - || || ||[[락사마나급 초계함|락사마나급]] || 초계함 || 이탈리아 || 4척 || - || - || || ||<-7> '''{{{#fff 말레이시아 해군의 고속정}}}'''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페르다나급 고속정|페르다나급]] || 고속정 || 프랑스 || 4척 || - || - || || ||[[한달란급 고속정|한달란급]] || 고속정 || 스웨덴 || 4척 || - || - || || ||[[제룽급 고속정|제룽급]] || 고속정 || 독일 / 말레이시아 || 6척 || - || - || || ||[[스리 티가급 고속정|스리 티가급]] || 고속정 || 말레이시아 || 2척 || - || - || || ||<-7> '''{{{#fff 말레이시아 해군의 소해함}}}'''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레리치급 소해함|마하미루급]] || 소해함 || 이탈리아 || 4척 || - || - || || ||<-7> '''{{{#fff 말레이시아 해군의 잠수함}}}'''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스코르펜급 잠수함|툰쿠 압둘 라만급]] || SSK || 프랑스 || 2척 || - || - || || ||<-7> '''{{{#fff 말레이시아 해군의 항공기}}}''' || || {{{#ffffff '''이름''' }}} || {{{#ffffff '''종류''' }}} || {{{#ffffff '''제조국''' }}} || {{{#ffffff '''운용''' }}} || {{{#ffffff '''비축''' }}} || {{{#ffffff '''추가''' }}} || {{{#ffffff '''비고''' }}} || ||[[ATR 72|ATR 72 MPA]] || 대잠초계기 || 이탈리아 || - || - || 2기 || || == 관련 자료 == [[http://en.wikipedia.org/wiki/Royal_Malaysian_Navy|(영어 위키백과)말레이시아 해군]] [[http://www.hazegray.org/worldnav/asiapac/malaysia.htm|World Navies Today: Malaysia]]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현대전]] [[분류:나라별 해군]][[분류:말레이시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