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공룡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러시 듀얼/공룡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MammothGraveyard-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4>'''맘모스의 무덤'''|| || 일어판 명칭 ||<-4>'''マンモスの[ruby(墓場, ruby=はかば)]'''|| || 영어판 명칭 ||<-4>'''Mammoth Graveyard'''||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3.] || 어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땅.] || 언데드족[*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공룡족'''. 다만 어째선지 원작 내용을 따라 그대로 '언데드족'이라고 언급한다.] || 1200 || 800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ammothGraveyard-JP-Manga-DM-NC.png|width=100%]] || [[파일:MammothGraveyard-JP-Anime-DM-NC.png|width=100%]]|| || 원작[* 8권의 104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어둠의 유우기]]의 초반 주력 카드 중 하나. 초기 카드답게 생김새와 카드 이름이 좀 이상한데, 분명히 맘모스의 무덤 그 자체가 아니라 맘모스의 무덤 속에 있는 유골이 살아 움직이는 것인데도 이런 이름이 되어 있다. 공격 기술은 '송곳니 돌진(鋭牙突進)'. || [[파일:external/blog-imgs-55.fc2.com/201211182107152d4.jpg|width=100%]] || || 맘모스의 무덤과 [[마법 효과의 화살]]을 융합하는 유우기 || || [[파일:b7ff325c.jpg|width=100%]] || [[파일:b03688ec.jpg|width=100%]]|| ||<-2> [[마법 효과의 화살]]에 의해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과 융합한 형태 || 대부분 비중은 낮은 편이지만, [[카이바 세토]]와의 2차전에서는 거의 승리에 가까운 활약을 보였다. 유우기가 [[마법 효과의 화살]]로 [[융합(마법 카드)|융합]]을 발사해서 '''이 맘모스의 무덤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과 [[초융합|강제로 융합]]시키는 기행을 선보인 것.''' 킹덤룰의 특성에 의해 어둠 속성의 맘모스의 무덤은 [[유희왕/속성|빛]] 속성의 궁푸눈과 궁합이 최악이라는 이유로 이렇게 강제 융합된 맘모스+백룡은 매 턴마다 몸이 부식되면서 이 카드의 공격력 1200만큼 공격력이 떨어졌다. 이것이 결정타가 되어 카이바를 패배 직전까지 몰아넣는다. 하지만 정작 TVA에서 처음 인섹터 하가와 듀얼할 당시 맘모스의 무덤이 땅 속성에게 환경 보너스를 주는 황야 필드에 힘입어 킬러비와 동귀어진한 적이 있다. 게다가 카드 이미지에서도 대놓고 땅 속성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원작과 애니메이션의 설정이 달라졌기 때문인데, 원작에서의 듀얼 존 필드는 '''종족'''에 따라 보너스가 부여되기에 언데드족인 맘모스의 무덤은 황야의 보너스 효과를 받는다.[* OCG에서도 [[종족 필드 마법]]들로 만든 것으로 재현했다. 몰론 [[속성 필드 마법]]도 따로 있지만 그건 좀 더 나중에 나온 카드고 원작과 딱히 접점이 없다.] 맘모스의 무덤의 속성이 언급된 것은 12권인 카이바와의 대결에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과 융합되면서 부식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어둠 속성인 언데드족'''이라 언급된다. 결국 만화판을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들어간 각색이 앞뒤가 맞지 않게 된 케이스라고 할 수 있겠다. 차라리 어둠 속성인 크리보를 주입시키는 것으로 변환시켰으면 그나마 말이 되었을 것이다. === 반다이판 === [[파일:MammothGraveyard-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맘모스의 무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マンモスの[ruby(墓場, ruby=はかば)]'''|| || 영어판 명칭 ||<-3>'''Mammoth Graveyar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악마족 || 2200 || 1300 || ||<-5>맘모스의 혼은 동료의 무덤을 계속 지킨다.|| ||<-5>'''~룰 ⑧~'''[br]서로의 덱이 없어질 때까지, 매번 이것을 반복한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MammothGraveyard-DM2-JP-VG.png|width=100%]] || [[파일:MammothGraveyard-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F8B848> {{{#000 한글판 명칭}}} ||<-4>'''맘모스의 무덤''' (비공식 번역명)|| ||<#F8B848> {{{#000 일어판 명칭}}} ||<-4>'''マンモスの[ruby(墓場, ruby=はかば)]'''|| ||<#F8B848> {{{#000 영어판 명칭}}} ||<-4>'''Mammoth Graveyard'''|| ||<#F8F8A0><-5> {{{#000 일반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DM2]])}}} || ||<-5><#F8B848> {{{#000 효과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4.] || 흑마족 || '''공룡족''' || 1200 || 800 || ||<-5>동료들의 무덤을 지키는 맘모스. 도굴꾼은 절대 용서치 않고 공격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DM2]])}}}|| ||<-5>필드에 있는 상대 몬스터 전부를 파워다운 시켜버린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적의 필드의 모든 몬스터를 파워다운 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DM1에서부터 등장. 어쩐지 원작과는 달리 '''공룡족'''이 되었다. 또한 이 카드와 다른 언데드족 몬스터를 융합시키면 [[팔레트 스왑]] 버전인 [[금빛 맘모스]]를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는 원작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활약을 반영했는지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500 내리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하급 몬스터치고는 능력치가 그럭저럭이라 장착 마법이나 필드 마법을 못 쓰는 유우기 덱 버전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카드였다. 다만 지속 효과가 아닌 기동 효과라 타이밍을 잘 노려서 꺼낼 필요가 있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기동 효과가 되어서 지속적으로 약체화시킬 수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708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맘모스의 무덤, 일어판 명칭=マンモスの墓場(はかば), 영어판 명칭=Mammoth Graveyard, 레벨=3, 속성=땅, 종족=공룡족, 공격력=1200, 수비력=800, 효과외1=동료들의 무덤을 지키는 맘모스. 도굴꾼은 절대 용서치 않고 공격한다.)] [[스타터 덱]] 유희편에서 첫 등장. DM 버전에 이어서 공룡족으로 나온데다 이번엔 속성까지 땅 속성으로 바뀌었다. 정말 유희왕 역사상 이렇게 툭하면 종족이 바뀐 몬스터는 드물 듯. 다만 애니에서도 이미지는 땅속성이었다. 저 움직이는 뼈다귀가 왜 언데드가 아닌 공룡인지부터가 불명. 거기다 맘모스는 엄연히 [[포유류]]인데 공룡족이라니… 사실 첫 등장 무렵에는 하급 몬스터들 중에서 [[외눈 거인]], [[실버 팽(유희왕)|실버 팽]]과 함께 가장 높은 공격력을 지닌 카드였지만, 이 때는 어드밴스 소환의 개념조차 없고 [[고대의 룰|최상급이건 상급이건 그냥 패에서 툭 낼 수 있던 시기]]라 [[블랙 매지션]]과 [[암흑 기사 가이아]]한테 묻혔다. 당시에도 나설 자리가 없었고 물론 지금도 다른 더 쓸만한게 많은지라 별로 쓸데가 없다. 그래서인지 7기판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이 나오면서 리스트에서 잘렸고, 결국 일본에서는 절판 카드가 되고 말았다. 먼 훗날 나온 [[A·O·J#A·O·J 언논 크러셔|A·O·J 언논 크러셔]]는 어째서인지 이 몬스터와 닮은 모습과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그쪽은 마치 원작의 맘모스의 무덤처럼 어둠 속성이고 빛 속성과 상성이 최악이기까지 해서 어쩌면 이놈보다도 원작에 충실할…리는 없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1999-02-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볼륨(유희왕)|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1999-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0-05-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B-08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青眼の白龍伝説 - Legend of BlueEyesWhiteDrago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0-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10 | EX-R [ 二人対戦用構築済みデッキセット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8-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2-009 | DUELIST LEGACY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105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Y-JPA16 | [[결투왕의 기억|15周年記念商品 決闘王の記憶 - 決闘者の王国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B-009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3-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Y-010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105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11-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GLD-ENA16 | [[결투왕의 기억|YUGI'S LEGENDARY DECK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B-EN009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Y-K010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B-K010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105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3-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Y-KRA16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듀얼리스트 킹덤 편 - 스페셜 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파일:マンモスの墓場.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맘모스의 무덤, 일어판 명칭=マンモスの墓場(はかば), 영어판 명칭=Mammoth Graveyard (미발매), 레벨=3, 속성=땅, 종족=공룡족, 공격력=1200, 수비력=800, 효과외=동료들의 무덤을 지키는 맘모스. 도굴꾼은 절대 용서치 않고 공격한다.)] 공룡족 하급 몬스터 중에서는 [[와일드 랩터]], [[셀레브론토사우루스]], [[그레이스사우루스]] 등 어택커가 될 몬스터가 충분히 있다 보니 공룡족 덱에서조차 입지가 마땅치 못하다. 일반 몬스터라는 특성을 살려보려 해도 공룡족 일반 몬스터의 채용 의의는 주로 [[슈퍼 킹렉스]]의 소생 대상인데, 상기 카드나 [[메가자우러]]를 채용하고 나서 이 카드까지 넣을 필요는 별로 없을 것이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하쿠부츠 칸]]이 [[오도 유가]]와의 듀얼 중 덱에 투입한 카드로 등장. [[슈퍼 킹렉스]]의 효과 코스트로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나온다. ||수록 시리즈 || ||<(> 2020-08-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2-JP004 | '''[[경악의 라이트닝 어택!!|デッキ改造パック 驚愕のライトニングアタ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21-01-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2-KR004 | '''[[경악의 라이트닝 어택!!|덱 개조 팩 - 경악의 라이트닝어택!!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금빛 맘모스]] === 맘모스의 무덤의 [[팔레트 스왑]]. === [[맘모 파슬]] === === [[맘모스 좀비]] === === [[빅혼 맘모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