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스터/박사)] [include(틀:포켓몬스터 소드·실드)] ||<-3> [[파일:매그놀리아박사.png|align=center&width=100%]] || || '''성별''' ||<-2> [[여성]] || || '''트레이너 계급''' ||<-2> [[포켓몬 박사]] || || '''지방''' ||<-2> [[가라르지방]] || || '''출신지''' ||<-2> 불명 || || '''가족 관계''' ||<-2> [[소니아(포켓몬스터)|소니아]](손녀) || || '''데뷔작''' ||<-2> [[포켓몬스터소드·실드]] || || '''세대''' ||<-2> 8 || || '''등장 게임''' ||<-2> [[포켓몬스터소드·실드|소드·실드]] || ||<|2> '''성우''' || [[츠다 쇼코]][* [[포켓몬스터 AG]]에서 [[이연(포켓몬스터)|이연]] 역을 맡았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 [[이선주]][*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오리지널]] 이후 '''22년 만에 고정 배역을 담당했다!''' [[포켓몬스터 XY&Z]]에서 단역인 [[버섯모]]로 잠시 출연한 적이 있어서 W에는 7년 만에 출연했다. 다만 매그놀리아박사를 담당하는 시점 기준으로 60대가 되어 열혈 소년 역할이 부담을 많이 주는 탓에 [[오바람]] 역은 [[임윤선(성우)|임윤선]]이 대신 맡았다. (다만, 95화의 [[로미(포켓몬스터)|로미]]는 그대로 유지됐다.)][* 한일 성우 모두 [[강철의 연금술사]] 2009년판의 [[이즈미 커티스]] 역을 맡았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목차] [clearfix] == 소개 == === 캐릭터 정보 === >'''내가 바로 매그놀리아란다. 환영한다, 젊은 트레이너들아.''' >'''이런... [[단델|너]]의 소원은 가라르지방의 모두가 강해지는 거 아니었니?'''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가라르지방]]의 [[포켓몬 박사]]로 주 연구 분야는 [[다이맥스]]. 가족 관계로는 손녀이자 조수인 [[소니아(포켓몬스터)|소니아]]가 있다.[* 이후 소니아가 박사 자리를 이어받는다.] === 그 외 === ==== 기타 ==== * 캐릭터 모티브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아니면 [[테레사 메이]] 수상인 듯하다. 매그놀리아박사의 헤어 스타일은 테레사 메이 수상에 가깝다. * [[마박사]] 이후 등장한 메인 포켓몬 박사들은 전부 나이가 젊은데[* 플라타느박사는 대략 30대 후반 언저리, 주박사와 쿠쿠이박사는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주누운박사]]도 노인이지만 메인 박사는 아니다.] 오랜만에 나이가 많은 박사인 동시에 오랜만에 등장한 엄한 인상의 박사이기도 하다.[* 다른 박사들과 달리 마박사처럼 대놓고 표정이나 인상부터가 깐깐해 보인다. 마박사나 순무도 우락부락한 인상과 달리 마음씨 좋은 어른이라는 걸 생각하면 이게 게임 프리크가 생각하는 보편적인 중노년 캐릭터의 모습인 듯하다. 물론 [[자우보|진짜 꼰대]]도 등장한 적 있다.] * [[주박사]] 이후 간만에 등장한 여성 '메인' 박사이다.[* [[버넷박사]]도 있지만 메인 박사는 아니다.] * 본가 게임 역사상 최초의 할머니 박사이다.[* 애니메이션까지 따지면 [[난천]]의 할머니인 [[채연박사]]가 최초의 할머니 박사다. 일단 난천의 할머니 자체는 원작 게임에도 나오긴 하지만 원작 게임에서는 마을 장로로 등장하기 때문에 본가 게임만 따지면 이쪽이 최초 맞다. 우연인지 영향을 받은 건지 둘 다 제법 엄해 보이는 인상.] * [[공박사]] 이후 오랜만에 튜토리얼에 등장하지 않는 박사다. 튜토리얼 소개는 [[로즈(포켓몬스터)|로즈]]가, 스타팅 포켓몬을 건네주는 건 [[단델]]이, 도감 평가는 로토무가, 스토리 중간중간 도움을 주는 건 [[소니아(포켓몬스터)|손녀]]가 가져가면서 공박사 못지않은 공기로 전락.[* 심지어 공박사보다 더한 취급. 공박사는 적어도 스타팅 포켓몬을 건네주거나 중요한 시점에서 플레이어에게 여정을 알려주고 마스터볼까지 주는 역할이라도 했다.] 전작의 박사인 [[쿠쿠이박사]]가 어마어마한 비중을 차지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게다가 연구소 위치도 주인공의 마을 근처나 대도시에 있던 이전 박사들과는 달리 2번도로 막다른 길에 있고 2회차 스토리에선 소니아가 박사가 된 이후 훨씬 더 접근성이 좋은 브래시마을의 포켓몬 연구소가 거점이 되면서 더더욱 존재감이 떨어진다. 여태까지의 클리셰를 안 좋은 쪽으로 파괴하면서 정말 의도하고 공기로 만든 박사 같아 보인다. * 안경줄을 손가락으로 꼬는 버릇이 있다. 손녀인 소니아도 비슷한 버릇이 있는데, 대화 도중에 종종 옆머리를 손가락으로 꼬는 모습을 보인다. ==== 관련 테마곡 ==== ||<-3><:>{{{#!HTML}}}|| ||<|2> '''매그놀리아 박사 연구소[br]{{{-2 (소드·실드)}}}''' || 작곡가 || 편곡가 || || 아다치 미나코 || 아다치 미나코 || ==== 삽화 ==== || [[파일:IMG_20191216_131748.jpg|width=100%]] || || 설정화 || ==== 국가별 명칭 ==== ||
{{{#ffffff 언어}}} || {{{#ffffff 이름}}} || {{{#ffffff 유래}}} || || 일본어 || マグノリア博士[br]마그노리아하카세 ||<|3> [[목련]]을 뜻하는 영어 '[[Magnolia]]' 에서. || || 한국어 || 매그놀리아박사 || || 영어 || Professor Magnolia[br]프로페서 매그놀리아 ||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include(틀:포켓몬스터/박사/애니메이션)] [[파일:매그놀리아 박사(애니-기사).png]] [[포켓몬스터 W|W]] 4화에서 고우가 보던 뉴스에 사진이 실렸다. 아쉽게도 본인이 등장한 것은 아닌지라 성우는 미정. 대신 손녀인 [[소니아(포켓몬스터)|소니아]]가 27화에 등장하면서 등장할 가능성이 생겼으나, 등장하지 않았다. 42화에 직접 등장. 채박사의 지인이라고 한다. 43화에서는 자신의 손녀 소니아에게 뭔가를 일러준다. 원래 매그놀리아 박사는 가라르파티클이 파워스폿만이 아니라 소원의 별에서도 발생하는 데다가, 소원의 별이 가라르 파티클을 흡수, 저장하는 성질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 성질을 이용하면 다이맥스를 자유롭게 할 수 있지 않을까 하여 [[매크로코스모스]]의 [[로즈(포켓몬스터)|로즈]]와 협력하여 다이맥스 밴드를 만드는 연구를 해 왔다. 그 후에도 가라르 파티클을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연구를 하였으나, 로즈의 눈에서 광기를 엿보고는 공동 연구를 사퇴했다고 밝혔다. === [[포켓몬스터 스페셜]] === 다이맥스를 연구하고 있으며 소드, 실드와 함께 다니고 있다. 차를 직접 운전하는 것을 좋아한다. 3화에서 다움에게 갈가부기에게 고전을 면치 못하는 소드와 실드에게 스마트로토무를 던지라고 지시한다. 스마트로토무에 도감 기능을 넣었다고 한다. 아직 주인이 없는 울머기를 다움에게 맡긴다. 6화에서 소드가 소니아와 동행하기 위해 랜스를 시켜서 차 부품을 부순 것을 눈치채고 소드에게 배려해줘서 고맙다고 한다. === [[포켓몬 GO]] === 제너레이션 도전 2020: 축하 리서치에서 [[윌로우 박사]]가 가라르 지방에 사는 연구자 중에 아는 사람이 있어서 [[소니아(포켓몬스터)|그 손녀]]와 이야기 나눌 기회가 있었다고 언급한다. [[분류:포켓몬 박사]][[분류:포켓몬스터 소드·실드/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