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02116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매지션즈 발키리어, 일어판명칭=マジシャンズ・ヴァルキリア, 영어판명칭=Magician's Valkyria,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레벨=4, 공격력=1600, 수비력=18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다른 마법사족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할 수 없다.)] 다른 마법사족을 공격 대상으로 할 수 없게 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선봉 대장]]의 공격 제한 효과를 마법사족 몬스터로 치환한 버전으로, 먼 훗날 나온 [[벌키리 나이트]]가 그렇듯 [[발키리]]의 [[투희]] 이미지를 따와서 동족을 수호하는 마법사족의 여전사라는 느낌으로 설계된 듯 하다. 선봉 대장과 마찬가지로 매지션즈 발키리어가 2장일 경우, 필드에 마법사족 이외의 몬스터가 나와있지 않는 한 상대는 직접 공격 이외의 공격을 할 수 없게 되는 락이 형성된다. 다만, 선봉 대장처럼 있는 패에서 몬스터를 끌고 나가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락을 성립시키는 건 좀 힘들다. 애초에 그런 류의 락이 먹혀들어가는 것도 과거에나 있었던 일이지 효과로 몬스터를 제거하는게 매우 흔하고 효과 무효화도 판을 치는 상황에서 선봉 대장이나 이 카드나 2장 모아봤자 금방 뚫려버리고 말기 때문에 굳이 기를 쓰고 락을 걸 이유도 없다. 이 카드의 능력치는 공격력 / 수비력의 밸런스가 좋은 편이지만 현 환경에서 과신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한다. 공격력은 서브어태커 정도 수준밖에 안 되고 수비력도 영 좋지 못하다. 결국 2장으로 락을 걸 수 있다는 것이 거의 유일한 존재의의지만 그 락도 크게 의미가 없는 환경이 되어버렸기에 이 카드는 활용하기 힘들다. 나올 당시에는 그래도 마법사족 덱에서 어느정도는 써볼만했지만 점점 더 좋은 카드들이 나오고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면서 이 카드는 자리를 거의 잃어버린 것. 실용성은 낮지만 유명한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 중 하나인지라 인기는 참 많고, 단지 저것 때문에 덱에 투입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미소녀 카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블랙 매지션 걸]]과 일러스트가 비슷하다는 것도 특이한 점. 블랙 매지션 걸을 좀 더 성숙한 느낌으로 만든 것 같은 분위기지만 정확한 관계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일러스트 외의 연관성은 마법사족이라는 것 정도밖에 없다. 의외로 블랙 매지션 걸과는 달리 해외로 수출되는 과정에서도 일러스트에 아무 수정도 가해져있지 않다. 한국에서는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2]]에서 처음 발매되었는데, [[시크릿 레어]]라서 그런지 한 '''박스'''를 통째로 사도 얼굴 구경하기 힘들 정도로 안 나오는 카드. 그 후 [[골드 시리즈]] 2010에서도 풀렸는데, 그게 또 하필이면 --토 나오게 안나오는-- [[노멀 레어]]… 때문에 국내 정발 카드들 중에서 매우 비싼 시세를 자랑한다. 이 녀석의 시세가 어느 정도냐면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다음 간다!''' 노말인데도 10000원 이상이나 하니 말 다했다. 정식 발매 이전까지는 '매지션즈 발키리아'로 통용되었으나, 이후 현재의 카드명대로 발키리'''어'''로 번역되어 출시되었다. 이후로도 다른 [[발키리어]] 카드들 또한 이 표기를 따라가게 되었다. 정작 나중에는 [[극성천#극성천 발큐리아|극성천 발큐리'''아''']]가 나와버림으로써 더더욱 헷갈리게 되었다. || [[파일:magicians-valkyria-yu-gi-oh-pyramid-of-light-017.jpg|width=100%]] || [[파일:magicians-valkyria-yu-gi-oh-pyramid-of-light-074.jpg|width=100%]] ||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 || 원래 OCG 오리지널 카드로 나온 몬스터이나,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작중에서는 1장밖에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소설판에 따르면 2장이 투입되었다고 언급된다.] 효과가 사용될 일은 없었으며, [[나이트 오브 화이트 드래곤]]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이후 [[성급한 매장]]으로 되살아나 [[마도사의 힘]]과의 콤보로 공격력을 3600까지 강화하여 푸른눈의 백룡을 쓰러뜨릴수 있었지만 [[공격유도 아머]]에 의해 [[어둠의 어릿광대 사기#어둠의 어릿광대 페텐|어둠의 어릿광대 페텐]]이 파괴되어 [[완전파괴-제노사이드 바이러스-|덱 10개만 갈아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바로 다음 턴에 나타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공격으로 또다시 파괴되었다. [[블랙 매지션 걸]]과의 일러스트 유사성 때문에 쥐어준 듯 하지만 작중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어 블매걸과의 관련성은 불명이다. 공격명은 '매직 일루전(マジック・イリュージョン / Magic Illusion)'.[*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 한국 개봉판에서는 '환상의 마법 돌풍'.]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42화에서 실체화된 [[블랙 매지션 걸]]의 정령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그냥 어태커로 썼던 유우기와는 달리 한 장을 일반 소환한 후 다른 한 장을 [[차원 융합]]으로 블랙 매지션 걸과 함께 불러내서 합계 2장으로 락을 거는 전법을 실제로 사용했다. 여기서 2장이 합동 공격할 때의 공격명은 '더블 매직 일루전(ダブル・マジック・イリュージョン / Double Magic Illusion)'. 단 [[유우키 쥬다이]]는 스스로 자신의 몬스터를 공격하게 만드는 함정 카드 [[가로막는 강적]]을 써서 발키리어의 공격을 강제로 유도하는 바람에 두 장 다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에게 자폭하면서 블매걸이 패하게 되었다. [[파일:1581fbb4ded3effea.jpg]]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 97화에서는 [[닥터 컬렉터]]가 [[DD(유희왕 GX)|DD]]와의 프로리그 챔피언 탈환전에서 사용. [[차원의 틈]] + [[차원 융합]]의 콤보로 단숨에 3장을 특수 소환하여 발키리어 록 콤보를 성사시켰다. 하지만 바로 다음 턴에 모처럼 선보인 전개가 무력하게 DD가 꺼내든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의 효과로 효과가 무효화당하며 록 콤보가 분쇄되었다. 아수라장이 된 경기장에서 셋이 모여 블루-D의 공격을 어떻게든 막아보려고 발버둥쳤지만, 결국 깨지고 필드에 있던 [[흑마도사 쿠란]]이 공격당하며 컬렉터가 패배하게 되었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도 잠깐 등장. 패러독스가 DM 시대를 공격하기 이전에 대회가 열리는데, 한 듀얼리스트의 양옆에서 같이 사진을 찍는 두명의 [[코스어|코스플레이어 걸]]중 한 명이 이 몬스터로 분장했다.[* 다른 한 명은 [[해피 레이디]]로 분장했다.][* 여담으로 이 사람은 주인공 삼인방이 패러독스를 저지해서 대회가 무사히 끝난 뒤에 (같은 이름의 몬스터의 세번째 효과 버전의) [[해피(유희왕)#해피 레이디 3|해피 레이디]]와 [[카드 엑스클루더]]를 코스프레한 여자 두분과 또 사진을 찍는다.] 인기가 많다는 점 때문인지 [[닌텐도 DS]]용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소환하면 평범한 하급 몬스터 주제에 전용 3D 등장 신이 있다. 등장 신이 어째 [[블랙 매지션 걸]]보다 더 공들여 만들었는지 3D 모델의 질도 더 좋고 움직임 없이 뻣뻣하게 굳어서(…) 등장하는 블랙 매지션 걸과는 달리 제대로 움직이며 포즈를 취한다. 등장 BGM은 빛의 피라미드에 나온 것 때문인지 그냥 DM 출신 취급을 받는다. 그 외에도 애니메이션에서는 블랙 매지션 걸처럼 작화의 질이 높아지고, 기합도 정말 멋지다. 이래저래 미소녀 카드 중에 보정을 받는 듯. 만화 [[지켜라! 슈고마루]] 6화에서는 헤비하라가 슈고마루에게 [[블랙 매지션 걸]], [[툰 블랙 매지션 걸]], [[환상의 견습 마도사]]와 함께 이 카드를 조공하려 했으나, 슈고마루는 드래곤족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양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3-05-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E5-005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5 - 遊戯パッ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8-12-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6-JPSE2 | [[매지션의 패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 限定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0-0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S02-JP002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2-08-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DB1-JP022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5-01-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X-JPM15 | [[듀얼리스트의 영광|15周年記念商品 決闘者の栄光 - 記憶の断片 - side:武藤遊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6-1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JUMP-EN009 | '''[[주간 소년 점프|SHONEN JUMP Promotional Card - November 2006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8-08-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JUMP-EN009 | [[주간 소년 점프|SHONEN JUMP FIFTH ANNIVERSARY COLLECTOR’S EDITION Promotional Ca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9-01-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8-EN006 | CHAMPION PACK GAME EIGH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11-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T07-EN022 | COLLECTIBLE TIN 2010 WAV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1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YR-EN023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RELOADE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K2-ENY17 | LEGENDARY DECKS I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2-KR063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0-01-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S02-KR002 | [[골드 시리즈|골드 시리즈 201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20-04-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X-KRM15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유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매지션즈 발키리어(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블랙 매지션 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