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Tac-50}}}'''[br]''Tactical Rifle - 50''[br]''전술 소총 - 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acfirearms.com/TAC-50A1-R2-e1452983284498.jpg|width=100%]]}}} || || '''종류''' ||[[대물 저격소총]]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0년]]~현재 || || '''개발 및 생산''' ||[[맥밀란#s-2.1|맥밀란 파이어암즈]] || || '''생산년도''' ||[[1980년대]]~현재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3]] [[캐나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프랑스]][br][[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3]] [[이스라엘]][br][[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3]] [[조지아]][br][[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3]] [[필리핀]][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 || || '''사용된 전쟁''' ||[[보스니아 전쟁]][br][[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br][[이라크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 {{{#white '''기종'''}}} || || '''원형''' ||M87, M88 || || '''파생형''' ||Tac-50A1[br][[Mk.15 SASR]][br]C15[br]SIG-50[br]LRT-3[br]스토커 SLAM || ||<-2> {{{#white '''제원'''}}} || || '''탄약''' ||[[.50 BMG|12.7×99mm NATO]] || || '''급탄''' ||5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볼트액션]] || || '''총열길이''' ||737mm || || '''전장''' ||1,448mm || || '''중량''' ||11.8kg || || '''탄속''' ||823m/s[* 750 gr A-MAX load 기준.] || || '''유효사거리''' ||1,800m || || '''최대사거리''' ||7,7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65.media.tumblr.com/tumblr_ns6bzxs9ze1qdzr9to2_r1_1280.jpg|width=100%]]}}} || || 2015년 [[폴란드]]에서 C15를 조준 중인 [[캐나다군]]의 모습 || Tac-50은 [[미국]] [[http://www.mcmillanfirearms.com/|맥밀란(McMillan Firearms)]]사의 군용 제품군 중 하나인 [[대물 저격소총]]이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Mk_15_sniper_rifle.jpg|width=100%]]}}} || || 미 해군 사양 Mk.15. 민간인으로 보이는 2명은 각각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 [[알버트 푸홀스]]와 라이언 프랭클린이다. || 이는 M87 및 M88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경량화와 높은 정확도에 적합한 회전식 볼트액션 채택, [[Mk.13 LRSR]]의 [[총열]] 제조사이기도 한 [[https://riflebarrels.com/|릴리야(Lilja)]]사의 경기용 총열과 발사 시의 반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거대한 소염기가, 총몸 뒤에는 유압식 개머리판이 적용되었다. 본래의 명칭인 Tac-50 이외에도 [[미 해군]] [[네이비 씰]]에서는 [[Mk.15 SASR|Mk.15 Mod.0 SASR]](특수임무소용 저격총, Special Applications Sniper Rifle)이라는 제식명으로, 또 다른 운용국인 캐나다군에서는 C-15 LRSW(장거리 저격소총, Long Range Sniper Weapon)로 불리기도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hootingillustrated.com/sig50-action.jpg|width=100%]]}}} || || SIG-50 || 그 외에는 [[SIG]]에서 SIG-50이라는 명칭으로 [[OEM]] 제조, 판매되고 있다. [[http://www.sigsauer.com/CatalogProductDetails/sig50.aspx|참조]] == 기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curiosityaroused.com/rob-furlong.jpg|width=100%]]}}} || || 세계 장거리 저격 기록을 갱신한 롭 펄롱 상병(Corporal Rob Furlong) ||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캐나다군]]의 PPCLI(Princess Patricia's Canadian Light Infantry: 패트리샤 공주 캐나다 경보병연대) 소속 저격 부대가 이 총을 써서 세계 최장거리 저격 기록을 갱신한 것으로 유명하다. 아나콘다 작전 중 Shah-i-Kot 골짜기에서 애론 페리(Arron Perry)가 '''2,310m''' 거리에서 이 총으로 적을 저격해 사살, 롭 펄롱(Rob Furlong)이 '''2,430m''' 거리에서 [[호주]] [[http://www.woodleighbullets.com.au/|우드레이 프로젝틸(Woodleigh Projectile)]]제 VLD탄[* 통짜 [[황동]]으로 제작된 고급 탄약이다. 10발들이 탄 박스 하나에 110달러라는, 한발 당 만원이 넘는 엄청난 가격을 자랑한다.]으로 사살해 세계 기록을 한 전투에서 '''두 번'''이나 갱신해버린 먼치킨 [[저격 소총]]. 이 기록으로 인해 [[베트남 전쟁]]에서 [[제2차 세계대전]] 시대 이후 최고의 [[스나이퍼]]로 꼽히는 [[카를로스 헤스콕]]이 기록한 '''2,286m''' 저격 사살 기록이 오랜 시간 끝에 깨졌다. 참고로 헤스콕이 이전에 이 기록을 세우는데 쓴 [[총]]은 같은 탄환을 쓰는 원조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그러다가 [[영국군]]의 크레이그 해리슨(Craig Harrison)이 [[Arctic Warfare|아틱 워페어]]로 2,475m 기록을 세워버리는 바람에 잠시 빛을 바래다가 또다시 한건 했는데, 캐나다 특수부대 [[JTF-2]]의 저격병이[* 현역 대원이라 기밀을 위해 신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총으로 '''3,450m''' 거리에서 저격에 성공하여 기존 세계기록을 아득히 넘어서는 기록을 세웠다.[* 기존 기록에서 무려 1km 가까이를 늘려버렸다.] 당분간 깨질 일은 없을것 같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354862|참조]][* 여담으로 이 사람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에 의용군으로 참전한다는 뉴스가 있었지만 본인이 부정하며 오보로 밝혀졌다.] 이후 2023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 보안국]] 소속 저격수가 3800m에서 저격을 성공하며 TAC-50의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 이 때 사용된 총은 Horizon's Lord라는 저격총이며 12.7×114HL탄을 사용하였다.[[https://www.plato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3|기사]] 이라크 전쟁의 영웅 [[크리스 카일]]이 338 라푸아 매그넘을 사용한 저격총으로도 알려져있다.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2poqx8tjzgi65olp24je4x4n.wpengine.netdna-cdn.com/american-sniper-bradley-cooper-rifle-training1.jpg|width=100%]]}}} || 일종의 자매품으로 [[.300 Winchester Magnum]]을 쓰는 Tac-300과 [[.338 Lapua Magnum]]을 쓰는 Tac-338이 있는데, Tac-338은 네이비 씰에 일부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화 [[아메리칸 스나이퍼]]의 주인공인 [[크리스 카일]](Chris Kyle)[* [[이라크 전쟁]] 중 뛰어난 사격 실력으로 유명했었던 [[네이비 씰]] 3팀 [[저격수]]로 전역 이후 전쟁 [[PTSD]] 환자들의 재활을 위한 봉사활동 도중 돌발적인 총격을 받아 사망하고 말았다.]이 [[Mk.11 SWS]] 및 [[Mk.13 LRSR]]과 더불어 애용하던 기종으로 알려져 있다. 가격이 50보다 저렴하다는 것도 장점.[* 조준경과 바이포드 패키지로 5,600달러정도 한다. 저렴하다고 해도 어지간한 돌격소총보단 훨씬 비싸지만...] == 등장 매체 == === 영화 === * [[아메리칸 스나이퍼]] [[파일:600px-AmericanSniper_McMillan_(9).jpg|width=500]] 크리스 카일이 TAC-338을 사용한다. * 하이에나 로드(Hyena Road, 2015) [[파일:external/www.imfdb.org/600px-HyenaRoad-TAC50-2.jpg|width=500]]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한 캐나다군 저격수들의 사투를 그린 영화. 라이언 샌더스와 트래비스가 C-15을 주로 사용한다. === 소설 및 애니메이션 === * [[레인보우 식스]] 이 소총을 쓰는 저격수가 테러리스트 한 명의 머리를 맞추자 '''"수프 깡통처럼"''' 머리가 박살났다고 한다. 말 그대로 [[수박]]. 그 다음 발은 표적이 고개를 홱 숙이는 바람에 빗나갔지만, 마지막으로 쏜 탄환은 일당의 [[자동차]] [[엔진]]을 뚫어버린다. * [[매드니스 컴뱃]] [[예수(매드니스컴뱃)|예수]]가 8편에서 사용한다. 조립식으로 분해해서 갖고 다닌다. === 게임 === [youtube(tx4OGhn-cqA)] *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 본래 50구경을 사용하는 만큼 화력과 사정거리는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게임 관련 정보#s-13.2|DLC]] 한정 무기인 BFG-50A 다음으로 절륜하지만 '''[[과금|돈 주고 사야 한다는 것]].''' * [[링 오브 엘리시움]] 초창기엔 스나이퍼 모드 전용으로 나왔으나 이후 일반모드에서 보급무기로 추가되었다 M200보다 더 우월한 공격력과 데저트 이글과 VKS에 쓰이는 공격력도 50구경 탄환이 필드에도 드랍되므로 여러모로 M200의 상위호환이다.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멀티플레이의 스나이퍼 전용 무장으로 나왔다. 작중 가장 대구경인 총으로써 '''희대의 밸런스 파괴~~죽창~~ 총'''이 되었다. [* 다만 꺼내는 시간 탄약 갈아 끼우는 시간이 매우 긴 게 흠. 그런데 한방만 보장한다면야...] 구경이 구경인 만큼 대미지가 상당히 나오는데 '''교전 구역이 짧아서 대미지 낙차 폭이 거의 없다. 즉 [[롱샷 스나이퍼 라이플|발 쪽만 안 쏘면 무조건 1방에 사망한다]].''' 근접에서 다른 유저를 만나도 1방에 끝내버리는 고수가 종종 눈에 보인다 ~~[[서든어택]]?~~ 무엇보다 대구경 특유의 묵직한 '''투쾅'''소리가 일품이다. 상대 머리가 일격에 박살 나는 소리와 같이 들리면 나에게는 쾌감 적에게는 공포다. * [[소녀전선]] [[http://m.dcinside.com/view.php?id=micateam&no=216455&page=1&recommend=1|5성 RF]]로 등장이 확정되었다. 단오절 파밍 이벤트 메인 보상으로 결정. [[TAC-50(소녀전선)]] 참조. * [[스페셜 포스]] Tac 를 그대로 발음하여 택이라고도 부르는데 처음 출시에는 볼트액션식이라 SV-98 과 비슷해서 사용하는 사람이 많았었지만 여러 가지의 이유로 금지총이 되고 말았다. 일부에서는 허용하는 곳도 있다. * [[오퍼레이션7]] 3월 26일에 업데이트 되었다. 반자동으로 변경된 [[바렛 M82|바렛 M107]]을 대신해서 볼트액션 50구경 저격소총 포지션으로 나온 듯 싶다. 개조폭은 [[색놀이]] 외엔 거의 전무하다는 게 단점. * [[톰 클랜시의 디비전 2]] [[톰 클랜시의 디비전 2/전문화|전문화 시스템]] 중 [[톰 클랜시의 디비전 2/전문화#s-2.3|명사수]]를 선택할 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로 나온다. 탄약 수급 조건이 헤드샷 사살이기 때문에 사격 실력만 된다면 탄약 수급이 수월하다는 점과 한 발 대미지가 게임 내 총기 중에서 최고라는 장점이 있으나, RPG 쪽에 과도하게 무게를 둔 게임 특성상 스탯과 특수효과를 제대로 챙기지 않으면 머리를 정확히 맞춰도 표적이 살아서 돌아다니거나 장갑병이 두른 방탄판을 못 뚫어서 고생하는 황당한 꼴을 볼 수 있다. * [[ARMA 2]] [[Advanced Combat Environment|에이스 모드]]에서도 등장한다. 현실성과 다양한 장비로 유명한 모드답게 이 녀석이 빠질 리가 없는데 서방제 대물 저격소총 중에선 유일한 볼트액션으로 나오며 그래서인지 잘 안 쓰일 듯싶지만 이 녀석에겐 큰 장점이 있으니... '''[[소음기]]가 장착된 모델'''이 나온다는 것. 어마어마한 소음 감소 효과를 자랑한다. [[충공깽]]... 그래서인지 쓰는 유저들이 있긴 하다. 그래도 볼트액션이라는 한계 덕에 대부분 [[AS50|홍차국의 대물 저격소총으로 갈아타거나]] [[바렛 M82|천조국의 성능을 인정받은 대물 저격소총]]으로 갈아타곤 한다. 다만 화력은 전부 같은지라 '난 볼트액션을 쓰겠어!' 하는 유저들은 사용해도 좋다. == 에어소프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bueg-31-cs)]}}} || || 에어소프트 Tac-50가 있기는 하나, 찾기 힘들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NhcoXQtH2M)]}}} || || 대신이라 하기는 뭣하지만, 홈메이드 Tac-338이 있다. 아마 [[아메리칸 스나이퍼]]의 영향인 듯.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조지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요르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필리핀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물 저격소총]][[분류:볼트 액션 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캐나다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