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워싱턴 내셔널스/로스터)] ---- ||
'''{{{#ffffff 맥켄지 고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라운드 지명선수)] ---- ||
'''{{{#ffffff 맥켄지 고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1번}}}''' || || [[조시 존슨(1986)|조시 존슨]][br](2018) || {{{+1 →}}} || '''{{{#2f241d 맥켄지 고어[br](2022)}}}''' || {{{+1 →}}} || [[루이스 리베라토]][br](2022) || ||<-5> '''{{{#ffffff [[워싱턴 내셔널스|{{{#ffffff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1번}}}''' || || [[세자르 에르난데스]][br](2022) || {{{+1 →}}} || '''{{{#fff 맥켄지 고어[br](2023~ )}}}'''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셔널스고어.jpg|width=100%]]}}} || ||<-2> '''워싱턴 내셔널스 No.1''' || ||<-2> '''{{{+2 맥켄지 고어}}}[br]MacKenzie Gore''' || || '''본명''' ||맥켄지 에반 고어[br]MacKenzie Evan Gore || ||<|2> '''출생''' ||[[1999년]] [[2월 24일]] ([age(1999-02-24)]세) || ||[[노스캐롤라이나|노스캐롤라이나 주]] 윌밍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화이트빌 고등학교 || || '''신체''' ||188cm / 8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3번,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 '''소속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2) [br]'''[[워싱턴 내셔널스]] (2023~)'''|| || '''계약''' ||1yr / $723,300 || || '''연봉''' ||2023 / $723,300 || || '''SNS''' ||[[https://www.instagram.com/mgore1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gore181,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워싱턴 내셔널스]]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노스 캐롤라이나]]의 화이트빌 고등학교 2학년 때 이미 12승 1패에 방어율 0.08, 88⅓이닝 동안 174삼진을 잡으며 일찌감치 주목받던 유망주였다. 18삼진을 곁들인 [[노히터]]를 작성하기도 했으며, 화이트빌을 1-A 주 챔피언쉽에 4년 연속으로 진출시키고 그 중 3번을 우승했다. 우승한 세 번의 대회에서 모두 MVP가 된 것은 덤. 그리고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에 스카우트되었지만 제대로 뛰기도 전에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 당시 2016년 68승 96패로 전체 3픽을 획득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지명되었다. 동기로는 [[헌터 그린]](2픽)과 [[로이스 루이스]](1픽) 등이 있었고, 2017 드래프티 투수 중에서는 가장 높은 실링과 나이에 맞지 않게 잘 다듬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드리스고어.jpg|width=100%]]}}} || 드래프트 후 리그 최고의 투수 유망주로까지 평가받았다. 2019년에는 하이 싱글 A-더블 A에서 20경기 9승 2패 방어율 1.69를 찍었고, 마이너리그 투수가 탈 수 있는 거의 모든 상을 석권했고, 체인지업, 슬라이더, 커브 모두 20-80스케일에서 60 이상을 받을 재목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 해 퓨처스게임에 출전도 했다. 다만 승격한 더블에이에서 급격한 볼넷/삼진 비율의 상승과 늘어난 피안타율로 인해 일말의 불안감을 줬고, 결국 시즌 종료 후 투구 매커니즘에 문제가 발견되며 파드레스 프런트의 골머리를 앓게 했다. 2020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순위 6위에 올랐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톱급 유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2020년에는 코로나 때문도 있지만 아예 공식 기록이 없을 정도로 구단 차원에서 매커니즘 수정과 장착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좋은 소식이 쉽게 들리지 않아 한때 공식 홈페이지 전체 4위까지 들던 유망주 랭킹은 80위 밖으로 밀려버렸고, 일부 언론에서는 사실상 또 다른 파드리스의 드래프트 잔혹사를 장식하는 선수가 되는게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 2021년에는 수정한 매커니즘을 몸에 장착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 봤고, 후반기로 갈 수록 예전 호평받던 구위를 어느 정도 회복한 모습을 보였다. 다행히도 2022년 스프링캠프에서는 매커니즘 수정이 완료되었는지 어느정도 상위 레벨 선수들을 상대로 호투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스프링캠프 내내 4점대 중반의 방어율을 찍었지만 마지막 등판에서의 만루홈런만 제외하면 2점대였을 정도로 나름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콜업을 앞둔 모습을 보여 파드리스 팬들을 설레게 만들었다. 하지만 [[션 머나야]], [[다르빗슈 유]], [[조 머스그로브]]의 선발진에 [[마이크 클레빈저]] 등이 복귀를 앞두고 있는 파드리스 선발진은 괜찮은 뎁스를 보이고 있어 바로 메이저리그 콜업은 안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2022 시즌 ==== 그러나 부상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던 [[블레이크 스넬]]이 10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면서 콜업이 확정되었다. 4월 15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홈 경기에서 선발 등판해 데뷔전을 치러 5⅓이닝 2실점 3K를 기록했고, 그 후로도 6선발 로테이션을 돌리기 시작한 파드레스에서 롱릴리프와 선발을 병행해 나오며 6월 초까지 방어율 1점대 중반에 4승 1패를 기록중이다. 오히려 너무 잘 던지다 보니 전 해를 아예 통째로 쉰 고어의 워크로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스태프가 골머리를 앓을 정도. 1913년 이후[* 방어율이 공식 집계로 들어온 해라 유일하다 봐도 무방]로 커리어 9번째 등판까지 55삼진 이상과 방어율 1.50을 달성한 유일한 신인 투수가 됐다. 이 성적을 쭉 유지할 리는 당연히 없겠지만, 그래도 2022년 6월까지 가장 유력한 신인왕 후보로 부상중이다. 관건은 1년을 아예 쉰 선수였고, 간신히 매커니즘 수정을 완료한 신인이다 보니 이닝을 얼마나 소화시킬지의 문제가 있지만. 지역 여론에서는 차라리 시즌을 롱릴리프로 소화하며 너무 많은 워크로드를 주지 않아야 혹시 모를 가을에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의견이 다수인 듯하다. === [[워싱턴 내셔널스]] === 2022년 8월 2일, [[C.J. 에이브럼스]], [[루크 보이트]], 마이너 리그 외야수 로버트 하셀 3세, 제임스 우드, 투수 하를린 수사나와 함께 [[후안 소토]], [[조시 벨(1992)|조시 벨]]을 상대로 워싱턴으로 트레이드되었다. 워싱턴 이적 후에 산하 마이너리그에서 2경기 뛰자마자 부상을 호소하면서 재활에 들어가느라 2022 시즌 메이저 등판은 없었다. ==== 2023 시즌 ==== 후안 소토를 팔면서 데리고 온 만큼 당연히 스프링캠프 명단에 들어가있고 실제 피칭을 하는 것을 보아 하니 재활을 어느 정도 마친 것으로 보인다. 4월 2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 선발등판해 5⅓이닝 3피안타 4볼넷 6K 1실점을 기록하며 워싱턴 데뷔전에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4월 7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에 선발등판해 6이닝 5피안타 1피홈런 2볼넷 6K 2실점을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드래프트 당시와 마이너리그 시절 20-80 스케일 기준 패스트볼 60, 커브볼 60, 슬라이더 60, 체인지업 60을 받을 정도로 모든 구종이 플러스 피치라는 평가를 받아 포스트 [[클레이튼 커쇼]]가 될 유력한 후보군 중 하나다. 패스트볼은 회전수는 높지 않지만 최대 98마일, 평균 95마일을 찍는 등 구속 자체는 상당히 우수하며, 나머지 60을 찍은 모든 구종도 충분히 헛스윙을 이끌어낼 정도로 좋은 구위와 커맨드를 가지고 있다. 단, 이 3가지 구종이 모두 쓸 만한 컨디션일 때는 아직 드문 편. 땅볼 유도는 평범하지만 메이저리그 데뷔 후 50이닝이 넘도록 피홈런이 단 한개밖에 없을 정도로 배럴 타구를 잘 억제하는 편이며, 삼진도 9이닝당 11개 가까이 잡는 중이다. 특히나 보통 갓 데뷔한 신인 투수들이 긴장감에 커맨드가 급격히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기 마련인데, 99년생이지만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메이저리그에서 3을 넘는 준수한 볼넷 삼진 비율과 스트라이크를 꽂아넣을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볼넷으로 자멸하는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는 점은 대단한 점이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맥켄지 고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16 || 4 || 4 || 0 || 1 || 70 || 4.50 || 66 || 7 || 37 || 4 || 72 || 1.471 || 83 || 0.8 || 0.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시즌) || 16 || 4 || 4 || 0 || 1 || 70 || 4.50 || 66 || 7 || 37 || 4 || 72 || 1.471 || 83 || 0.8 || 0.2 || == 기타 == [[파일: 1240012733.0.jpg]] * 상당히 인상적인 하이키킹 투구폼으로 국내 팬들에게 이름을 알렸다. 거의 무릎을 가슴까지 들어올려 던지는 폼이다. 고등학교 때는 팔 역시도 머리 위 높이 치켜들어 던지는 폼이었는데, 메이저리그 데뷔 후에는 키킹은 거의 유지하되 팔은 사진과 같은 모습으로 수정된 듯 하다. 지금은 평범이 아니고 매우 살짝 들고 던지는 폼으로 완전히 바꿨다. * [[뉴욕 메츠]] 소속 좌완 투수 [[브룩스 레일리]]와 외적 모습과 좌완인 점 등이 많이 닮았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윌밍턴(노스캐롤라이나)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은퇴, 이적]][[분류:워싱턴 내셔널스/현역]][[분류:등번호가 한 자리인 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