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석죽목]][[분류:꽃]] |||||||||| [[파일:external/www.hort.purdue.edu/cocksco3.jpg|width=300&height=200]] || ||||||||||<#00CC00><:>'''[[맨드라미|{{{#black 맨드라미}}}]]'''|| ||||||Celosia||||이명 : '''계관화'''|| ||||||||||<:><#BDFF12>''' ''Celosia cristata'' ''' (Nakai) T.B.Lee.|| ||<|8><#D7FFCE> 분류 || || [[계]] ||||||'''식물계'''|| || [[문]] ||||||속씨식물문(Angiosperms)|| || [[강]]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 [[목]] ||||||석죽목(Caryophyllales)|| || [[과]] ||||||비름과(Amaranthaceae)|| || [[속]] ||||||맨드라미속(Celosia)|| || [[종]] ||||||'''맨드라미'''|| ||[[파일:external/www.flowerspictures.org/cockscomb_9.jpg|width=100%]]|| [clearfix] == 개요 ==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비름과의 한해살이 풀.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씨앗은 [[한의학|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왜성종, 중생종, 고성종이 있고 꽃의 색상은 붉은색, 주황, 노랑, 분홍 등이 있으며, 꽃의 모양은 주먹형, 촛불형 등으로 나뉜다. 봄에 파종하고, 여름에 개화한다. 꽃은 [[강원도]]에서 [[화전(요리)|화전]]을 부칠때 [[고명]]으로 올리기도 한다. 이 꽃의 이름 "맨드라미"는 曼陀羅華’(Mandarava)라는 [[산스크리트어]](범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초기에는 '[[만다라]]'라고 불리다가 맨드라미로 변형되어 굳혀졌다. 꽃의 모양이 [[닭]]의 벼슬과 닮았다고 하여 '닭의볏' 혹은 '의볏'으로도 불렸으나, 현재는 [[경상도 사투리]]의 '달구비슬'처럼 사투리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표현으로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한자로는 鷄冠花(계관화)라고 한다. 원산지인 아프리카에서는 잎과 꽃, 그리고 열매를 먹는다. 꽤나 중요한 채소라고 한다. 꽃말은 충성. [[이상화(시인)|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 등장하는 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이 맨드라미가 아니라 [[민들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