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2> {{{#ece5b6 '''{{{+1 남송의 장수[br]영충의공(永忠毅公)[br]{{{+1 孟宗政 | 맹종정}}}}}}'''}}} || || '''{{{#fff 작호}}}''' ||영국공(永國公) || || '''{{{#fff 시호}}}''' ||충의(忠毅) || || '''{{{#fff 성}}}''' ||맹(孟) || || '''{{{#fff 이름}}}''' ||종정(宗政) || || '''{{{#fff 자}}}''' ||덕부(德夫) || || '''{{{#fff 본적}}}''' ||강주(絳州) || || '''{{{#fff 부친}}}''' ||맹림(孟林) || || '''{{{#fff 주군}}}''' ||[[영종(남송)|송영종]] || || '''{{{#fff 국적}}}''' ||남송(南宋) || || '''{{{#fff 생몰}}}''' ||1164년 ~ 122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송]]의 무장으로 자는 덕부(德夫). 남송 최후의 명장인 [[맹공]]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별명은 맹 할아버지.(孟爷爷) 1217년부터 7년 동안 경호 방면에서 금군에 항전하였다. == 생애 == 조상이 강주(絳州) 출신이었지만 아버지인 맹림(孟林)이 [[악비]]를 따라 종군하면서 집안이 수주(隨州)에 살게 되었다. 맹종정은 어린 시절부터 기백이 매우 컸고 담력과 지략이 있었으며 항상 전장에 뛰어들었다. [[개희북벌]] 당시 [[금나라]]의 장수 완안동(完顔董)이 양양부와 영주로 침공해오자, 맹종정은 험준한 곳을 차지하여 금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당시 선무사였던 오렵(吳獵)이 맹종정을 기이하게 여겼고, 이후 맹종정은 승절랑(承節郎), 조양현령(棗陽縣令)이 되었다. 그 뒤에 [[조방(남송)|조방]]과 오유승(吳柔勝)이 모두 맹종정의 재능을 천거하여 병의랑(秉義郎), 경서로 검할로 전임되었고 양양에 주둔하였다. 1217년, 금나라가 다시 남송을 침공하자 맹종정은 [[호재흥]], 진상(陳祥)과 함께 부대를 셋으로 나누고 복병과 함께 금나라의 침공을 물리쳤다. 금나라가 조양을 포위하자, 맹종정은 조양의 구원에 나서서 전공을 세워 조양군 절도사를 겸하였다. 1218년, 완안새불(完顔賽不)이 다시 조양을 침공하자, 맹종정은 호재흥과 함께 조양의 구원에 나서서 70번의 크고 작은 전투를 치렀으며, 금대를 하사받고 무덕랑(武德郎)이 되었다. 1219년, 완안와가(完顔訛可)가 다시 조양을 공격하자 맹종정은 완안와가의 침공을 물리쳤고 무공대부(武功大夫) 겸 합문선찬사인(閤門宣贊舍人)이 되었다. 금군과의 전투 과정에서 금군은 그를 맹 할아버지(孟爷爷)라고 불렀다고 한다. 공적을 세운 맹종정은 관직이 형악(荊鄂) 도통제(都統制)에 이르렀고 거듭 조양의 지현을 맡았으며, 우무대부, 화주 방어사, 좌무위장군을 지냈고 1223년에 사망하여 영국공(永國公), 태사로 추증되고 충의(忠毅)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송나라/인물]][[분류:후베이성 출신 인물]][[분류:1164년 출생]][[분류:122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