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크래프트 라이벌 매치)] || [[파일:external/96727311b63f77e4ba1b6f00ae8126ded936d15f702443967ed192a60fb539ce.jpg]] || --[[야민정음|대대록]]-- [목차] == 개요 == 前 [[프로게이머]] [[이윤열]]과 [[최연성]]의 라이벌 매치를 뜻하는 말. [[이윤열]]의 [[별명]] '''머신'''과 [[최연성]]의 별명 '''머슴'''에 앞글자를 붙여 머머전 혹은 머머록이라고 불렀다. 최연성 기준으로 공식전 전적은 16승 6패, 비공식전 포함 20승 9패의 전적으로 사실상 최연성의 일방적인 '''압살이었다'''. [[TG삼보 MSL]]에서 이윤열을 3:1로 이겨서 5회 연속 결승 진출을 좌절시켰고 [[하나포스 센게임 MSL]] 결승전에서도 최연성이 접전 끝에 우승했다. 또 [[EVER 스타리그 2004]] 8강에서도 [[최연성]]이 2:1로 이겼고 [[최연성]]은 이 대회에서 우승을 했다. 전적만 놓고 보면 라이벌 매치가 아닌 천적 관계로 최연성의 압도적 우세지만, 전설의 스타본좌인 [[임이최마]]의 구성원이며, 역대 테란들 중 손에 꼽힐 만큼 최고의 선수들이며 [[하나포스 센게임 MSL]] 결승전과 [[EVER 스타리그 2004]] 8강에서의 명승부들이 매우 인상적이었기 때문인지 꽤 [[인지도]]가 높은 라이벌 매치로 알려지게 되었다. 최연성이 이윤열보다 나이는 위지만, 프로게이머로는 후배라 후배가 선배를 밟고 올라온 케이스로 꼽힌다.[* 사실 두명의 커리어로 보면 오히려 임진록보다도 더 라이벌에 가깝다. 홍진호는 단 한번도 우승을 한적이 없고 중요한 승부에서 임요환에게 진게 컸다. 최연성은 5회 우승, 이윤열은 6회 우승 4회 준우승인데 사실 전체 커리어로 보면 이윤열이 우위고, 우승 횟수로 보면 6회vs5회라서 라이벌 소리 불려도 마땅하다. 메시와 호날두가 라이벌 소리 듣는것도 커리어가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진록, 리쌍록, 택뱅록처럼 라이벌전이 덜했던 것은 상대전적 차이가 너무 난게 컸다.] 재밌는 것은 이 두 명과 [[서지훈]]이 서로 물고 물리는 인간상성 관계라는 것. 서지훈은 이윤열에게 약했고, 반대로 최연성에게 매우 강했다. 서지훈 기준으로 최연성에게 7승 4패, 이윤열에게 6승 15패.[* 이러한 물고물리는 관계로 인해 초창기 테란 1인자였던 임요환과 엮어 4명을 4대테란으로 부르던 시기가 있기도 했다.] == 관련 문서 == * [[임진록(스타크래프트)]] * [[성전(스타크래프트)]] * [[택뱅록]] * [[꼼덴록]] * [[리쌍록]] * [[뇌덴록]] * [[광달록]] * [[팀달록]] * [[택마록]] * [[천사록]] [[분류:라이벌전/e스포츠]][[분류:이윤열]][[분류:최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