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en.academic.ru/Mercury_logo.png|width=10%]] || || [[파일:머큐리 LN7.jpg|width=100%]] || || {{{#fff '''LN7'''}}} || [목차] '''Mercury LN7'''[* 차량의 이름은 [[머큐리 링크스]]에서 따온 듯 하다. 해당 차량은 링크스의 파생 차량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포드 모터 컴퍼니]] 산하의 사라진 [[머큐리(자동차)|머큐리]] 브랜드에서 생산했던 차량이다. == 상세 == === 1세대(1982~1983) === || [[파일:머큐리 LN7 후면부.jpg|width=700]] || || 차량의 후면부 || [[포드 EXP]]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으로 [[1981년]] 2월 16일부터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1982년]]형으로 출시되었다. 차량의 개발은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가 생산된 것으로 유명한 [[캐나다]] [[온타리오 주]] 세인트 토마스 공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생산 역시 해당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EXP와는 날카롭고 경사진 앞유리, 눈에 잘 띄는 휠 아치, 넓은 차체 측면 몰딩 등을 공유했지만, 후면부 디자인이 EXP는 노치백 스타일을 가져갔다면, LN7은 대형 버블백 백라이트[* 해당 기능은 [[머큐리 카프리]]에도 적용되었다.]가 적용된 것이 차이점이었다. 그릴 역시 2개의 수평 디자인으로 된 EXP와는 다르게 LN7은 총 10개의 구명이 나 있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공기저항계수 Cd값 0.36을 찍었으며,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되기도 했다. [[파워트레인]]은 1.6L CVH형 I4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MTX-I형 4단 [[수동변속기]], MTX-III형 5단 [[수동변속기]] 및 FLC형 3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고 [[포드 EXP]]와 공유하였다. 차량의 전장은 4,326mm, 전폭은 1,674mm, 전고는 1,283mm, 휠베이스는 2,393mm, 공차중량은 929kg이었다. 출시 당시부터 단종될 때까지 TR 패키지가 적용되었는데, [[미쉐린]] 사의 TRX 타이어가 적용되었다. 해당 타이어는 정원 트랙터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타이어가 적용된 것으로 급제동 시 마모가 쉽게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었다. 현대 해당 제품군을 판매하는 업체는 하나 남은 상황이라 수급 역시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로 주행 금지 권고 및 보증 제도가 없음을 명시하는데다 노후 타이어리 40km/h 이상으로 주행 시 타이어가 터지는 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심지어는 완벽한 상태의 타이어마저도 심각하게 부패되었다는 이야기가 나돌 정도라면...] 시장에서의 기대 수준 이하[* [[포드 모터 컴퍼니]]는 해당 차량을 연간 70,000대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지만, 현실은 절반을 조금 넘는 35,147대 가량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의 판매고를 올린 탓에 출시 1년 만인 [[1983년]] 6월 30일에 마지막 차량이 생산라인을 빠져나가면서 단종되었다. 총 39,675대가 생산되었으며, 이후 [[2011년]] 브랜드 폐기 전까지 준중형 2인승 쿠페 차량은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머큐리의 차량)] [[분류:머큐리/생산차량]][[분류:1982년 출시]][[분류:198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