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먼동이 틀 때}}}'''[br](1927)}}}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먼동이 틀 때(1927).png|width=100%]][* "전10권(全十卷)"에서 권(卷)은 책이 아니라 영화용 필름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릴"과 같다. 1권(1릴)은 305미터에 해당된다. DAN SEI WEEKLY는 [[단성사]]에서 발행한 상영 영화 안내용 주보(週報)다.]}}} || || '''장르''' ||드라마 || || '''감독''' ||<|3>[[심훈]] || || '''각색''' || || '''원작''' || || '''총지휘''' ||조일제 || || '''주연''' ||[[강홍식]], [[신일선]] || || '''촬영''' ||하마다 히데사부로 || || '''미술''' ||안석영 || || '''무대장치''' ||이승만 || || '''제작사''' ||계림영화협회 || || '''개봉일''' ||1927년 10월 26일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50,0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심훈]]이 감독한 1927년작 영화. 소설 [[상록수(소설)|상록수]]의 그 심훈이 맞다. 심훈이 원작을 쓰고 각색, 연출까지 올라운더로 진행한 작품이며 심지어 이 작품에서 연기도 하였다. 사실 심훈은 이전에도 주연을 맡아 연기를 한 적도 있다. 심훈은 영화 각본과 평로에 큰 관심을 보여왔지만 감독작은 이 작품이 유일하다. 그마저도 현재는 [[유실 영화|필름이 유실]]된 상태. [[무성영화]]였다고 한다. 한국영화기자협회가 주최하는 올해의 영화상 시상식에서 민족영화상을 수상하였다. 당대에도 상당한 명작 취급을 받아 [[나운규]]의 [[아리랑(영화)|아리랑]]과 함께 베스트3에 들어가기도 하였다. == 등장인물 == * 김광진 - [[강홍식]] * 윤은숙 - 김정숙 * 조영희 - 한병룡 * 안순이 - [[신일선]] * 안병수 - 이진원 * 박철 - [[주인규]] * 팽첨지 - 박제행 * 여급 - 서화정 == 줄거리 == 감옥에서 출소한 광진([[강홍식]])이 순이([[신일선]])이 일하는 식당에서 돈을 흘리는데, 순이의 오빠가 돈을 들고 튄다. 순이는 그 돈을 대신 갚아주게 되고, 광진은 순이를 좋아하게 된다. 일선은 영희를 좋아하고 있었는데, 조폭 두목([[주인규]])이 순이를 데려가려 하자 순이가 좋아하던 영희와 조폭이 싸우게 되고 광진이 이 조폭을 죽이면서 또 감옥에 가게 된다. [[분류:1927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없어진 영화]][[분류:무성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