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가박스/지점)] ||<-6><)>{{{#!wiki style="margin: -0px -5px" [[메가박스|[[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height=25&align=left]]]]}}}[[메가박스|{{{#fff MEET PLAY SHARE}}}]][br]'''{{{#fff {{{+2 메가박스 백석}}}}}}'''|| ||<-6>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메가박스 백석,너비=100%,높이=180px)]}}}|| ||<-2> '''영업시간''' ||<-4> '''2023년 1월 15일부로 영업종료''' || ||<-2> '''주소''' ||<-4>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고양)|중앙로]] 1036[br][[고양종합터미널]] 5층 || ||<-2> '''상영관''' ||<-4> 8개관 1,374석 || ||<-2> '''특별관''' ||<-4>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B8B; font-size: .8em" {{{#ffffff '''COMFORT'''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B8B 10%, #000 21%, #000); font-size: 1em" '''ATMO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B371; font-size: .8em" {{{#ffffff '''테이블석'''}}}}}} || ||<-2> '''큐레이션'''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2F7B; font-size: .8em" {{{#ffffff '''라이브뷰잉'''}}}}}} || ||<-2> '''부대시설'''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FC7A; font-size: .8em" {{{#000000 '''KIDS도서관'''}}}}}} || ||<-2> ''' 연계역 ''' ||<-4>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 || ||<-2> '''홈페이지''' ||<-4> --[[https://www.megabox.co.kr/theater?brchNo=4113| 메가박스 백석]]--[* 폐관 직후 사이트가 폐쇄되었다.] || {{{+1 MEGABOX Baekseok }}} [[파일:9163639543_f1281a559d.jpg]] [* 사진 속의 슬라이드(미끄럼틀)은 2020년 9월 철거되었다.]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메가박스]] [[영화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고양)|중앙로]] 1036 [[고양종합터미널]] 5층에 있으며, 2012년 12월 22일에 오픈했었다. 5층은 로비, 매표소이고 상영관은 6층에 있었다. 2023년 1월 15일, 10년 24일만에 영업이 종료되었으며 이후 동년 4월 28일 [[CGV 고양백석]]점으로 전환됐다. 이로 인해 고양시내의 CGV는 이제 4군데로 증가, 메가박스는 4군데로 감소된다. 이로 인해 메가박스에서 관람할 거면 가장 인근 직영점인 [[메가박스 백석벨라시타|백석벨라시타점]](舊 일산벨라시타) 또는 고양시내의 [[메가박스 킨텍스|킨텍스점]] 아니면 [[메가박스 고양스타필드|고양스타필드점]]이나 [[메가박스 일산|일산(위탁)점]]으로 가야 한다. == 상세 == [[버스 터미널]]인 [[고양종합터미널]]은 원래 [[일산신도시]] 개발에 맞춰서 [[1990년대]]에 지어질 예정이었다. 이전까지는 [[일산역]] 북쪽 구일산 지역에 있는 명성터미널을 사용했다. [[화정터미널]]은 고양종합터미널(백석터미널)이 나오기 전까지 임시 [[버스 터미널]]로 개장했다. 그러나 버스 터미널로 용지가 제한됐고, 결국 사업자가 나오지 못해 [[화정터미널]]은 임시터미널이 아닌 사실상 정규터미널로 정착해버렸고, 백석터미널은 [[2012년]]에 와서야 개장했다. 원래 고양종합터미널의 [[영화관]]부지는 [[CGV]]가 입점하기로 계약을 했으나 CGV는 고양종합터미널 사업이 계속 밀리자 [[2002년]] 입점계약을 [[손절]]해버리고 [[2007년]] [[웨스턴돔]]에 [[CGV 일산]]점을 열었다. 고양종합터미널의 남은 영화관 부지에 [[롯데시네마]]가 입찰을 시도했으나 롯데시네마 역시 고양종합터미널의 [[티스푼 공사]]에 [[2008년]] [[GG]]치고 나가버렸다. 그리고 그 자리에 [[메가박스]]가 들어와서 [[존버]]한 끝에 입점이 성사됐다. 그리고 이 선택은 [[신의 한 수]]가 되어 [[고양시]]에 [[메가박스]]를 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양시]]에 있는 [[영화관]]은 [[CGV 일산]]이 압도적으로 돈을 쓸어 담는다. 메가박스는 백석점 개점 당시 기준으로 [[메가박스 일산|일산점]], [[메가박스 킨텍스|킨텍스점]] 2개를 끼고도 장사가 신통치 않았다. 그러나 [[버스 터미널]]이 있는 백석점을 먹게 되면서 CGV 일산에 이은 [[고양시]] 매출 2위 [[영화관]]으로 성장했다. 그러자 자신감이 붙은 [[메가박스]]는 [[2017년]] [[메가박스 일산벨라시타|일산벨라시타점]]을 [[고양종합터미널]] 바로 옆에 있는 [[일산 와이시티]] 부속상가에 입점시키는 결정을 했다. [[고양종합터미널]] 5층에 입점해있는데, 터미널쪽과 다른 상업시설동에 위치해 있어서, 터미널 승강장에서는 메가박스 백석에 바로 들어갈 수 없었다. 1층으로 내려와서 롯데아울렛 방면으로 들어와서 5층으로 다시 올라가야했다. [[2017년]] [[롯데아울렛]] 백석점 2층, 3층 연결통로 개통으로 고양종합터미널에서 롯데아울렛을 거쳐서 메가박스로 입장 가능하다. 2015년부터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의 메인 상영관으로 지정되어 해마다 9월 쯤에 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영화제의 계획에 따라 영화제 기간 중 적게는 3~4개 상영관, 많게는 전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같은 건물 4층엔 영화제의 사무국이 위치하고 있어서 특별한 사정이 생기는 한 계속해서 영화제가 열릴 가능성이 크다. [[2023년]] [[1월 15일]] 영업을 끝으로 약 10년 24일간의 영업을 종료한다.[[https://megabox.co.kr/support/notice/detail?artiNo=10748|#]] 메가박스 백석에 사람이 없어서 파리만 날리는 영화관이 아님에도 갑자기 문을 닫게 됐는데, [[고양종합터미널]] 측과의 계약 연장이 무산된 듯 하다. 폐점 공지 역시 1월 8일에 났는데, 메가박스 측에서 고양종합터미널 측과 협상을 마지막까지 시도했던 듯 하다. 아무래도 고양종합터미널 측에서 "10년 됐으니 임대료를 수십배 인상하겠다"고 했던 모양이다. 이러면 근처에 있었던 [[메가박스 일산벨라시타|벨라시타점]]과는 팀킬이 줄어들게 된 것. 2023년 4월 28일 원래 처음에 입점을 계획했던 영화관 브랜드 [[CGV 고양백석]]점으로 전환하고 입점했다. == 상영관 == 전부 6층에 있다. 모든 상영관에 [[하만]] 사의 MEGA SOUND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범 [[삼성그룹|삼성가]]인 [[중앙일보]] 그룹이라 [[삼성전자]]가 [[하만]]을 인수하고 나서 MEGA SOUND를 적용한 최초의 메가박스 지점이다. 메가사운드 영상이 나오는지라 [[Dolby Atmos]] 영상이 나오지 않는다. 상영관 스크린 비율은 시네마스코프 비율인 컴포트4관을 제외하고 나머지관은 모두 비스타비전 상영관이다. === 1관 226석 === === 2관 154석 === === 3관 154석 === === COMFORT 4관 275석 === 2.39:1 [[시네마스코프]] 비율의 대형 스크린으로 [[Dolby Atmos]]가 적용되어 있다. 이 관은 원래 [[CGV]]가 [[CGV 일산|일산점]]을 낼 경우 [[IMAX]]관으로 활용할 예정이었다. [[CGV 일산]]의 IMAX관이 276석, 메가박스 백석의 Atmos관이 275석이고 상영관 스크린 크기도 메가박스 백석 4관과 CGV 일산 IMAX관이 서로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CGV 일산 IMAX관 스크린이 약간 더 크다.) MX관이 일반적으로 듀얼 4K프로젝터가 적용되어 있는데 비해, 백석 컴포트 4관의 경우엔 싱글 4K프로젝터가 적용되어 있다. 그렇다고 해서 화면 밝기가 떨어지거나 하진 않지만, 듀얼 프로젝션이 아니라는 시스템 구성 상 MX 네이밍이 아닌 컴포트 네이밍으로 정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CGV 7관으로 변경된 상태이다. === 5관 === 본래 고양종합터미널 5층 옥상에 있던 야외상영관 OpenM관의 넘버링이 5관이었다. 하지만 건너편에 들어선 크고 아름다운 와이시티의 주민들의 컴플레인에 이어폰 관람, 상영횟수 축소 등으로 명맥을 유지해오다 결국 폐관했다. 5관이 빠졌으니 하나씩 관 숫자를 당겨서 재배치 해야하나 싶기도 하지만 상영관 재배치가 쉬운일도 아니고 이미 익숙해져 버린 면도 있어서 백석 메가박스 5관은 어쩌면 결번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이 자리엔 풋살장이 들어와 있다. === COMFORT 6관 105석 === 메가박스 백석의 가장 작은 상영관으로 컴포트 이전 명명은 TableM관 이었다. 모든 좌석에 고정식 테이블이 설치되어있다. 규모가 작은 상영관이라서 각종 상영회나 정기상영회, 영화제 대관 등의 행사가 가장 잦다. === 7관 154석 === 7관과 8관은 상영관 스펙 상 3D 상영이 가능하다. === 8관 154석 === 메가박스 필름소사이어티관이다. == [[교통]] == === [[철도]]교통 ===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 [[백석역]]에 연결되어 있다. === [[도로]]교통 === [[중앙로(고양)|중앙로]]와 [[일산로]]가 있다. === [[버스]]교통 ===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정류장 : [[고양 버스 88|88]], [[고양 버스 97|97]], [[서울 버스 773|773]], [[고양 버스 1001|1001]], [[고양 버스 1200|1200]], [[서울 버스 9707|9707]], [[고양 버스 010|010]], [[고양 버스 082|082]]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정류장 : [[파주 버스 56|56]], [[고양 버스 66|66]], [[고양 버스 67|67]], [[고양 버스 75|75]], [[고양 버스 95|95]], [[고양 버스 96|96]], [[파주 버스 200|200]], [[서울 버스 700|700]], [[고양 버스 830|830]], [[고양 버스 921|921]], [[고양 버스 1000|1000]], [[고양 버스 1001|1001]], [[고양 버스 1100|1100]], [[고양 버스 1200|1200]], [[고양 버스 1500|1500]], [[서울 버스 7727|7727]],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9700]], [[서울 버스 9701|9701]], [[서울 버스 9711|9711]] * 백석역(중) 정류장 : [[파주 버스 80|80]], [[파주 버스 150|150]], [[성남 버스 8109|8109]], [[광역급행버스 M7106|M7106]],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 [[고양 버스 010|010]], [[고양 버스 068|068]], [[고양 버스 089|089]] * 백석역6번출구 정류장 : [[고양 버스 88|88]], [[파주 버스 90|90]], [[고양 버스 010|010]], [[고양 버스 078|078]], [[고양 버스 082|082]] == 사건사고 == [[2014년]] 5월 26일 당 영화관이 입점한 [[고양종합터미널]] 상가에서 발생한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화재 사고]] 이후 영업이 정지됐다. 화재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없었지만, 건물 자체의 안전 점검 등의 이유로 터미널의 부대시설 진입이 통제되고 있어서 재개관이 이루어지지 않는 듯하다. [[홈플러스]] 고양터미널점도 진화 과정에서 매장에 물이 유입된 데다가 출입구 안전 확보 등의 이유로 영업이 바로 재개되지 못했다. [[2014년]] [[10월 8일]]에 영업이 재개됐다. 그 이후 원마운트점처럼 오픈M이라 불리는 야외 상영관이 추가됐다. [[2017년]] [[2월 27일]]에 다시 한번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784307.html|기사]] 다행히 사상자는 없었다. == 기타 == * 극장 로비 내에 있던 슬라이드(미끄럼틀)은 2020년 9월 현재 철거된 상태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메가박스/지점, version=923)] [[분류:메가박스 지점]][[분류:고양시의 영화관]][[분류:2012년 설립]][[분류:2023년 폐지]][[분류:고양종합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