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가박스/지점)] ||
{{{#!wiki style="margin: -5px -10px" [[지점|[[파일:fdgwefrf23r.jpg|align=center&width=100%]]]]}}} || || {{{#white '''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 || ||<-6>
<)>{{{#!wiki style="margin: -0px -5px" [[메가박스|[[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height=25&align=left]]]]}}}[[메가박스|{{{#fff MEET PLAY SHARE}}}]][br]'''{{{#fff {{{+2 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 ||<-6>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너비=100%,높이=180px)]}}}|| ||<-2> '''영업시간''' ||<-4> 10:00 ~ 22:00 || ||<-2> '''주소''' ||<-4>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11 [br] 파크하비오푸르지오 204동 지하 1층 || ||<-2> '''상영관''' ||<-4> 9개관 1007석 || ||<-2> '''홈페이지''' ||<-4> [[https://www.megabox.co.kr/theater?brchNo=1381|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메가박스]] [[영화관]].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11 ([[문정동(서울)|문정동]], 파크하비오푸르지오) 204동 지하1층에 위치해 있다. 위탁점으로 공식 상호명 "다함하비오 주식회사". [[2016년]] [[12월 23일]] 오픈하였다. == 상세 == 대체적으로 좌석에 콘센트가 있거나 각 좌석마다 공간이 여유롭고 테이블이 있는 등, 새로 오픈한 만큼 시설이 상당히 괜찮다. 작은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총 9관까지 있으나, 평일에는 상영하는 영화 수가 비교적 적다. 총 좌석이 50개가 안 되는 상영관도 있는 등 전체적으로 소소하고 아기자기한 분위기이다. [[송파 파크하비오 푸르지오]](999세대) [[아파트]] 단지에 부속되어 있다. == 상영관 == 모두 지하 1층에 있다. 9개관 1,007석이다. 의외로 규모가 좀 되는 [[영화관]]이다. 좌석 수가 1,000석을 넘는데다 상영관은 9개나 되니 말이다. === 1관 246석 === === 2관 67석 === === 3관 67석 === === 4관 110석 === === 5관 105석 === === 6관 116석 === === 7관 46석 === 가장 작은 상영관이지만 [[리클라이너]] 좌석을 도입했다. 상영관이 작다보니 소리가 머리 바로 뒤에서 들려서 군중신이 나오면 뒷 사람들이 얘기를 하는건가 착각이 들 정도라 소소한 재미가 있다. === 8관 126석 === === 9관 124석 === == 사건사고 == === 불법점포 === 법령상 파크하비오점은 불법점포에 해당한다.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285740|기사]] 참고. 원래는 공연장이나 강연장으로 만들어진 곳이라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토지 매각 당시 영화관 입점을 불허 했었다. 허나 시행사 측에선 영화관이 유동인구가 더 모인다는 이유로 영화관 입점을 추진했고, 서울주택도시공사가 관련 내용을 전달할 당시 송파구청 재무과에 통보한 내용이 구청 내에서 서로 공유가 되지 않아, 준공 승인 부서에서 승인을 내주며 개점이 가능했던 것이다. 때문에 개점한 지 얼마 안 되어서 강제 폐점 위기에 봉착했다. 해당 내용을 언급한 남창진 서울시의원은 불법이라고 지적했으나, [[송파구]]청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206404|적법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2017년]] [[10월 24일]] [[감사원]]의 감사 결과, 위의 내용대로 '''불법점포'''가 맞았다. 이에 감사원에서는 송파구 [[공무원]] 3인에게 징계를 요구하였으며, 남창진 [[서울특별시의회]] 시의원은 [[서울특별시]]에 대한 종합 감사를 요구하였다. 송파파크하비오점의 운명이 어떻게 될 지는 불투명해졌다.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8222|기사]] 하지만 문제점은 있어도, 어찌되었건 구청의 적법한 승인 절차를 받았기 때문에 [[과징금]] 외에 뾰족한 제재 수단이 없어서 그냥 계속 [[배째라]]식 영업을 하고 있다. 게다가 해당 점포는 직영점이 아닌 위탁점포로 메가박스는 단순히 승인 내역을 내세운 시행사에 의해 브랜드를 대여해준 개념이기 때문에 과징금을 메가박스 측에서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관을 보유한 시행사에 부과하고 있다. 그런데 단지 시행사는 '''[[2018년]] [[신의 한 수|법인 해산등기를 해버렸다!!!]]''' 애당초 특수목적회사(SPV)였기에 사업이 끝나면 해산을 하기 때문이다.[* 애초 시공사의 자금유동을 위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회사이니까 이게 가능했다.] 덕분에 과징금을 맞을 곳조차 명확하지 않아서 불법점포인데도 어떻게 할 방법이 없어서 정상영업중이다. === 기울어진 좌석 === 원래 공연장이나 강연회 등으로 사용하는 곳을 [[영화관]]으로 불법적으로 용도변경을 한 곳이라 좌석이 한 쪽으로 쏠려있어서 [[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039|기사화]]됐다. == [[교통]] == === [[철도]]교통 === [[서울 지하철 8호선]] [[장지역]] [[역세권]]이다. === [[도로]]교통 === [[송파대로]]와 [[새말로(송파구)|새말로]]가 있다. === [[버스]]교통 === *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정류장 : [[서울 버스 302]], [[서울 버스 303]], [[서울 버스 320]], [[서울 버스 333]], [[서울 버스 343]], [[서울 버스 345]], [[서울 버스 350]], [[서울 버스 360]], [[서울 버스 3322]], [[서울 버스 3420]], [[서울 버스 9403]], [[하남 버스 30]], [[하남 버스 31]], [[경기광주 버스 32]], [[성남 버스 100]], [[경기광주 버스 119]], [[성남 버스 331]], [[경기광주 버스 500-1]], [[경기광주 버스 1009]], [[경기광주 버스 1112]], [[경기광주 버스 1117]], [[구리 버스 1650]], [[이천 버스 G2100]], [[광역급행버스 M5342]], [[화성 버스 G6009]] * 장지역.가든파이브 정류장 : [[서울 버스 402]], [[서울 버스 440]], [[서울 버스 3426]] * 문덕초등학교, 문정고등학교 정류장 : [[서울 버스 301]], [[서울 버스 461]], [[서울 버스 3417]], [[서울 버스 3422]] * 건영아파트 정류장 : [[서울 버스 3011]] == 주변시설 == 바로 옆 건물이 [[가든파이브]]이고 여기에 [[CGV 송파]]가 있다. CGV 송파때문에 메가박스 파크하비오는 각 관의 크기를 줄였다. [[문정법조타운]]이 있어서 [[서울동부지방법원]],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서울동부구치소]]가 있다. == 기타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메가박스/지점, version=930)] [[분류:메가박스 지점]][[분류:송파구의 영화관]][[분류:2016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