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5><:> [[메시에 천체 목록|{{{#FFFFFF '''메시에 천체'''}}}]] || ||<:> [[메시에 107|{{{+1 '''M107'''}}}]] [br] 뱀주인자리의 구상성단||<:> {{{+1 ←}}} ||<:> {{{#000000 {{{+1 '''M108'''}}} [br] 큰곰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1 →}}} ||<:>[[메시에 109|{{{+1 '''M109'''}}}]] [br] 큰곰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3555|{{{+1 '''NGC 3555'''}}}]][br]사자자리의 타원은하||<:> {{{+1 ←}}} ||<:> {{{#000000 {{{+1 ''' NGC 3556'''}}}[br]큰곰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1 →}}} ||<:> [[NGC 3557|{{{+1 '''NGC 3557'''}}}]][br]센타우루스자리의 타원은하 || ||<-3><:> {{{#FFFFFF '''M108'''[br]{{{+3 '''메시에 108'''}}}[br]Messier 108}}} || ||<-3> [[파일:external/scienceblogs.com/m108-1.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1h 11m 30.97s || || {{{#FFFFFF 적위}}} || +55° 40’ 26.8” || || {{{#FFFFFF 별자리}}} || [[큰곰자리]] || ||<-2> {{{#FFFFFF '''겉보기 등급'''}}} || 10.7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SB(s)cd형 [[막대나선은하]] || ||<-2> {{{#FFFFFF '''거리'''}}} || 14,100,000 [[파섹|pc]] [br] 45,900,000 [[광년]] || ||<-2> {{{#FFFFFF '''질량'''}}} || 1.25×10^^11^^''M,,☉,,'' || ||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699.116110(±8.993775) km/s[br]([[적색편이]]량 : z = 0.00233(±0.00003)) || ||<-3> {{{#FFFFFF '''규모'''}}} || ||<-2> {{{#FFFFFF '''장축 지름'''}}} || 83,160 [[광년]] || ||<-2> {{{#FFFFFF '''겉보기 크기'''}}} || 8′.7 × 2′.2 || ||<-3> {{{#FFFFFF '''명칭'''}}} || ||<-3> [[메시에 천체 목록|M]]108, [[NGC]] 3556, [[UGC]] 6225, [[PGC 목록|PGC]] 34030, Surfboard Galaxy || [목차] == 개요 == 메시에 108(Messier 108, M108, NGC 3556, Surfboard Galaxy)은 [[큰곰자리]]에 위치한 [[막대나선은하]]이다. 1782년 피에르 메셍이 발견하였다. [[허블 분류]]에 의하면 SB(s)cd형 은하이다. == 역사 == 1781년 2월 19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피에르 메셍(Pierre Méchain)이 처음 발견하였다. [[올빼미 성운|M97 올빼미 성운]]을 발견한지 3일 뒤다. 그는 이 사실을 동료이자 친구인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에게 알렸다. 이후 1783년 5월 6일 독일 베를린 과학 학회의 요한 베르누이에게 보낸 편지에 이 천체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1781년 3월 24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는 M97과 M108, [[메시에 109|M109]]를 관측한 후 개인 기록에 메모한다. 그렇지만 M108은 메시에가 [[메시에 천체 목록]]에 추가하지 않았다. 1789년 4월 17일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이 M108을 독자적으로 발견하여 관측한 후 기록을 남겼다. 그의 아들인 존 허셜(John Herschel)도 M108을 관측, 기록 하였고 GC에 등재시킨다. 1835년 3월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헨리 스미스 제독(Admiral William Henry Smyth)이 M108을 관측한 후 기록을 남겼다. 1900년대 초 미국의 천문학자 히버 커티스(Heber Curtis)가 릭 천문대의 36인치 망원경을 이용, M108을 사진촬영 하였다. 1953년 미국의 천문학자 오웬 진저리치(Owen Gingerich)가 메시에의 개인 목록을 연구하여 M108과 M109를 메시에 천체 목록에 추가하였다. == 특징 == 메시에 108은 [[지구]]에서 [[큰곰자리]]방향으로 약 4,600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막대나선은하]]이다. 11만 광년에 달하는 지름에 약 290여개의 [[구상성단]]을 포함, 4천억 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은하의 총 질량은 태양질량의 1,250억배로 추정된다. [[허블 분류]], 자세히는 드 보클레르 체계를 포함한 은하의 분류상 SB(s)cd형 은하로 분류된다.[* 막대나선은하(SB), 고리 모양구조 없음((s)), 은하핵의 크기와 나선팔의 감김 정도(cd)] M108은 서핑보드 은하(Surfboard Galaxy)라고도 불리는데 이유는 뭐..은하의 모습이 서핑보드와 닮아서다. 다른 은하들처럼 두툼하고 밝은 핵이나 벌지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몇 개의 [[전리수소영역]]과 짙은 먼지띠, 젊은 성단들이 뒤엉켜 있는 모습을 보인다. 먼지 구조는 은하 평면에서 두드러지며 은하 중심부 부근에서는 매우 짙고 두터워진다. 은하 중심부에는 밝고 두꺼운 막대구조가 존재한다.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83개의 X선 근원이 포착되었다. 이 X선 근원들은 은하 중심부의 활동 은하핵에서 발견되었다. 아울러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은 태양질량의 2,400만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108은 '큰곰자리 은하단'에서 가장 밝고 큰 은하 중 하나이다. 큰곰자리 은하단은 [[처녀자리 초은하단]]에 종속된 은하단 중 하나이다. 1969년 1월 23일 SN 1969B라 명명된 II형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발견 당일 최대 13.9등급까지 광도가 올라갔다가 어두워졌다.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쌍안경으로도 보기 힘들다. 4인치 정도에서는 매우매우 좋은 조건에서나 매우 희미한 길고 홀쭉한 빛구름으로 보인다. 8인치 정도에서도 4인치와 별반 다른점을 찾기 힘들다. == 찾는 방법 ==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108-location.png]] [[큰곰자리]] 베타 메라크(Merak, βUMa)에서 동쪽으로 9.8m, 남쪽으로 43' 떨어져 있다. 대략 남동쪽으로 1.5° 시선을 옮기면 위치한다. 다만 매우 희미해서 찾기가 힘들다. ==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 관련 문서 == *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 [[은하]] [[분류:천문학]][[분류:은하]][[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NGC]][[분류:UGC 목록]][[분류:PGC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