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시리즈 전체, rd1=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 ||<-3> '''메이드 인 와리오[br]メイド イン ワリオ[br]WarioWare, Inc.: Mega Microgame$!''' || ||<-3> [[파일:메이드 인 와리오 일본판jpg.jpg|width=100%]][br]'''일본판 박스아트'''[br][[파일:메이드 인 와리오 북미판.jpg|width=100%]][br]'''북미판 박스아트'''[* 자세히 보면 S가 아니라 $인것을 알 수 있다.] || || '''제작 / 유통''' ||<-2> [[닌텐도|[[파일:닌텐도 로고.svg|width=80]]]] || || '''플랫폼''' ||<-2> [[게임보이 어드밴스|[[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height=16]]]] || || '''인원''' ||<-2> 1~2명 || || '''발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2003년]] [[3월 21일]][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2]] [[2003년]] [[5월 23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03년]] [[5월 26일]][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2]] [[2003년]] [[6월 6일]][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2]] [[2005년]] [[7월 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smKU3X8WZWc)] [[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의 기념비적인 첫번째 작품이다. 사실 딱히 큰 대박은 안 바라고 시험적으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럼에도 뛰어난 완성도를 자랑하며 공전절후의 히트를 기록함으로써 닌텐도 게임 중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잡게 된다. 게임에 관한 내용은 이미 이 작품에서 모든 틀이 다 잡혀있어 후속작에서도 기본 골격은 그대로 따라간다. 한글 패치가 나왔다. [[https://blog.naver.com/inspiedit/221505757286]] == 게임 방식 == 박스의 '''최다 최단 최속''' 캐치프레이즈에 맞게 단시간 내에 미니게임을 클리어해야 한다. 첫 작에서는 방향키와 A버튼을 쓴다. 돌려라 메이드 인 와리오부터 기념품이 생겨서 메이드 인 와리오 때는 모으는 요소가 없다. 그 대신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때마다 엔들리스 게임/2인 대전 게임들이 열린다. 한번 해본 미니게임을 즐길 수 있는 도감이 있다. 레벨은 3개가 있으며 이 후 속도가 빨라지고 난이도도 높아진다. [[돌려라 메이드 인 와리오]] 이후 쭉 계승된다. == [[메이드 인 와리오/스테이지|스테이지]] == 자세한 내용은 [[메이드 인 와리오/스테이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해금 요소 == 스테이지를 클리어하거나, 도감 완성 및 특수 스테이지에 점수 조건 달성시 엔들리스과 2인 대전 게임들이 열린다. === 엔들리스 === * 닥터 와리오 * 줄넘기 * 파리잡기 * 스케이트보드 * 종이비행기 * 보안관 * 표로 * 표로2 === 2인 대전 === 두 사람이 각각 L버튼과 R버튼을 누르면서 겨룬다. * 허들 * 동동 * 치킨 레이스[*1P 9볼트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1P의 캐릭터가 9볼트로 바뀐다.] * 치리토리 === 스태프롤 === == 기타 == 팬덤에서의 난이도 평가는 '''조작은 쉽지만 마이크로게임이 어려운''' 대표적인 예시로 평가하고 있다.[* 시범작이라서 기본적인 조작키(방향키, A)만 사용해서 조작이 쉬워지기에 마이크로게임 난이도를 높여서 그렇다. 예시를 들자면 방향감을 애매하게 해놓는 경우도 있고 다른 작들에(특히 본작에서 이식된 마이크로게임은 더더욱) 비해 판정을 짜게 주는 것이 대표적이다.] 속도도 빠르고 도감 합격까지 30점[* 합격선이 높은 이유는 다른 작들의 도감은 최고 속도가 2배속이지만 이건 무려 '''4배속'''이기 때문이다. 즉 37점이 아니라 '''76점'''부터가 최고 속도이다.]이 필요한 게임도 있기 때문. 이때는 아직 첫작품이라서 그런지 일부 BGM은 와리오 랜드 어드밴스의 BGM을 따왔다. 미니게임 외발자전거의 BGM이나 크라이고어 엔딩, 리믹스 타워 게임오버 BGM 등에 고루 쓰였다. 메이드 인 와리오 때의 와리오 목소리는 2001년 선행 발매된 [[와리오 랜드 어드밴스 요키의 보물|와리오 랜드 어드밴스]]의 목소리를 썼다. 목소리가 [[더블대시]] 이후 낮은 톤의 와리오 목소리와는 딴판인 하이톤 목소리지만, 어드밴스에서 [[찰스 마티네이]]의 이름이 확인되었다. 이 목소리들은 [[만져라 메이드 인 와리오]]까지 계속 쓰다가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 때 목소리가 다시 한번 바뀐 후, [[메이드 인 와리오 고져스]]부터 [[즐거움을 나눠라 메이드 인 와리오]]까지는 찰스 마티네이가 담당하다 [[끝내주게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부터 [[케빈 아프가니]]가 맡는다. 본작을 발매하면서 [[https://www.nintendo.co.jp/n08/azwj|와리오 컴퍼니의 회사 홈페이지]]와 각 사원들의 페이지라는 명목으로 게임 소개 홈페이지가 공개되었는데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상당히 많은 정보들을 얻을 수 있어서 볼만하다. 여기서 성립된 설정들은 이후 시리즈에서도 쭉 이어지면서 이 홈페이지를 살펴본 사람만 웃을 수 있는 내용이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당시 게임 발매 전후를 다룬 와리오 컴퍼니 사원들의 일기 페이지는 상당히 볼만하다. 여러 캐릭터들의 캐릭터성과 관계를 아주 적나라하게 드러내주는 귀중한 자료로 [[마리오 시리즈]] 전체를 봐도 이렇게 강렬하게 캐릭터성을 어필한 집단은 없다는 것을 잘 느낄 수 있다. 와리오 랜드에 이 게임의 체험판이 수록되어있다. 첫스테이지인 와리오 카세트를 수록하고있으며, 어느정도 플레이하면 광고 명목으로 지시문이나 사물에 광고문구가 들어가거나 코인대신 게임패키지가 나오는등 변형된 미니게임이 섞여 나온다. 미니게임이 열리는 방식이 완전한 랜덤이 아니다. 일부 미니게임은 특정 레벨까지 올라갔을때만 열리게 되어있기 때문에 모든 미니게임을 모으기 위해서는 모든 정규 스테이지 내에서 레벨3까지 간 뒤에(보스 스테이지를 두번 플레이) 몇점을 더 내야 한다. == [[메이드 인 와리오/사원일기|사원일기]] == [[메이드 인 와리오/사원일기|문서 참조]]. [[분류: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분류:2003년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분류:게임보이 어드밴스 전용 게임]][[분류:Wii U 버추얼 콘솔/게임보이 어드밴스]][[분류:Game Boy Advance - Nintendo Switch 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