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메이지 시대]] [[분류:1873년/사건사고]] ||<-2>
{{{#ffffff '''{{{+1 메이지 6년 정변}}}''' (1873)[br]'''明治六年政変'''}}}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g_0_meiji_year6.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1873년]], [[정한론]]을 빌미로 일어난 [[메이지 시대]] 초기의 정변으로 [[사이고 다카모리]] 등 당시 정부 수뇌였던 참의의 반 이상과 군인, 관료 약 600명이 사퇴하며 정권이 교체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한론이 발단이 된 탓에 정한론 정변(征韓論政変)이라고도 불린다. == 배경 == 정변의 발단은 [[사이고 다카모리]]의 조선 사절 파견 문제였다. 왕정복고 후 전면 개국을 시작한 일본 메이지 신정부는 [[1868년]]부터 이미 조선에 여러차례 국교 수립을 위한 사절단을 파견했지만 당시 조선은 [[흥선대원군]]이 아직 정권을 잡고 있는 상황으로 성리학의 화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채택하고 있었다. 거기에 더해 일본 신정부에서 가져온 국서에 조선 입장에서는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문제[* 조선이 준 도서가 아닌 신정부 자체 도장을 사용한데다가, [[황제]], [[황조]], [[황상]] 등 중화 천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해당 국서를 조선의 화이론적 세계관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가 있어 국서 수납 및 국교 정상화를 지속적으로 거부했다. 사이고의 사절 파견에 찬성한 참의(參議)는 [[이타가키 다이스케]], 고토 쇼지로, [[에토 신페이]], [[소에지마 다네오미]], [[오쿠마 시게노부]] 등[* 사이고 다카모리 포함 사쓰마(薩摩), 도사(土佐), 히젠(肥前) 출신]이며 반대 측은 [[오쿠보 도시미치]], [[이와쿠라 도모미]],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 이상 사쓰마(薩摩), 조슈(長州), 공가(公家) 출신]였다. 반대 이유 중 첫번째로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중에 중대한 국사 결정의 어떤 것도 하지 않는다는 합의를 한 것이며, 두번째로 일본 국내가 급격한 개화로 혼란스럽고 구미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 철폐, 사할린 문제 등 여러가지 문제가 산적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사절단이 귀국하기 이전인 8월 17일, 각의로 사이고를 대(對)조선 전권대사로 파견하기로 결정되었으나, 다음 날 이 안을 제출받은 [[메이지 덴노]]는 상기한 합의를 바탕으로 이와쿠라 사절단이 귀국할 때까지 최종 결재를 연기, 1달 뒤인 9월 13일에 이와쿠라와 논의 끝에 다시 제출되었지만 최종적으로 각하한다. == 발생 == == 결과 == [[사이고 다카모리]] 및 [[이타가키 다이스케]], 고토 쇼지로, [[에토 신페이]] 등은 사직서를 제출, 사이고 다카모리를 따르는 [[대일본제국 육군|육군]] [[준장]] [[키리노 도시아키]] 포함 100명 이상의 [[사쓰마 번]] 출신 군경들이 일제히 사직한다. 그리고 이들은 점차 중앙정부에 불만을 가진 끝에 [[사가의 난]], [[세이난 전쟁]]으로 반기를 들고 무력으로 진압당했다. 도사 번 출신의 사족들은 자유민권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평화적으로 반정부 세력을 구축하기도 했다. 결국 핵심이었던 조선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채 이듬해 [[1874년]] 미야코 섬 조난 사건을 구실로 [[타이완]] 출병을 강행했다. 하지만 별소득 없이 물러나야했고 결국 실각한 정한론자들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이듬해인 [[1875년]]에는 서구의 함포 외교를 따라한 [[운요호 사건]]을 일으켜 조선과 [[강화도 조약]]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