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오스만 군주)] ---- [include(틀:역대 보편 칼리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22222 0%, #c70125 20%, #c70125 80%, #B22222)" '''[[오스만 제국|{{{#ffffff 오스만 제국 제13대 파디샤}}}]][br]{{{+1 메흐메트 3세}}}[br]محمد الثالث[br]III. Mehme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hmed_III.jpg|width=100%]]}}}|| ||<|2> '''출생''' ||[[1566년]] [[5월 26일]]|| ||[[오스만 제국]] [[마니사]] 마니사 궁전[br](現 튀르키예 에게해주 마니사도 마니사)|| ||<|2> '''사망''' ||[[1603년]] [[12월 22일]] (향년 37세)|| ||[[오스만 제국]] [[코스탄티니예]] [[톱카프 궁전]][br](現 튀르키예 마르마라주 이스탄불도 이스탄불 광역시 파티흐구)|| || '''묘소''' ||이스탄불 아야 소피아|| ||<|2> '''재위기간''' ||오스만 파디샤|| ||[[1595년]] [[1월 16일]] ~ [[1603년]] [[12월 22일]]|| || '''서명''' ||[[파일:메흐메트 3세 서명.sv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버지''' ||[[무라트 3세]] || || '''어머니''' ||사피예 술탄 (출신: [[알바니아]][* 그동안 [[베네치아 공화국]] 출신 [[이탈리아인]]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연구 결과 이탈리아인이 아니라 [[알바니아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 ||<|2> '''배우자''' ||한단 술탄 (출신: [[그리스]] / [[보스니아]][* 그동안 헬레나라는 이름의 [[그리스인]]이었다고 알려져 왔으나 보스니아 출신이라는 주장도 있어 영문 위키에서는 보스니아 출신으로 적어놨다.]) || ||할리메 술탄 (출신: [[압하지야]]) || || '''자녀''' ||[[아흐메트 1세]], [[무스타파 1세]]를 포함한 8남 10녀 || || '''종교''' ||이슬람 {{{-2 (수니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스만 제국]]의 13대 술탄이자 7대 파디샤. == 생애 == === 어린시절 === [[1566년]] [[마니사]] 궁전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 [[무라트 3세]]가 사망한 [[1595년]]에 오스만 제국의 13대 술탄으로 즉위하였다. 즉위할 때 오스만의 [[왕위 계승의 법칙#s-3.2.11|황위 계승 법칙]]에 따라 19명의 형제들을 처형했다. 부친과 [[셀림 2세|조부]]처럼 정사에 무관심하였고 발리데 술탄(모후)인 사피예 술탄에게 국정을 일임하였다. 사피예 술탄은 사위인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와 공모하여 대재상 세르다르 페르하트 파샤를 폐하고 코자 시난 파샤를 대재상으로 세웠다. 한편 부황 대부터 이어진 오스트리아와의 13년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은 [[에스테르곰]], [[비셰그라드(헝가리)|비셰그라드]] 등 헝가리의 요충지들과 [[몰다비아 공국|몰다비아]] 및 [[왈라키아 공국]]을 상실하는 등 연패를 이어갔다. 이에 메흐메트는 신료들의 강력한 귄유로 1566년 증조부 [[쉴레이만 1세]] 이후 처음으로 술탄의 친정에 나섰다. 술탄을 대동하여 사기가 오른 [[오스만 제국군]]은 1596년 헝가리의 [[에게르]]를 수복하고 케레츠테스(하조바) 전투에서 [[황제군|합스부르크군]]을 극적으로 격파하며 전황을 역전시켰다. 전투 도중 도주하려 했던 메흐메트는 직접 마주한 승리에 고무되어 [[이스탄불|코스탄티니예]]로 개선한 후 재차 친정에 나서려 했으나, 과식과 과음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그러지 못하였다. 그 후 합스부르크군이 [[죄르]]를 점령하자 오스만군이 너지카니저를 점령하는 등 공방전이 이어졌고, 그틈에 루마니아 전역이 왈라키아 공 [[미하이 2세]]의 수중에 들어가는 등 혼란이 이어졌다. 1600년에는 아나톨리아 동부에서 카라야즈 압뒬할림이 [[우르파]]를 장악, 술탄을 칭하며 젤랄리 반란을 일으켰다. 비록 압뒬할림 자체는 이듬해 제거되었지만, 아나톨리아 서부와 시리아 북부에서 후속 반란들이 이어져 1610년에야 평정되었다. === 사망 === [[1603년]] 12월, [[부다페스트|부더-페슈트]] 공방전이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귀결되던 무렵 메흐메트는 아끼던 아들 셰자데 마흐무트의 죽음에 의한 고뇌에 시달리다 사망하였다. 사후 모후 사피예 술탄의 주도 하에 아들 아흐메트 1세가 왕위를 이어받았다. == 매체에서 == [[위대한 세기 : 쾨셈]]은 그가 파디샤에 오르며 시작되나 등장한지 몇분만에 장남에 사형을 내린 후 --순삭-- 사망처리 되고 모후 사피예 술탄이 차남 아흐메트를 황위에 옹립하며 본격적인 드라마가 시작된다. [[분류:오스만 파디샤]][[분류:오스만 칼리파]][[분류:튀르키예의 시인]][[분류:1566년 출생]][[분류:1603년 사망]][[분류:마니사주 출신 인물]][[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