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名]][[文]][[家]]}}} 사회적 [[신분]] 및 [[지위]]가 높고, [[학술]]과 덕망을 지닌 [[집안]] 또는 [[가문]]을 이르는 말. == 본문 == 보통 특출난 인사들을 여럿 배출한 집안이나 가문의 힘이 강한 집안을 명문가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구려]], [[백제]], [[신라]]의 귀족들이 대표적인 명문가 집안이었고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지방에 [[호족(한국사)|호족]]들이 존재했기에 이들이 대표적인 명문가 집안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에 문벌귀족과 권문세족도 명문가 집안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학문과 관직이 명성과 직결되었고 이에 따라 과거에 합격한 사람을 많이 배출한 집안과 공신을 많이 배출한 집안이나 왕비를 많이 배출한 집안이 자연히 명문가로 여겨졌다. 현대에 와서는 [[재벌]]을 포함한 규모있는 기업의 오너일가, [[정치인 가문]]이나 고위관료를 많이 배출한 집안이나 학자를 많이 배출한 집안 정도를 일컫는다. 또한 특정 업계 내에서 성공한 이가 여럿인 집안도 명문가라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예술인 명문가, 법조인 명문가, 언론인 명문가, 금융인 명문가 등. 선진국은 어느 정도 경제적 분배체계와 법질서 등이 잘 지켜져서 현재는 명문가 집안이 기업 족벌경영 정도의 선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도로 국민이 명문가의 전횡을 통제할 통제력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법체계, 경제분배 질서가 지켜지지 않는 개도국이나 중진국의 상당수는 특정 명문가가 지역경제, 나아가 국가경제나 권력을 족벌체제로 장악하는 경우가 많아 각 나라의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 대표적인 명문가 == === [[우리나라]] === ==== [[고구려]] ==== 왕성으로 고씨(高氏)가 있고 일반적으로 해씨(解氏)와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 [[오부(고구려)|5부]](五部), 왕비 배출 가문 등을 중심으로 하는 귀족 가문도 성씨를 가지고 있었다. * 왕성 *'''[[횡성 고씨|고씨]]'''='''해씨'''[* 고씨(高氏)와 동일하게 보는 것이 학계의 주류이다.] * 귀족 * 해씨(解氏)[* 왕비 배출. 고씨(高氏)와 동일하게 보는 것이 학계의 주류이다.] * 예씨(禮氏)[* 왕비 배출.] * 송씨(松氏)[* 왕비 배출.] * 우씨(于氏)[* 왕비 다수 배출.] * 연씨(淵氏)[* 왕비 배출.] * 극씨(克氏) * 부정씨(負鼎氏) * 대실씨(大室氏) * 중실씨(仲室氏) * 소실씨(少室氏) * 명림씨(明臨氏) * 을지씨(乙支氏) * 재증씨(再曾氏) * 고이씨(古爾氏) ==== [[백제]] ==== 왕성인 [[부여씨]](扶餘氏)와 귀족가문인 [[개국공신#s-2.1|십제공신]](十濟功臣)[* 삼국사기에는 전섭(全聶), 마려(馬藜), 오간(烏干) 등 3명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 7명의 이름은 족보의 기록이다.] 가문, [[대성팔족]](大姓八族)이 있다. 다만 대성팔족은 목협씨를 목씨와 협씨로 분리해서 본 [[수서]](隋書)에서 기인한 단어로 실제로는 7개 가문이다. 그 외에 [[마한]]계 귀족들도 명문가였다고 볼 수 있다. * 왕성 * '''[[부여씨]]''' * 십제공신 * 전섭(全聶) 가문 * 마려(馬藜) 가문 * 오간(烏干) 가문 * 을음(乙音) 가문 * 해루(解婁) 가문 * 흘간(屹干) 가문 * 곽충(郭忠) 가문 * 한세기(韓世奇) 가문 * 범창(笵昌) 가문 * 조성(趙成) 가문 * [[대성팔족]] * 진씨(眞氏) * 해씨(解氏) * 목씨(木氏)[* 목라씨(木羅氏), 목협씨(木劦氏)라고도 표기되었는데, 목협(木劦)은 목리씨(木刕氏)를 잘못 기재한 것이다. [[일본서기]]에서는 모쿠라라고 읽는 등 원래 '''목라씨'''임이 거의 확실시 된다.] * 사씨(沙氏) * 백씨(苩氏) * 연씨(燕氏) * 국씨(國氏) * 기타 * 예씨(禰氏) ==== [[신라]] ==== 신라의 경우 3개 왕성과 건국 당시부터 있었단 6부의 촌장들을 시조로 삼는 6개의 집안이 대표적인 신라의 명문가였다. * 왕성 * '''[[밀양 박씨]]''' - [[박혁거세]]를 시조로 삼으며, 신라의 개국 왕성이다. * '''[[경주 석씨]]''' - [[석탈해]]를 시조로 삼는다. * '''[[경주 김씨]]''' - [[김알지]]를 시조로 삼으며[* 단, 김알지는 왕에 오르지 못했고 김씨 집안에서 최초로 배출한 왕은 [[미추 이사금]]이다.], 신라에서 가장 많은 왕을 배출했다. [include(틀:신라 6성)] * 신라 6성 * [[경주 이씨]] * [[경주 최씨]] * [[경주 정씨]] * [[경주 손씨]] * [[배(성씨)|경주 배씨]] * [[설(성씨) #s-1|경주 설씨]] * 옛 금관가야계 * [[김해 김씨]] ==== [[발해]] ==== 왕성인 대씨(大氏)와 [[우성망족]](右姓望族)이라는 6개 귀족 가문이 있었다. * 왕성 : '''[[대(성씨)|대씨]]''' * 우성망족 * 고씨(高氏) * 장씨(張氏) * 이씨(李氏) * 오씨(烏氏) * 양씨(楊氏) * 두씨(竇氏)[* 하씨(賀氏)의 오기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하씨 인물에 대한 기록은 있으나 두씨 인물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 [[고려]] ==== 왕족으로는 개성 왕씨(開城 王氏)가 있으며, 호족과 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왕족 : '''[[개성 왕씨]]''' * 개국일등공신, 삼한벽상공신 : [[남양 홍씨#s-3|남양 홍씨]], [[배(성씨)|경주 배씨]], [[평산 신씨]], [[면천 복씨]] * [[호족]] : 충주 유씨, [[황보#s-2.2|황주 황보씨]], [[순창 조씨]], 신천 강씨, [[나주 오씨]], 약계 홍씨, 천안 임씨, 전의 이씨, 진주 임씨, 성주 이씨, 경산 이씨, 의성 홍씨, 경주 평씨, 합천 이씨 * [[문벌귀족]] : [[경원 이씨]], [[해주 최씨]], [[경주 김씨]], [[안산 김씨]], [[이천 서씨]], [[강릉 김씨]], [[경주 최씨]], [[양천 허씨]], [[충주 박씨]], [[남평 문씨]], 수원 최씨, 장흥 임씨, [[파평 윤씨]], [[청주 이씨]], [[평산 신씨]], 정주 류씨, [[밀양 박씨]], 광양 김씨, [[철원 최씨]], 평산 박씨, [[성주 도씨]] * [[무신정권]]기 : [[우봉 최씨]] [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 [[권문세족]] : [[재상지종]] 15가문을 비롯하여 [[경주 이씨]], [[안동 권씨]], [[광산 김씨|광주(광산) 김씨]], [[안동 김씨]][* 구 안동 김씨.], [[순흥 안씨]], [[전주 최씨]], [[청주 한씨]], [[성주 이씨]], [[단양 우씨]], [[진주 류씨]], [[해평 윤씨]], 동주(철원) 최씨, [[청주 곽씨]], [[고성 이씨]], 죽산 박씨, [[문화 류씨]], [[원주 원씨]], [[파주 염씨|서원(파주) 염씨]], [[행주 기씨]] 등이 있다. * 고려 후기[* 원종 말부터 공양왕 때까지.] 권문세족의 고위급 관료 배출 순위[[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19_0020_0020_0010_0010|#]] * '''[[남양 홍씨|당성(남양) 홍씨]]''' : 30명(1위) * '''[[경주 이씨]]''' : 28명(2위) * '''[[안동 권씨]]''' : 27명(3위) * [[광산 김씨|광주(광산) 김씨]] : 25명(4위) * [[파평 윤씨]] : 21명(5위) * [[안동 김씨]] : 20명(6위) * [[양천 허씨|공암(양천) 허씨]] : 20명(6위) * [[여흥 민씨|황려(여흥) 민씨]] : 18명(8위) * [[순흥 안씨]] : 17명(9위) * [[평양 조씨]] : 17명(9위) * [[전주 최씨]] : 16명(11위) * [[청주 한씨]] : 15명(12위) * [[성주 이씨]] : 14명(13위) * [[단양 우씨]] : 13명(14위) * [[진주 류씨]] : 13명(14위) * [[해평 윤씨]] : 13명(14위) * 동주(철원) 최씨 : 12명(17위) * [[청주 곽씨]] : 12명(17위) * [[고성 이씨]] : 11명(19위) * 언양 김씨 : 10명(20위) * [[문화 류씨]] : 10명(21위) * 죽산 박씨 : 10명(21위) * [[원주 원씨]] : 10명(21위) * [[파주 염씨|서원(파주) 염씨]] : 10명(21위) ==== [[조선]] ==== ===== 왕가 ===== * 왕성 * '''[[전주 이씨]]''' * 왕후 배출 가문 * 정식 왕후 * '''[[청주 한씨]]'''(3) * 곡산 강씨 * '''[[경주 김씨]]'''(3) * '''[[여흥 민씨]]'''(3) - 세도가문 * [[청송 심씨]](2) * [[여산 송씨]] * '''[[파평 윤씨]]'''(4) - 최다 배출[* 추존왕후까지 포함하면 청주 한씨가 6명으로 최다 배출이다.] * ~~[[함안 윤씨]]~~[* 현재 파평 윤씨 함안백파로 합본되었다.] * ~~[[거창 신씨]]~~ * [[거창 신씨]][* 중종의 왕비 단경왕후는 폐위되었다가 영조 때 복위되었다.] * '''[[반남 박씨]]'''(2) - 세도가문 * [[연안 김씨]] * ~~[[문화 류씨]]~~ * [[양주 조씨]] * 덕수 장씨 * [[청풍 김씨]](2) * [[광산 김씨]] * ~~[[인동 장씨]]~~ * [[함종 어씨]] * [[대구 서씨]] * '''[[신 안동 김씨]]'''[* 왕후(王后) 3명, 부원군(府院君) 3명, 정승(政丞) 15명, 판서(判書) 35명, 대제학(大提學) 6명, 종묘공신(宗廟功臣) 6명, 후궁(後宮) 1명, 문과 급제자 159명 등.](3) - 세도가문 * [[남양 홍씨#s-3|남양 홍씨(당홍계)]] * [[해평 윤씨]] * 추존 왕후 * '''[[청주 한씨]]'''[* 태조의 추존왕후인 신의왕후는 안변 한씨이나 청주 한씨에 포함하여 표기함.](3) * [[안동 권씨]] * ~~[[김해 김씨]]~~[*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는 광해군 때 공성왕후로 추존되었다가 인조 때 삭탈되었다.] * [[능성 구씨]] * [[청송 심씨]] * '''[[풍양 조씨]]'''(2) - 세도가문 * [[풍산 홍씨]] * '''[[여흥 민씨]]''' - 세도가문 * 부마 배출 가문 * 공주의 남편 * [[성주 이씨]] * [[청주 이씨]](2) * '''[[청송 심씨]]'''(2) * [[평양 조씨]] * '''[[안동 권씨]]''' * [[의령 남씨]] * 죽산 안씨 * [[해주 정씨]] * [[하동 정씨]] * '''[[남양 홍씨#s-3|남양 홍씨(당홍계)]]'''(2) * [[풍천 임씨]] * [[능성 구씨]] * [[풍산 홍씨]] * [[연일 정씨]] * [[동래 정씨]] * [[원주 원씨]] * [[해주 오씨]] * [[신 안동 김씨]](2) * [[해평 윤씨]] * 옹주의 남편 * 개성 이씨 * '''[[남양 홍씨#s-3|남양 홍씨(당홍계)]]'''(2) * [[밀양 박씨]] * [[경주 김씨]](2) * 원주 변씨 * [[안산 김씨]] * [[평양 조씨]] * [[용인 이씨]] * [[전의 이씨]](2) * [[경주 이씨]] * '''[[파평 윤씨]]'''(7) - 최다 배출 * 운봉 박씨 * [[양주 조씨]](2) * [[연일 정씨]](2) * [[성주 이씨]] * 원주 변씨 * [[해평 윤씨]](2) * 회덕 황씨 * '''[[안동 권씨]]'''(3) * '''[[청송 심씨]]'''(2) * [[진주 강씨]] * [[고령 신씨]] * [[풍천 임씨]] * [[청주 한씨]](2) * [[의령 남씨]](2) * [[여흥 민씨]] * 봉화 정씨 * [[대구 서씨]] * [[평산 신씨]](2) * 나주 박씨 * [[전주 류씨]] * [[진주 류씨]] * [[선산 김씨]] * [[반남 박씨]](3) * [[창원 황씨]] * [[능성 구씨]] ===== 사가 ===== * [[문묘|문묘 배향 18현]] 배출 가문 * '''[[광산 김씨]]'''(2)[*A 문묘 및 종묘에 함께 배향된 인물을 배출한 집안이어서 [[양반#s-3|6대 국반]]이라고도 한다.] * '''[[은진 송씨]]'''(2)[*A] * [[서흥 김씨]] * [[반남 박씨]][*A] * [[설(성씨)|경주 설씨]] * [[창녕 성씨]] * [[순흥 안씨]] * [[덕수 이씨]][*A] * [[여주 이씨]][*A] * [[진성 이씨]][*A] * [[연일 정씨]] * [[하동 정씨]] * [[한양 조씨]] * [[경주 최씨]] * [[배향공신#s-2.1.2|종묘 배향공신]] 배출 순위[* 성종 묘정 배향공신인 홍응(洪應)은 [[남양 홍씨#s-3|남양 홍씨(당홍계)]]이고, 인종 묘정 배향공신인 홍언필(洪彦弼)은 [[남양 홍씨#s-4|남양 홍씨(토홍계)]]이다.] * '''[[전주 이씨]]''' : 13명(1위) * '''[[신 안동 김씨]]''' : 5명(2위) * '''[[여흥 민씨]]''' : 5명(2위) * '''[[풍양 조씨]]''' : 5명(2위) * [[의령 남씨]] : 4명(5위) * [[평산 신씨]] : 4명(5위) * [[청풍 김씨]] : 3명(7위) * [[동래 정씨]] : 3명(7위) * [[청주 한씨]] : 3명(7위) * [[연안 김씨]] : 2명(10위) * [[경주 이씨]] : 2명(10위) * [[연안 이씨]] : 2명(10위) * 개국일등공신 * '''[[전주 이씨]]'''(3) * ~~[[전주 이씨]]~~ * [[성산 배씨]] * [[평양 조씨]] * ~~[[평양 조씨]]~~ * [[안동 김씨]] * 봉화 정씨 * [[성주 이씨]] * [[경주 정씨]] * [[청해 이씨]] * '''[[의령 남씨]]'''(2) * [[안동 장씨]] * '''[[청주 정씨]]'''(2) * [[한양 조씨]] * ~~보성 오씨~~ * 양근 김씨 * 고흥 류씨 * 정승 다수 배출 가문[*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정승(政丞) 또는 상신(相臣)이라고 한다.] * '''[[전주 이씨]]''' : 22명(1위) * '''[[동래 정씨]]''' : 16명(2위) * '''[[신 안동 김씨]]''' : 15명(3위) * [[청송 심씨]] : 13명(4위) * [[청주 한씨]] : 12명(5위) * [[여흥 민씨]] : 11명(6위) * [[파평 윤씨]] : 11명(6위) * [[대구 서씨]] : 9명(8위) * [[연안 이씨]] : 9명(8위) * [[안동 권씨]] : 8명(10위) * [[청풍 김씨]] : 8명(10위) * [[문화 류씨]] : 8명(10위) * [[경주 이씨]] : 8명(10위) * [[양주 조씨]] : 8명(10위) * [[남양 홍씨#s-3|남양 홍씨(당홍계)]] : 8명(10위) * [[밀양 박씨]][* 상신은 영의정 박승종 1명뿐이나, 문과 급제자는 269명이나 배출하여 전체 6위를 차지하였다.] * [[광산 김씨]][* 문과 급제자는 263명을 배출하여 전체 7위를 차지하였다.] * [[진주 강씨]][* 문과 급제자는 228명을 배출하여 전체 10위를 차지하였다.] * 3대 정승 배출 가문 * [[청풍 김씨]] * '''[[대구 서씨]]'''[*B 3대 정승 및 3대 대제학을 배출한 유일한 가문이다.] * [[청송 심씨]] * 3대 대제학 배출 가문[* 이들을 통칭하는 말로 [[광김연리달서]]가 있다.] * [[광산 김씨]] * '''[[대구 서씨]]'''[*B] * [[연안 이씨]] * [[전주 이씨]] * [[청백리]] 다수 배출 가문{{{-2 (*전고대방 기준)}}}[* 문헌마다 명단이 다르다. 문헌별로 수록된 청백리 인원수는 '''대동장고'''(大東掌攷) 121명,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122명, '''청선고'''(淸選考) 186명, '''전고대방'''(典故大方) 217명, '''한국성씨대관'''(韓國姓氏大觀) 179명이다.] * '''[[전주 이씨]]''' : 8명[* 선조조의 이직언과 이시언이 동일인이므로 9명이 아니라 8명으로 계산하였다.](1위) * '''[[연안 이씨]]''' : 7명(2위) * [[진주 강씨]] : 6명(3위) * [[파평 윤씨]] : 6명(3위) * [[양천 허씨]] : 6명(3위) * [[안동 김씨]] : 5명(6위) * [[진주 류씨]] : 5명(6위) * [[창녕 성씨]] : 5명(6위) * [[광주 이씨]] : 5명(6위) * [[전의 이씨]] : 5명(6위) * [[한산 이씨]] : 5명(6위) * 무과 급제자 다수 배출 가문 및 유명 가문 * '''[[전주 이씨]]''' : 1,470명(1위) * '''[[김해 김씨]]''' : 1,455명(2위) * '''[[밀양 박씨]]''' : 1,155명(3위) * [[경주 김씨]] : 690명(4위) * [[청주 한씨]] : 503명(5위) * [[경주 이씨]] : 409명(6위) * [[진주 강씨]] : 381명(7위) * [[남양 홍씨]] : 352명(8위) * [[파평 윤씨]] : 317명(9위) * [[평산 신씨]] : 307명(10위) * [[광주 이씨]] : 265명 * [[전의 이씨]] : 190명, 효익공 이준민 가문 * [[진주 류씨]] : 114명, 문정공 [[류순정]] 가문 * [[평양 조씨]] : 104명, 무의공 조심태 가문 * [[능성 구씨]] : 104명, [[구선복]] 가문 * [[덕수 이씨]] : 79명, 충무공 [[이순신]] 가문 ==== [[대한민국]] ====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 [[국무총리]]·[[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대한민국의 장관|장]]·[[대한민국의 차관|차관]] 등 고위관료를 배출한 [[정치인 가문]], 외교관을 배출한 가문, 학자를 배출한 가문, 판·검사 등 법조인을 배출한 가문 또는 군인 가문, [[재벌]]을 포함한 [[한국의 기업 가문|기업 오너]]나 기업인 가문이나 언론인 가문, 교육인 가문을 명문가라고 한다. 그 외에도 예술인 가문, 의료인 가문, 금융인 가문 등 여러 분야에 걸쳐서 저명인사를 배출한 가문을 명문가라고 일컫기도 한다. ※ 대통령·부통령, 총리급[*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부총리급[* [[여당]] 대표, 교섭단체 [[야당]] 대표, [[국회부의장]], [[감사원장]],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관료, 재벌 배출 성관[* __'''대통령·부통령''' 1명 이상__ 또는 __'''총리급·부총리급 고위관료''' 2명 이상__ 또는 __'''[[재계 서열#s-3|재계서열]] 1~20위 재벌''' 1개 이상__ 배출 성관(姓貫)이다.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은 대통령에 대하여 상하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기관이었으며, 참의원 의장, 헌법위원회 위원장, 탄핵재판소 소장을 겸했고, [[의전서열(대한민국)|의전서열]] 2위에 해당했다. 부통령제가 폐지된 이후 의전서열 2~6위는 '''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순이고, 대법원장과 헌법재판소장은 동순위이다. 이들은 '''총리급''' 예우를 받는다. 또한 의전서열 7~12위는 '''여당 대표''', '''교섭단체 야당 대표''', '''국회부의장''', '''감사원장''',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순이며 이들은 '''부총리급''' 예우를 받는다. 여당 대표 및 교섭단체 야당 대표 중 비대위원장, 혁신위원장 등은 집계에 포함하였고 권한대행, 직무대행 등은 집계에서 제외하였다. 동일인이 같은 기관에서 중임한 것, 동일인이 여러 기관을 거친 것은 모두 1명으로 계산하였다. 즉 동일인이 국무총리를 2번 역임한 경우 총리급 1명으로 계산했고, 동일인이 대통령과 국무총리를 역임한 경우 대통령 1명으로 계산했다. 본관을 알 수 없는 경우는 집계에서 제외하였다. 재계서열 순위는 최근 발표된 '''2023년 4월 25일 기준'''이다. ※ 부득이 등재기준으로 총리급·부총리급 고위관료에는 2명 이상이라는 제한조건을 둔 이유는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성관(姓貫)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이다.] * [[진주 강씨]]: 총리급(3), 부총리급(2) * [[제주 고씨]]: 총리급(3), 부총리급(2) * [[능성 구씨]]: '''재벌'''(2)[* 재계서열 4위 '''[[LG]]''', 16위 '''[[LS그룹]]'''.] * [[안동 권씨]]: 총리급(1), 부총리급(2) * [[경주 김씨]]: 총리급(1), 부총리급(9) * [[광산 김씨]]: 총리급(2) * [[김녕 김씨]]: '''정·부통령'''(1)[* 제14대 대통령 '''[[김영삼]]'''.], 총리급(2), 부총리급(2) * [[김해 김씨]]: '''정·부통령'''(1)[* 제15대 대통령 '''[[김대중]]'''.], 총리급(4), 부총리급(10) * [[순천 김씨]]: 부총리급(1), '''재벌'''(1)[* 재계서열 7위 '''[[한화]]'''.] * [[연안 김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의성 김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울산 김씨]]: '''정·부통령'''(1)[* 제2대 부통령 '''[[김성수(1891)|김성수]]'''.], 총리급(2), 부총리급(2) * [[전주 김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청풍 김씨]]: 부총리급(2) * [[나주 나씨]]: 부총리급(2) * [[광주 노씨]]: '''정·부통령'''(1)[*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총리급(5), 부총리급(1) * [[교하 노씨]]: '''정·부통령'''(1)[* 제13대 대통령 '''[[노태우]]'''.], 부총리급(1) * [[문화 류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남평 문씨]]: '''정·부통령'''(1)[* 제19대 대통령 '''[[문재인]]'''.], 총리급(1) * [[여흥 민씨]]: 총리급(1), 부총리급(2) * [[고령 박씨]]: '''정·부통령'''(2)[* 제5~9대 대통령 '''[[박정희]]''', 제18대 대통령 '''[[박근혜]]'''.], 총리급(1) * [[밀양 박씨]]: 총리급(4), 부총리급(7), '''재벌'''(2)[* 재계서열 5위 '''[[포스코]]''', 17위 '''[[두산]]'''.] * [[수원 백씨]]: 총리급(2) * [[달성 서씨]]: 부총리급(2) * [[밀양 손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영산 신씨]]: 부총리급(1), '''재벌'''(1)[* 재계서열 6위 '''[[롯데]]'''.] * [[평산 신씨]]: 총리급(2), 부총리급(1) * [[순흥 안씨]]: 부총리급(2) * [[남원 양씨]]: 총리급(2), 부총리급(1) * [[강릉 유씨]]: 총리급(2), 부총리급(1) * [[기계 유씨]]: 부총리급(2) * [[파평 윤씨]]: '''정·부통령'''(1)[* 제20대 대통령 '''[[윤석열]]'''.], 부총리급(4) * [[해남 윤씨]]: 총리급(2) * [[해평 윤씨]]: '''정·부통령'''(1)[* 제4대 대통령 '''[[윤보선]]'''.], 부총리급(2) * [[고성 이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공주 이씨: 부총리급(2) * [[광주 이씨]]: 총리급(2), 부총리급(2) * [[경주 이씨]]: '''정·부통령'''{{{-1 (2)}}}{{{-2 [* 제17대 대통령 '''[[이명박]]''', 초대 부통령 '''[[이시영(정치인)|이시영]]'''.]}}}, 총리급{{{-1 (1)}}}, 부총리급{{{-1 (6)}}}, '''재벌'''{{{-1 (3)}}}{{{-2 [* 재계서열 1위 '''[[삼성]]''', 11위 '''[[신세계그룹]]''', 13위 '''[[CJ]]'''.]}}} * 영천 이씨: 부총리급(3) * [[전의 이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전주 이씨]]: '''정·부통령'''{{{-1 (1)}}}{{{-2 [* 제1~3대 대통령 '''[[이승만]]'''.]}}}, 총리급⑽, 부총리급{{{-1 (9)}}}, '''재벌'''{{{-1 (1)}}}{{{-2 [* 재계서열 18위 '''[[DL그룹]]'''.]}}} * [[한산 이씨]]: 총리급(2) * [[나주 임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인동 장씨]]: '''정·부통령'''(1)[* 제4대 부통령 '''[[장면]]'''.], 총리급(1), 부총리급(4) * [[완산 전씨]]: '''정·부통령'''(1)[* 제11~12대 대통령 '''[[전두환]]'''.] * [[동래 정씨]]: 부총리급(3) * [[연일 정씨]]: 총리급(2), 부총리급(5) * [[진주 정씨]]: 총리급(2) * [[하동 정씨]]: 부총리급(1), '''재벌'''(2)[* 재계서열 3위 '''[[현대자동차그룹]]''', 9위 '''[[HD현대]]'''.] * [[양주 조씨]]: '''재벌'''(1)[* 재계서열 14위 '''[[한진그룹]]'''.] * 임천 조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창녕 조씨]]: 총리급(2), 부총리급(1) * [[한양 조씨]]: 부총리급(2) * [[신안 주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여양 진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인천 채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강릉 최씨]]: '''정·부통령'''(1)[* 제10대 대통령 '''[[최규하]]'''.], 총리급(1), 부총리급(1) * [[경주 최씨]]: 부총리급(2) * [[수성 최씨]]: '''재벌'''(1)[* 재계서열 2위 '''[[SK]]'''.] * [[청주 한씨]]: 총리급(3), 부총리급(6) * [[강릉 함씨]]: '''정·부통령'''(1)[* 제3대 부통령 '''[[함태영]]'''.] * [[김해 허씨]]: 총리급(1), '''재벌'''(1)[* 재계서열 8위 '''[[GS]]'''.] * [[연주 현씨]]: 총리급(1), 부총리급(1) * [[남양 홍씨#s-3|남양 홍씨]]: 부총리급(5) * [[창원 황씨]]: 총리급(2), 부총리급(4) * '''본관 불명''': '''총리급['''헌법재판소장([[이종석(법조인)|이종석]]),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https://ko.m.wikipedia.org/wiki/김두일_(법조인)|김두일]], [[김중서]], [[김능환]], [[김용덕]])''']''', '''부총리급['''대통합민주신당 대표([[오충일]]), 국회부의장([[김동성(1890)|김동성]], [[김상희(정치인)|김상희]]), 감사원장([[https://ko.m.wikipedia.org/wiki/최재명|최재명]], [[김영준(1928)|김영준]], [[최재해]]), 경제부총리([[김준성]]), 사회부총리([[이준식]], [[박순애]]), 통일부총리([[최호중]])''']''' === [[일본]] === [[일본/정치|일본의 정치]]를 비롯한 사회 특성상 우리나라보다 명문가라는 개념이 더 강하고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고 다양하게 박혀있다. 대표적으로는 [[정치인 가문#s-4.4|일본의 정치 명문가]]. 지역구를 대대로 세습하는 가문들은 일본 전역에 널려있고, 이들이 지역유지 등의 재력가 집안과 결합하는 일도 흔하다. 거기다 [[다이묘]]나 [[화족]]의 후손들도 존재하며, 이쪽의 끝판왕으로는 천황가가 있다.[* 무소불위의 권력을 잡은 시기는 실질적으로 100년도 안 되고, 현재는 [[궁내청]]과 국민들로부터 [[고나리]]짓 당하긴 하지만 엄연한 [[상류층]]이기는 하다.] 이외에도 연예계에는 [[가부키 가문|가부키 명문가]], 종교계에는 유명 사찰을 대대로 모시는 가문,[* 단순한 절집 후손이라고 보면 안 되는 게 거대한 암자가 전부 가문 소유다.] 심지어는 [[화과자]]나 [[기모노]]를 제작하는 [[장인]] 명가도 있다. === [[몽골]] === 중앙 아시아 명문가의 끝판 대장인 [[보르지긴]] 가문이 잘 알려져 있다. [[칭기즈 칸]], [[티무르]], [[바부르]] 등 중앙아시아의 세계관에서 난다 긴다 하는 족적을 남긴 인물들은 대체로 보르지긴 씨족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황금씨족]]이 근세에 이르기까지 중앙아시아에 미쳤던 영향을 고려하면 명문가에 가장 적합할 것이다. === [[미국]] === 정치인 가문 중에는 [[부시 가문]], [[케네디 가문]], [[루스벨트 가문]], [[태프트 가문]], [[클린턴 가문]]이 제일 유명하다. [[트럼프 가문]], [[록펠러 가문]] 역시 미국 정재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코크 형제도 미국 정재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외에도 [[애스터 가문]], [[보스턴 브라민]]이 미국의 최대 명문가들로 꼽힌다. [[존 케리]]의 가문도 명문가이며 [[바이든 가문]] 또한 어느 정도 명문가이다. 그 외에도 미국에서 기업인이나 유명 언론인들이나 법조인들을 배출한 가문, 유명 배우나 할리우드 스타를 배출한 가문도 많이 있다. 대표적으로 [[코폴라 가문]]이 유명하다. === [[영국]] === 영국의 경우도 전통 엘리트를 중심으로 한 세습 귀족들과 신흥 엘리트 가문들, 왕실 가문, 귀족 가문과 정치인 가문, 기업인 가문, 언론인 가문, 법조인 가문, 그리고 [[젠트리]]로 유명한 신흥 가문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종교인 가문도 있다. === [[프랑스]] === 예전에는 왕족, 귀족, 성직자가 명문가에 속했으며 현재는 옛 귀족 가문 출신들이나 정치인 가문, 기업인 가문, 언론인 가문이 명문가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 [[독일]] === === [[이탈리아]] === === [[캐나다]] === 트뤼도 가문이 대표적인 명문가라고 할 수 있다. === [[네덜란드]] === === [[그리스]] === === [[필리핀]] === 마르코스 가문, 아키노 가문, 두테르테 가문, 마카파갈 가문, 로하스 가문, 아로요 가문 등이 제일 유명하며 이 가문들을 비롯하여 150개 족벌 가문들이 필리핀의 정계, 관계, 재계, 언론계, 법조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중국]] === [[문벌귀족(중국)]] 문서를 참조. 그 외에 송나라, 명나라 시대의 귀족들도 명문가라고 할 수 있다. === [[남아시아]] === * [[인도]] - [[자와할랄 네루]] 가문. 아들이 없던 네루의 외동딸 인디라 네루가 변호사인 페로제 간디와 결혼해 [[인디라 간디]]가 되면서 간디의 이름을 빌린, 네루 가문의 형태로 대를 이었다. 네루때부터 존재했던 인도의 초기 집권당인 [[인도 국민 회의]]는 간디와 네루가 모두 사망한 이후에도 네루의 딸 인디라 간디가 장악했고, 이후 인디라 간디의 자녀,손자들이 총리 혹은 유력 정치인으로 인도 국민 회의에 영향력을 행사중이다. * [[스리랑카]] - 라자팍사 가문. [[마힌다 라자팍사]]를 비롯한 라자팍사 일가들이 국가 전체를 장악하고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를 초래했음에도 버티고 있다. * [[파키스탄]] - [[펀자브]]지역의 샤리프 가문, [[신드]]지역의 부토 가문이 군부를 상대로 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나와즈 샤리프]], [[셰바즈 샤리프]], [[줄피카르 알리 부토]], [[베나지르 부토]] 등이 파키스탄의 총리를 지냈다. [[분류:한자어]][[분류: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