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하는 [[절(언어)|절]]을 일컫는다. == [[한국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절(언어)/한국어, 앵커=명사절)] == [[영어]] == 영어에서는 이 절이 주어로 올 경우 단수동사가 온다. === that === 흔히 that절이라고도 하는 그 that이다. '~라는 사실 (것)'이라고 해석한다. 시험용으로 이 문서를 본다면 해석하는 방법과 that뒤에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을 알면 된다. that은 명사절 뿐만 아니라 형용사절, 부사절에서 까지도 쓰이기 때문에 항상 문장구조를 분석하고 뜻을 맞춰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that 절이 목적어로 쓰일 때는 생략이 가능하다. >I know (that) she's from Germany. === what === what과 that의 차이를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that과 잘 비교해서 보도록 하자. what은 that과 달리 불완전한 문장이 온다. 이때 불완전한 문장이라는 것은 명사가 쓰일 수 있는 범위내에서, 즉 주,목,보자리가 있어야 되는데 빠진 것을 의미한다. what은 의미가 2가지가 있다. '무엇'이라고 해석될 때가 있고, '~라는 그 것'으로 해석이 될 때가 있는데, '~라는 그 것'으로 해석할 때는 what이 원래는 the thing(s) that(which)이었다는 것을 명심하도록 하자. the thing(s) that(which)과 what을 같이 설명할 때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라고들 많이 하는 데, the thing(s)이 선행사고, that(which)이 관계대명사다. 고등학교 모의고사 어법 문제에 that과 what의 차이를 묻는 문제가 많이 나온다. 중학교 2,3학년 내신 문제로도 많이 출제된다. === [[의문사]] === 의문사도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의문사가 있는 명사절이 문장의 종속절로 쓰일 때 이를 간접의문문이라고 한다. === whether / if === 뜻은 "~인지 아닌지"이며, 의문사 없는 간접의문문에 자주 볼 수 있는 절이다. 이때, 이 접속사는 if로 쓸 수 있지만 주어로 올 때는 whether만 쓴다. >__Whether we win or not__ isn't important. >I want to know __if you know her__. [* 이 문장은 '네가 그녀를 아는지 알고 싶어' 또는 '네가 그녀를 안다면, 나는 알고 싶어' 가 될 수도 있다.] [[분류: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