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명지대학교)] [목차] [[https://mjuresearch.mju.ac.kr/mjuresearch/index.do]] == 개요 == 2004년 7월 28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산학협력단. == 상세 == 현재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김영욱 교수가 단장으로 있다(2021년 1월~). 농생명바이오식 의약소재개발사업단, 한옥R&D센터, 경기녹색환경지원센터, 하이브리드구조실험센터, 영재교육센터, 중소기업 산학협력센터, 에너지환경융합기술연구센터, 용인시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제로에너지건축센터, 식의약소재 생체효능검증센터, 천연신기능소재연구센터, 차세대전력기술연구센터, 인성교육센터, CCS혁신기술센터, 명지-이래 미래자동차 연구개발센터, 스마트WM연구센터, 폐기물기반 에너지환경융합 기술사업팀, 폐기물기반 에너지환경융합 기술사업팀, 뮤지컬창작융합센터, S-ICT 융합센터, 인성교육센터, 제로에너지건축센터, 반도체공정진단연구소, 에너지환경융합기술연구센터, 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한옥 R&D 센터 등 다양한 외부지원 연구센터를 두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교육부]]의 기초역량강화지원사업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지원과제(스마트 사회인프라 핵심연구지원센터)에 선정, 2022년에는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TMC), 삼성전자(주)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3D dPCR),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 == 성과 == 매년 300~400건 정도의 연구(400~500억 규모)를 진행했으며[* 2014년 558억(361건), 2015년 439억(354건), 2016년 485억(419건), 2017년 543억(452건)], 해마다 100여개의 특허를 출원하고 70여개의 특허 등록을 해왔다. == 운영 == 2021년 기준,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유동자산 172억, 비유동자산 55억등 227억원 규모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동부채 56억원을 비롯한 82억의 부채를 갖고 있다.[* [[http://indcoop.mju.ac.kr/asp/board/natsboard/data/pds_sh_bill/5._2021%ED%95%99%EB%85%84%EB%8F%84_%EA%B0%90%EC%82%AC%EB%B3%B4%EA%B3%A0%EC%84%9C.pdf|2021학년도 감사보고서 홈페이지]]] [[분류:명지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