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명탐정 코난/등장인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명탐정 코난)]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명탐정 코난)] ## 짧게 출연한 엑스트라를 기재하지 마십시오. [목차] [clearfix] == 개요 == 만화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을 정리한 문서. ||만화 [[명탐정 코난]]의 주요 등장인물, 레귤러 캐릭터들만 기재하되 여러 번 등장한 엑스트라도 기재한다. 여러 신분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일 경우 모든 신분을 다 개별적으로 기술한다. 표시 방법 * 일본 이름(한국 이름)|| === 등장인물의 작명 방법 === * 초기 등장인물의 경우 주로 추리 작품(소설, 드라마, 만화 등)의 등장인물과 작가, 배우 이름에서 따왔다. 모리 탐정 사무소와 주변인물들은 서양의 추리 소설가와 등장인물들에서, [[소년 탐정단(명탐정 코난)|소년 탐정단]]은 일본의 추리 소설가와 등장인물, 오사카 인물들은 소설 오니헤이한카초 관련 인물들에서 유래했다. * 메인 악역인 [[검은 조직]] 인물들은 극중에서도 언급되지만 술 이름에서 따왔다. 남성 조직원은 증류주, 여성 조직원은 과실주에서 유래되었다. * FBI의 일부와 공안 쪽은 거의 대부분 [[기동전사 건담]]의 등장인물의 이름과 성우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ex. [[아카이 슈이치]], [[아무로 토오루]] / [[후루야 레이]], [[카자미 유우야]][* 아카이 슈이치는 모티브가 된 [[샤아 아즈나블]]의 별명인 붉은 혜성(赤い)과 샤아의 담당 성우인 [[이케다 슈이치]]의 이름을 합쳤다. 아무로 토오루 / 후루야 레이의 경우 가명과 본명 모두 모티브인 [[아무로 레이]]와 그의 담당 성우 [[후루야 토오루]]의 이름을 섞었다. 카자미 유우야는 모티브인 [[카미유 비단]]의 카미유에서 사이에 글자를 더 넣어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 [[루팡 3세]]에서 유래한 인물도 일부 있다.(ex. [[쿠도 유키코|후지미네 유키코]][* [[미네 후지코]]의 이름을 변형하여 유키코의 결혼 전 성으로 사용했다.]) * 애니메이션에서 역수입된 캐릭터들의 경우 애니메이션판의 담당 성우 이름을 그대로 빌린 캐릭터도 있다.(ex. [[타카기 와타루(명탐정 코난)|타카기 와타루]], [[치바 카즈노부(명탐정 코난)|치바 카즈노부]]) * 작가의 지인 이름에서 따온 캐릭터들도 있다.(ex. [[스즈키 소노코]], [[사토 미와코]]) * 괴도 키드와 관련된 인물들은 코난보다 먼저 나온 작품이라 색깔에서 유래한 이름을 썼다. 해당 인물들 항목 참고.(ex. 쿠로바 카이토, 나카모리 아오코[* 쿠로바의 쿠로는 黒(검을 흑), 아오코의 아오는 青(푸를 청)이다.]) * 엑스트라는 사건 내용과 관련된 테마의 주요인물이나 단어를 적당히 어레인지하여 이름을 짓는 게 보통이다. 예를 들어 [[발렌타인의 진실]] 편에 등장한 용의자들은 [[초콜릿]] 관련 단어들에서 따오는 식이다. 특촬물이 소재인 [[최후의 상영 살인사건]]에 등장한 이데 토시유키는 [[이데온]] + [[토미노 요시유키]]의 합성이며, [[불길 속의 붉은 말]]의 등장인물은 모두 [[삼국지/인물|삼국지 등장인물]]의 이름을 이용해서 지었다. 연재 초기에는 작명 요령이 없었는지 동료 만화가, 어시스턴트, 친구, 지인의 이름을 썼다.[* 이 때문에 아오야마 고쇼의 어시들이 작업한 명탐정 코난 특별편을 보면 어딘지 익숙한 이름들을 볼 수 있다.~~대부분 안 좋은 역할이다~~] 혹은 작가의 전작 [[YAIBA]]의 영향인지 옛 무장들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들도 꽤 보인다. 또 몇몇 사건에선 [[하네다 슈키치|하네다]], 나리타, 간사이 등 공항 이름을 성으로 가져온 캐릭터들도 있다. * 한국어 번안명 중 검은 조직 관련 인물은 일어판 명칭의 변형이 많으며 다른 인물들은 방영 당시의 심의 기준에 따라 번안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 편이다.[* [[와카사 루미]]는 원판 이름을 아나그램하여 '위스카 아람'이 되었으며 [[와키타 카네노리]]는 원판이 'Time is money'를 아나그램한 것과 비슷하게 'Sigan Gum'을 아나그램한 '김상우'가 되었다. 이외에도 [[후루야 레이]]는 레이가 일본어로 영(零)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강준영'으로 로컬라이징했다. 여기서 성인 강도 원판 성의 '후루(降)' 부분을 한국식으로 읽은 것이니 결과적으로는 원판명을 대부분 따른 것.] 결과적으로 주요 인물들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어판 명칭을 따라가는 편. == 주인공 == ||
'''[[쿠도 신이치|{{{#26619c 쿠도 신이치}}}]]''' ||<#ffffff,#1f2023> ↔ ||<#ffffff,#1f2023> '''[[에도가와 코난|{{{#26619c 에도가와 코난}}}]]''' || * [[에도가와 코난]](코난) * [[쿠도 신이치]](남도일) == 도쿄도(서울특별시) == === [[베이카 가]](청솔 마을 또는 베이커 마을) === ==== [[모리 탐정 사무소]](유명한 탐정 사무소) ==== * [[모리 란]](유미란) * [[모리 코고로]](유명한) ==== [[소년 탐정단(명탐정 코난)|소년 탐정단]](어린이 탐정단[* 한국판 이름은 어린이 탐정단. 원래 '[[소년]]'은 유년기 다음 시기을 뜻하는 것으로, 성별과는 무관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소년'을 '남자 아이'만으로 국한하는 뉘앙스가 강하다. 때문에 국내의 정서에 맞춰 '어린이'로 번역된 것으로 보인다.]) ==== [include(틀:소년 탐정단)] * [[하이바라 아이]](홍장미) * [[요시다 아유미]](한아름) * [[츠부라야 미츠히코]](박세모) * [[코지마 겐타]](고뭉치) * [[아가사 히로시]](브라운) ==== [[모리 탐정 사무소#s-4.1|포와로]] ==== * [[에노모토 아즈사]](오연주) * [[아무로 토오루]](안기준) * 포와로 마스터 성우는 [[카네마루 준이치]]. 본명은 미상이며, 운영하는 카페의 이름을 [[에르퀼 푸아로]]에서 따와 포와로라고 지을 정도로 추리물 매니아다.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았으며, TVA 350-351화([[잃어버린 휴대전화]])에 잠깐 나온다. 다만 가끔씩 주변인들의 언급에 나오고 모리 코고로와 친한 지 대신 선물을 사다 준다든가 마작 약속을 잡기도 한다. 사실 이렇게 주역들하고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서도 이 작품에 등장하지 않아 나름 살인사건과 거리를 두는 행운아라고 볼 수 있겠다(...). 다만 그의 카페인 포와로에서 [[수수께끼 풀이는 찻집 포와로에서|살인 미수 사건]]이 나는 등[* 그리고 위층인 [[모리 탐정 사무소]]때문에 툭하면 [[탐정 사무소 농성 사건|인질극이라던가]] [[명탐정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폭탄 테러]]가 일어난다] 사건하고 아주 거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 타이이(대위) 성우는 [[후지타 아야]]/[[김채하]]. 카페 포와로에 자주 오는 [[묘종#삼색고양이|삼색 털]] 고양이. 타이이(대위)라는 이름은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 속 등장 인물인 [[에르퀼 푸아로]]의 친구 [[아서 헤이스팅스]] 대위에서 따와서 포와로의 주인이 지었다. 본래는 마스코 테이시(노정기)[* 성우는 [[호시노 미츠아키]]/[[이장원(성우)|이장원]].]라는 IT기업 사장이 기르던 고양이로, [[나쓰메 소세키]]에서 따온 소세키[* 더빙판에선 얼룩이.]라는 이름이었다. 마스코 사장이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어 사건 이후 에노모토 아즈사가 기르게 된다. ==== 테이탄 고등학교(청솔고등학교[* [[흔들리는 경시청 1200만 명의 인질]] 에피소드에서는 정탐고등학교.]) ==== * [[스즈키 소노코]](정보라) * [[세라 마스미]](양세라) * [[아라이데 토모아키]](황시준) - 교사 * [[조디 스털링|조디 센티밀리온]] - 교사 * [[혼도 에이스케]](문재수) * 츠카모토 카즈미(정세미) [[파일:쓰가모도가즈미.png|width=50%]] 성우는 [[쿠와시마 호코]](361~362화), [[쿠라타 마사요]](592화)/[[정유미(성우)|정유미]](6기). 테이탄 고등학교 3학년으로 가라테 부의 전 주장. [[모리 란]]의 선배며, 간혹 란이 그녀에게 배웠다면서 특이한 기술을 쓰곤 한다. [[La PomPon]] 버전의 [[謎(코마츠 미호)|謎]] 오프닝 영상에서 단역 캐릭터로서는 이례적으로 출연한 바 있다. || [[파일:KakaoTalk_20210615_092650558_01.jpg|width=100%]] || [[파일:Screenshot_20210922-000742.jpg|width=100%]] || || 361화 때 모습. 왼쪽이 나카미치, 가운데가 아이자와. || [[진홍의 수학여행]] 때 모습. 왼쪽 첫 번째가 아이자와, 왼쪽 두 번째가 나카미치. || * 나카미치(나한상) 성우는 [[야마자키 타쿠미]]/[[이호산]](361-362화), [[츠보이 토모히로]]/[[강호철]]([[적과 흑의 크래쉬|496화]]), [[마츠모토 켄타]]/강호철([[진홍의 수학여행|927-928화]]). 테이탄 고교 2학년 B반. 축구부로 활동하고 있다. [[적과 흑의 크래쉬]]편에서는 머리를 다쳐서 하이도 중앙 병원에 입원했는데, 혼도 에이스케를 도와주게 된다. [[쿠도 신이치]]와도 친해서 코난(신이치)이 독백하는 바론 폼 잡느라 [[오버헤드 킥]]을 자주 시도하니 머리를 다칠 수밖에 없다고. [[진홍의 수학여행]]편에서는 란, 세라, 소노코와 한 조로 활동하며, 소노코와 함께 푼수 역할로 등장한다. 평범한 고등학생으로서 나름의 비중을 가진 인물이지만 드문드문 등장하기에 성우가 자주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도 첫 등장인 시즌 6에서 단역으로 취급하여 이름을 받지 못했고, 시즌 8이 되어서야 나한상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 아이자와 에이스케(양재수) 성우는 [[세키 토모카즈]]/[[박성태(성우)|박성태]](361화), [[토노자키 유스케]]/[[김다올]](927화). 테이탄 고교 2학년 B반. 축구부로 활동하고 있다. 입원 중인 나카미치에게 병문안을 하러 하이도 병원에 왔었다고 언급된다. 혼도 에이스케(瑛祐)와는 다른 글자인 에이스케(栄介)를 쓴다. [[진홍의 수학여행]] 때는 신이치와 나카미치와는 다른 방에 배정되었지만, 신이치네 방 친구들과 [[플레잉 카드|트럼프]] 카드 게임을 하다 자기 방에 돌아가지 않고 그대로 잠들게 된다. || [[파일:KakaoTalk_20210615_092650558.jpg|width=100%]] || [[파일:Screenshot_20210922-000521.jpg|width=100%]] || || 361화 때 모습. 왼쪽이 히다카, 가운데가 타시로. || [[진홍의 수학여행]] 때 모습. 왼쪽이 타시로, 오른쪽이 히다카. || * 타시로 성우는 [[유카나]]/[[여민정]](361화), [[카와카미 아야]]/[[박시윤(성우)|박시윤]](928화). 테이탄 고교 2학년 B반. 안경을 쓴 여학생으로, 신이치를 추리 바보라고 생각하며, 란을 따라 고등학교에 온 코난에게 "진짜, 쿠도 군이 작아진 것처럼 건방진 얼굴을 하고 있네"라고 농담하자 코난은 쓴웃음을 짓는다. [[진홍의 수학여행]] 애니메이션에선 원작과 달리 등장하는데, 란, 소노코, 마스미와는 다른 조로 활동한다. 신이치와 란의 관계가 발전하는 것을 흐뭇하게 바라보며, 신이치가 수학여행 도중에 떠나가자 사건에 대한 내용을 마스미에게 물어보기로 한다. * 히다카 성우는 [[아이카와 리카코]]/[[한인숙]](361화), [[타자와 마스미]]/[[강새봄]](928화). 테이탄 고교 2학년 B반. 타시로와 마찬가지로 신이치를 추리 바보라고 생각하며, 란을 따라 고등학교에 온 코난에게 "신이치처럼 추리 바보는 되지 마라"고 농담하자 코난은 "냅두셔"라고 속으로 투덜댄다. [[진홍의 수학여행]] 애니메이션에선 원작과 달리 등장하는데, 란, 소노코, 마스미와는 다른 조로 활동한다. 신이치와 란의 관계가 발전하는 것을 흐뭇하게 바라보며, 신이치가 수학여행 도중에 떠나가자 서운해했다. 이 둘은 한국판 361화에서 등장했을 땐 '수다쟁이 여자애들'이라고만 지칭되며 이름을 부여받지 못했고 진홍의 수학여행 때도 이름이 따로 언급되지 않았다. * 세키자와 유미 성우는 [[타이치 요우]]. 테이탄 고교 2학년생. 언니인 세키자와 레미[* 성우는 [[미나구치 유코]].]가 모델 일을 하고 있으며, 파티에 란과 세라, 코난 일행을 초대했다가 사건에 휘말린다. * 2학년 B반 담임 || [[파일:Screenshot_20210921-230829.jpg|width=100%]] || || [[진홍의 수학여행]] 때 모습. 사진 왼쪽에서 세 번째. || 성우는 [[츠지 신파치]](304화), [[스가와라 준이치]](343화~)/[[김다올]](928화). [[흔들리는 경시청 1200만 명의 인질]] 편에서 전국 모의고사 도중에 잡담하는 소노코와 란을 꾸짖지만, 이어폰으로 도쿄를 뒤흔든 [[도쿄 타워]] 폭탄 설치 사건의 라디오를 들으며 초조해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피곤한 기색의 조디 선생님에게 상담해 드릴까 물어볼 정도로 인품은 좋다. [[진홍의 수학여행]] 인솔 때 신이치가 '자신이 사건에 관련되었다는 것을 덮고 싶다'는 메시지를 학생들에게 전하며 SNS에 올리지 말라고 지시하는 사려깊은 모습도 보여준다. * 이토 타마노스케(2기 강태원, 7기 장동원) [[파일:강태원.jpg]] 성우는 [[호시 소이치로]]/[[신용우]](2기), [[최지훈(성우)|최지훈]](7기).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공연 극단의 2대 단장으로, 아버지가 1년 전 병으로 죽어 그 뒤를 이어 나이 어린 단장이 되었다. 17세. 애니메이션 126화에서 첫 등장했다. 공연 때문에 잠깐 테이탄 고등학교에 다녔을 때 [[모리 란]], [[스즈키 소노코]]와 같은 반이 되었다. 이 때의 인연으로 이 둘과 [[소년 탐정단(명탐정 코난)|소년 탐정단]]과 친분이 생겼기에 연락을 하고 있으며, 가끔 란 일행이 타마노스케의 극단의 공연을 보러 공연이 열리고 있는 지방으로 가곤 한다. 덧붙여서 한국 방영에선 재등장할 때 번역가가 다른 사람인 줄 알았는지 27세로 표기되었다. ==== 테이탄 초등학교(청솔초등학교) ==== * [[코바야시 스미코]](김은주) - 교사 * [[와카사 루미]](위스카 아람) - 교사 * [[히가시오 마리아]](마리아) - 1학년 학생 * 오하타 마사유키(김영수) [[파일:1575106602288-23.jpg|width=40%]] 성우는 [[우시야마 시게루]]. 테이탄 초등학교 1학년 A반(1학년 1반) 담임. 나이는 31세. 교무실에서 창문을 여는 바람에 교감선생님의 가발이 날아가게 만들었다. * 우에마츠 류지로(송재용(2기), 송해진(10기)) [[파일:1575106641706-22.jpg|width=40%]] 성우는 [[키요카와 모토무]] / [[황원]](2기), [[손종환]](10기). 테이탄 초등학교 교장. 나이는 59세. 속 시원히 비밀이 풀리지 않자 [[코지마 겐타]]가 벽을 걷어차는 모습을 보고 꾸짖으며 테이탄 초등학교가 개교한 지 어언 30년이 되었다고 말하였다. 테이탄 초등학교 불가사의 편에서 교감 선생님의 날아간 가발을 숨긴 사람이 바로 이 교장 선생님이다. [[명탐정 코난/법정의 대결#s-5|법정의 대결 Ⅳ 재판원 코바야시 스미코]] (국내판 10기 41~42화)에서 재등장했을 때 한국판 이름이 송해진으로 변경되었다. [[신임 교사의 해골 사건]] 때는, 옛날 창고를 풍수지리 때문에 철거하지 못한다고 하며, 우리 학교에 경찰이 10년만에 왔다고 직접 언급하며 재등장하였다. 불길한 날의 참관 수업 편에서도 등장하여 화단에서 일어났던 화재 사건의 범인이었던 [[하이바라 아이]]와 [[히가시오 마리아]]에게 화단 정리와 한달 동안의 당번을 맡기는걸로 관대하게 처리하고 넘어갔다. * 테이탄 초등학교 교감 성우는 [[나카지마 토시히코]]/[[김정호(성우)|김정호]]. 테이탄 초등학교 불가사의 편에서 이틀 동안 결근 중인데, 사실은 교무실에서 바람에 날려 사라진 가발을 밤마다 찾고 있었다. 가발이 없으면 학교를 못 다닌다고 할 정도인 것으로 보아 탈모에 민감한 것으로 보인다. * 이토 메구미(2기 강예슬, 7기 장주미) [[파일:강예슬.jpg]] 성우는 [[아키야마 루나]]/[[한신정]](2기), [[김영은(성우)|김영은]](7기).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로 애니메이션 126화에서 첫 등장했다. 이토 타마노스케의 여동생으로 7세, 지방공연 극단의 단원. 오빠와 같이 공연하고 있으며 잠깐 테이탄 초등학교에 다닌 적이 있다. 보통 타마노스케가 등장하면 메구미도 등장한다. [[에도가와 코난]]에게 호감을 갖고 있어[* 코난이 오빠 어린시절과 닮아서다.] [[요시다 아유미]]랑 신경전도 벌인 적은 있어도 아유미와 전화를 했을 때 언급으로 나왔다. 아유미와 사이는 무조건 안 좋은 사이는 아닌 듯하다. ==== 기타 인물 ==== * [[오키야 스바루]](최수현) * [[와키타 카네노리]](김상우) * [[지이 코노스케]](지인호) [[MAGIC KAITO]] 출신 인물로 모리 코고로가 간 적이 있는 블루 패럿의 주인이다. * 오구라 카츠마사(오창수) 성우는 [[우오 켄]]/[[김영진(성우)|김영진]] 죽을만큼 맛있는 라면 편에서 등장한 '라면 오구라'의 사장님으로 라면은 맛있지만 가게의 손님은 적다. 하지만 코난이 2번 방문한 덕분에 2번씩이나 살인사건이 일어난 가게의 사장이며--대신 가게의 손님은 늘었다.-- 재등장 할 때는 세라가 단골이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 오오하시 사요(은채영) 성우는 [[히라마츠 아키코]]/[[김새해]] 죽을만큼 맛있는 라면 편에서 등장한 '라면 오구라'의 아르바이트생으로 첫 등장시 사장님과 당일 손님 10명 이상 방문하나 내기를 했는데 코난과 코고로 덕분에 딱 10명이 되어서 내기에서 졌다. 이 라면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데에는 사연이 있다. * 안노(안지환) - 모리 코고로의 마작 친구들 중 한 명. 사실 모리와의 인연보다는 [[미즈나시 레나]]의 팬으로서의 비중이 더 크다. 등장 에피소드도 미즈나시 레나와 관련된 [[적과 흑의 크래쉬]] 뿐이고, TV 스페셜로 방영한 도망자 모리 코고로에서 한번 더 나온 정도. '아이나'라는 이름을 붙인 닥스훈트 강아지를 기르고 있다. 성우는 [[시바모토 히로유키]] / [[이주창(성우)|이주창]][* [[아카이 슈이치]], [[쿄고쿠 마코토]]와 중복이다.] --[[안지환|어라?]]-- === 하이도 가(하이드 가) === * [[쿄고쿠 마코토]](오경구) - 3학년 학생 * 와다 히나(양나래) (和田陽奈) [[파일:와다 히나.png|width=400]] 성우는 [[코마츠 미카코]][* 코마츠 미카코는 유명한 명탐정 코난 팬 중 한명이다.]/[[정유정(성우)|정유정]]. 단행본 89권 File. 5~7(TVA 847, 848화)에 등장하는 하이도 고등학교의 가라테부 2학년 학생으로 [[쿄고쿠 마코토]]의 후배다. 애니메이션에서 첫 등장은 [[명탐정 코난: 에피소드 원 - 작아진 명탐정]]. 날치기범을 제압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무슨 칼을 든 날치기범을 맨손으로 제압하냐--도대회에서 란과 결승에서 만나 패배했다.[* 처음에는 조금씩 란에게 우위를 점하나, 그러다 신이치가 사건이 생겨 가버리자 열 받은 란이 분노 게이지를 올리는데, 상당한 살기 였는지 본인과 심판이 흠칫할 정도였다.] 이후 [[치바의 UFO 난사건]]에서 UFO 추적 의뢰자로 등장한다. 시합에서 자주 만나다보니 란과는 전화와 문자를 주고 받을 정도로 친하다지만, 그와는 별개로 란을 한번도 이긴 적이 없어서 이기기 위해 열심히 노력 중이다. UFO나 우주에 관해 호기심이 많은 순수한 여고생의 모습도 가지고 있다. --[[아카이 슈이치|저 눈매 어디서]] [[메리 세라|많이]] [[세라 마스미|봤는데?...]]-- * 시부야 나츠코(하민정) [[파일:시부야 나츠코.jpg]] 성우는 [[카사하라 루미]]/[[오수경]]. 하이도 초등학교 여교사로 나이는 32세. [[조디 센티밀리온|조디 스털링]]의 친구로 미국 유학 중에 사건에 휘말린 곳을 도와 준 인연으로 알게 되었다. 조디에게 일본어를 알려주어 다른 영어 교사로 잠입할 때에도 여러가지로 지원했다. 시험 평가를 둘러싼 사소한 오해에서 학부모와의 문제에 휘말려 계단에 떠밀려 중태가 되지만, 무사히 의식을 되찾았다.[* 시부야 자신도 반성을 하고있는지 병문안을 온 조디에게 비밀로 해달라고 말한다.] 조직의 구성원이자 탐정인 [[아무로 토오루]]한테 스토킹 피해 상담을 하고 있었지만, 반대로 아카이 슈이치의 소식을 바라는 버본에 의해 사건에 이용되었다. 사실상 [[아카이 슈이치]]의 비밀을 다룬 에피소드인 주홍색 시리즈의 시작점을 여는 인물이자 조디와 관련된 사람인 셈이다. === 에코다 고등학교(고은고등학교) === * [[쿠로바 카이토]](고희도) * [[나카모리 아오코]](임청아) * [[코이즈미 아카코]](진홍은) * [[모모이 케이코]](이혜미) == 지방 도시 == === [[오사카부]]([[부산광역시]]) === ※ 오사카 부경의 오사카 경찰본부 관련 인물들이 주로 등장한다. 오사카 부경은 한국어 더빙판에서 [[부산지방경찰청]]으로 현지화되었으며, 부산 방언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경찰 관련 등장인물은 [[#오사카부 경찰본부(부산지방경찰청)|오사카부 경찰본부(부산지방경찰청)]] 문단 참고. * [[핫토리 헤이지]](하인성) * [[토야마 카즈하]](서가영) * [[핫토리 시즈카(명탐정 코난)|핫토리 시즈카]](윤정화) * [[핫토리 헤이조]](하철규->하평무) === [[교토부]]([[경상북도]], [[경상북도]] [[경주시]]) === ※ 18기 때 [[교토시]]를 "경도"로 현지화했으며 2022년 4월에 OTT로 공개된 "[[대괴수 고메라vs가면 야이바|대괴수 고메라 VS 가면 사나이]]"에서 "경상북도"로 현지화됐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동남 방언|경북 사투리]]를 쓰지 않는다. * [[오오카 모미지]](모미지) * [[이오리 무가]](허준혁) * [[오키타 소지(명탐정 코난)|오키타 소지]](최성민) [[YAIBA]]도 같이 참조. == 경찰 == === [[경찰청(명탐정 코난)|경찰청]] / [[경시청(명탐정 코난)|경시청]]([[서울특별시경찰청|서울지방경찰청]][* 기존의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서울지방경찰청'(정식 명칭은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이었음)으로 현지화해왔다. 3기 이후로는 경시청과 글자수를 맞추기 위해서인지 경찰청으로 하였고, 몇몇 에피소드에서는 서울청으로 언급하였다. 그러나, 2021년 7월 [[자치경찰제]]가 도입됨에 따라 ''''서울경찰청''''(정식명칭 ''''서울특별시경찰청'''')으로 현실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22기 14화 기준 언급 없음.]) ===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경시청)] ==== 형사부 ==== ===== 수사1과 ===== * [[메구레 쥬조]](골롬보[* 본명은 '''골한석'''이다.]) - 경부, 강행범3계(강력3계) * [[사토 미와코]](오지인) - 경부보, 강행범3계 * [[타카기 와타루(명탐정 코난)|타카기 와타루]](신형선) - 순사부장, 강행범3계 * [[시라토리 닌자부로]](백동훈) - 경부, 강행범3계 * [[치바 카즈노부(명탐정 코난)|치바 카즈노부]](이명수) - 순사부장, 강행범3계 * [[쿠로다 효우에]](현병위) - 경시 * [[마츠모토 키요나가]](박종태) - 경시 → 경시정 * [[유미나가 토비오]](봉지만) - 경부, 화재범수사계(화재수사과) * 후지마키 마나부 - 경부[anchor(후지마키 마나부)] [[파일:후지마키 마나부.jpg|width=200]] 성우는 [[긴가 반조]] / [[???]]. 더빙판에서는 단역 취급을 받아 수시로 바뀌었으며 이름도 없다. [[명탐정 코난/본청의 형사 사랑 이야기#s-9|358화(더빙판 : 6기 25화)]]에 첫등장. 사토 형사의 데이트를 방해하기 위해 다카기 형사를 살벌한 얼굴로 심문하고(...), 다른 동료들과 잠복을 할 정도로 사토 형사의 열렬한 팬(?)이다. '사토 미와코 절대 방어라인'이라는 경찰 내 팬클럽의 리더격 존재로 나온다. [[대머리]]이며, 사건만 종결되면 술을 마시러 간다고 한다. 또한 루팡 3세의 팬임을 밝혔다. 극장판 2회[* 루팡 3세 극장판, 할로윈의 신부] 출연, TVA 10편[* 358~9화, 390화, 449화, 681~3화, 693화, 749화, 980화] 출연으로 존재감에 비해 상당히 많이 얼굴을 비춘 인물이다. * 카츠라기 켄조(윤일건)[anchor(카츠라기 켄조)] [[파일:카츠라키 켄조.jpg|width=200]] 성우는 [[안장혁]]. 나이는 45세. 특수범수사계(특수범죄수사대)의 경부(경감)로 TV 오리지널 562화(더빙 : 10기 15화) 레인보우 컬러의 유괴 편에 등장한다. ===== 수사2과 ===== * [[나카모리 긴조]](임은삼) - 경부, 지능범수사계 * [[챠키 신타로]](차기태) - 경시 ==== 교통부 ==== ===== 교통집행과(교통안전과) ===== * [[미야모토 유미]](김유미) - 경부보 * [[미이케 나에코]](정나혜) - 순사부장 * 누마타 순사 - 순경 [anchor(누마타)] || [[파일:누마타 순사.jpg|width=150]] || [[파일:누마타 순사2.png|width=150]] || 성우는 [[노다 준코]]([[잃어버린 휴대전화|350화, 351화]]), [[나카무라 치에]]([[굉장한 비밀의 통학로|428화]]), [[나가사와 나오]](624화). 미이케 나에코가 나오기 전 미야모토 유미와 함께 다니던 둥글둥글한 인상의 교통과 경찰. 보통 운전을 누마타가 하는 경우가 많았다. 미니 순찰차 면허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경험이 많은 [[미야모토 유미|유미]]에게 운전을 맡기는 것이 대부분이다. [[미이케 나에코|나에코]]와 친한 사이라 [[치바 카즈노부(명탐정 코난)|치바]]와의 연애에 주도권을 잡도록 응원한다. TVA 총 7회[* 350~1화, 402화, 425화, 428화, 449화, 624화] 출연. 최근 등장 모습은 이전과 많이 다른 모습이다. --코 성형?-- ==== 공안부 ==== * [[후루야 레이]](강준영)[* 여기서 유일하게 경찰청 소속이다. 정확한 소속은 '경찰청 경비국 경비기획과'이다.] - 경부 * [[카자미 유우야]](심재형) - 경부보 * 카자미의 부하 1,2 [anchor(공안부 부하)] || [[파일:공안부 요원1 22.png|width=150]] || [[파일:공안부 요원1.png|width=150]] || [[파일:공안부 요원7.png|width=150]] || [[파일:공안부 요원1 3.jpg|width=150]] || 성우는 [[시무라 토모유키]] / [[황동현(성우)|황동현]]. 총 6회 등장. || [[파일:공안부 요원2 22.png|width=150]] || [[파일:공안부 요원2.png|width=150]] || [[파일:공안부 요원6.png|width=150]] || [[파일:공안부 요원1 4.jpg|width=150]] || 성우는 [[사토 비이치]] / [[김동현(CJ ENM 성우)|김동현]]. 총 6회 등장. [[카자미 유우야|카자미]]가 거느리고 있는 두 부하이다. [[명탐정 코난: 순흑의 악몽]]에서 [[큐라소(명탐정 코난)|큐라소]]에게 공격당하여 [[너는 이미 죽어 있다|저항없이 쓰러지는]] 모습을 보였다. 후반부에선 [[대관람차]]에서 기절한 [[카자미 유우야|카자미]]에게 건 전화가 먹통이라 답답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22기 극장판]]에선 범인으로 지목된 [[모리 코고로]]를 체포해 연행하는 것으로 재등장.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25기 극장판]]에서는 [[에도가와 코난|코난]]을 미행하며 [[아무로 토오루]]가 있는 비밀 쉘터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제로의 일상]]에서 카자미의 업무 조언을 받는 등 여러 번 모습을 비춘다. ==== 기타 소속 인물 ==== * [[하쿠바 경시총감]](백 청장) * 사메자키 토지(서석철)[anchor(사메자키 토지)] [[파일:BqEZeUt.png|width=200]] 성우는 [[시바타 히데카츠]] / [[이근욱]] 나이는 62세로 경시청 형사부 전 수사1과 경시. 애니메이션 174화 [[20년째의 살의 심포니호 연속 살인사건]]에서 나온다. 20년 전 코고로와 함께 4억엔 강도사건을 맡았다. 오사카경찰본부장(부산경찰청장)인 핫토리 헤이조(하평무)와 검도 라이벌로서 아는 사이이다. * 타카기 쵸스케(신윤호)[anchor(타카기 쵸스케)] 성우는 [[이시모리 탓코우]] / [[최준영(성우)|최준영]]. [[명탐정 코난/본청의 형사 사랑 이야기#s-9|타카기가 돗토리로 전근갈 뻔한 에피소드]]에서 등장. 계급은 경부(경감)로 "쵸 씨(윤호 선배)"로만 불리는 관록 많은 명형사였는데, [[치바 형사]]의 집에서 벌어진 사건을 마지막으로 해결하고 돗토리현경으로 옮겨갔다고 한다. 메구레 경부의 2기 윗 선배로 수사1과에서 뼈가 굵 잔은 베테랑 형사로 추정된다. 이름 유래는 탤런트 [[이카리야 쵸스케]].[* 여담이지만 누마부치 키이치로가 탈옥했던 사건에서 [[야마무라 미사오]]가 [[요시다 아유미]]의 응원을 듣고는 "이제부턴 '야마 형사'라고 불러주세요."라고 했는데 쵸&야마 콤비의 패러디로 보인다([[20세기 소년]]에서도 비슷한 패러디가 등장). 코난한테는 비웃음을 샀지만(…)] * 모모세(장모세)[anchor(모모세)] || [[파일:모모세1.png|width=150]] || [[파일:모모세2.png|width=150]] || [[파일:모모세3.jpg|width=150]] || 성우는 [[시오야 코조]] / [[김국진(성우)|김국진]]. 수사 3과(절도 담당)에 소속된 경부. 히나인형 사건, 요괴 창고 사건에서 등장. * 토메 씨[anchor(토메)] 성우는 [[나카지마 토시히코]] / [[김기흥]]. 경시청 감식반 수사관. 작중에는 사건의 진상을 푸는데 필요한 증거물, 루미놀 반응, 초연 반응, 지문 등을 알려주는 역할이다. 코난에게 사건 현장을 조사해서 결과를 전달해 주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이며 매번 토메 씨(토메 상)으로만 불리기 때문에 풀네임은 알 수 없다. 딸로 추정되는 감식반원[* 성우는 [[한바 토모에]]. 애니메이션 스태프가 딸임을 밝혔다.]이 함께 등장하기도 했으나, 성우 사망 이후로는 등장이 없다. 애니메이션 초반부터 종종 등장하곤 했다. 2023년 1월까지 계산한 바론 TV판 총 58회, 극장판 총 4회 등장하였다. * 츠지무라[anchor(츠지무라)] || [[파일:츠지무라1.jpg|width=150]] || [[파일:츠지무라3.jpg|width=150]] || [[파일:츠지무라2.jpg|width=150]] || 성우는 [[스즈키 타쿠마]]. 경시청 감식반 검시관. [[실눈캐]]이며 뛰어난 의학지식으로 변사체를 조사한다. 397, 424, 433, 441화 총 4회 등장. ==== 순직자 ==== * [[경찰동기조]] * [[마츠다 진페이]](송보윤) - 폭발물처리반 → 수사1과 * [[다테 와타루]](태형선) - 수사1과 * [[하기와라 켄지]](하기완) - 폭발물처리반 * [[모로후시 히로미츠]](천영웅) - 공안부 * 사토 마사요시(오정현)[anchor(사토 마사요시)] [[파일:사토 마사요시.jpg]] 성우는 [[오오카와 토오루]]/[[김영찬(성우)|김영찬]].[* [[치바 카즈노부(명탐정 코난)|이명수]]도 같이 맡고 있다.] [[경시청]]([[서울지방경찰청]]) 수사1과 강행범 3계 경부이자 [[사토 미와코]]의 아버지. 고등학생 때 야구부 주장을 맡았으며 18년 전 살인범 추적중 트럭에 받혀 사망했다.[* 참으로 안타까운 게 하필이면 이날은 비가 심하게 내려서 교통 상황이 정체가 꽤 심할 때라 구급차가 제 때 도착하지 못해서 골든타임을 놓치고 만 것이었다.] 이때가 향년 38세이며, 나중에 경부에서 경시정으로 2계급 특진했다. 한국으로 치면 경감에서 총경으로 추서된 사례다. 그가 죽을 때 남긴 수수께끼의 말 '수해'로 인해 이 사건이 '수해 사건'으로 언론에 보도되어 세간에 유명하게 되었으며, 딸인 사토 미와코 형사가 나중에 사건을 종결지었다.[* 범인인 친구에게 "자수해(지슈시로)……." 라고 말한 것을 앞에 한 글자를 미처 못 듣고 '수해' (슈시로(愁思郞))가 된 것.] 참고로 사토 미와코의 정의에 대한 지론(정의란 말은 함부로 말하지 말하라)은 마사요시가 딸 미와코에게 남긴 유언이다. 경찰학교편에서는 자신의 후배인 오니즈카 교관한테 자신의 차를 맡겼다고 언급되는 것으로 나온다. * 모리무라(윤 형사)[anchor(모리무라)] 성우는 [[코니시 카츠유키]] [[마츠모토 키요나가]]의 얼굴에 흉터를 남긴 '렛잇비 연쇄살인 사건' 당시 순직한 인물. 키요나가의 동료이자 [[메구레 쥬조]]의 상사였다. 살인범을 추격하던 도중 교통사고로 사망하였으며, 순직 후 2계급 특진했다고. 고인이라 큰 비중은 없다. * 모모사키 토코 (박동희)[anchor(모모사키 토코)] 성우는 [[사이토 키미코]] / [[유영(성우)|유영]] [[표적은 경시청 교통부]](TVA 971화 ~ 974화)에서 등장한 교통집행관의 순사부장으로 유도 3단 소유자였다고 한다. 토코가 경찰인 것을 안 범인이 화장실에서 여자아이가 우는 소리가 들린다고 하며 공중 화장실 쪽으로 유인해 살해한다. * 야기 시오리 (양시원)[anchor(야기 시오리)] 성우는 [[네야 미치코]] / [[이달래]] [[표적은 경시청 교통부]](TVA 971화 ~ 974화)에서 등장한 교통부 경찰이다. 모모사키 토코가 죽은 뒤, 야기는 범인의 정체를 알아채, 범인의 친구들에게 물어본 다음 범인이 있는 곳을 알아냈지만[* 야기가 비번인 날이었기에 유미는 얌전히 집에 있으라고 충고했지만 무시하여 범인을 찾으러 간 것이다.] 결국 범인이 문을 닫으려고 하자 제지하는데 전기충격기에 공격당한 이후 아파트에서 내던져져 추락사한다. 사망하기 직전에 휴대폰으로 7155를 남겼는데 이는 전화번호가 아니라 도로교통법 71조 5-5항[* 자동차 운전 중 휴대전화를 들고 통화하거나 그 화면을 보는 것은 안 된다는 법이다. 한국은 이와 비슷한 내용이 도로교통법 제49조 제10항에 있다.]을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정작 교통부인 유미는 전혀 모르고 있었고 이 사실을 알아차린 사람은 코난 한 명 뿐이었다. === 지방 경찰청 ===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지방 경찰청)] * 2021년 7월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서울지방경찰청)은 '''서울특별시경찰청(서울경찰청)'''으로, 부산광역시지방경찰청(부산지방경찰청)은 '''부산광역시경찰청(부산경찰청)'''으로, 강원도지방경찰청(강원지방경찰청)은 '''강원도경찰청(강원경찰청)'''으로 바뀌었다. 타 지역 경찰청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기존의 '지방경찰청'이란 용어도 적절히 바꿀 필요가 있다. 2022년에 방영된 20기에 "지방경찰청" 을 그대로 갖고 갔다. ==== [[오사카부 경찰본부(명탐정 코난)|오사카부 경찰본부]]([[부산광역시경찰청|부산지방경찰청]]) ==== [anchor(오사카 부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오사카부 경찰본부)] [[오사카부]]의 경찰을 말한다. 2021년 자치경찰체 도입에 따라 2022년 4월 기준으로 현지화된 '부산지방경찰청'이란 용어는 ''''부산경찰청''''(정식명칭 ''''부산광역시경찰청'''')으로 바뀌어야 한다. * [[핫토리 헤이조]](KBS판/애니맥스판 하철규, 투니버스판 하평무) - 오사카경찰본부장. * [[토야마 긴시로]](서원상) - 오사카경찰본부 형사부장. * [[오오타키 고로]](김대용) - 오사카경찰본부 수사1과 강력계 경부. * 쿠스카와(楠川/남진철) [anchor(쿠스카와)] || [[파일:쿠스카와(1).png|width=150]] || [[파일:쿠스카와(2).png|width=150]] || [[파일:쿠스카와(3).png|width=150]] || [[파일:쿠스카와(4).jpg|width=150]] || 성우는 [[미야타 히로노리]]/[[오인성]]. 원래 [[토야마 긴시로]]의 부하였던 오사부경 소속 형사였지만, 도박 문제[* [[모리 코고로]]의 언급에 따르면 경마, 경륜, 경정 등 도박에 사족을 못 썼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탈세 변호사에게 충고해준 것을 '도박 자금을 뜯어내기 위해 협박한 것'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때문에 쫓겨나게 되었다. 현재는 ''''하이도 탐정 사무소''''를 운영하는 사립탐정으로 활동한다. 작중[* 323~4화 핫토리 헤이지 절체절명 편]에서는 [[토야마 긴시로]]에게 편지를 보낸 뒤 연락이 두절된다. 사실 쿠스카와 어머니가 탈세한 어느 변호사에게 신세를 진 적이 있어 신을 떠받들듯이 모셨는데, 어머니의 환상을 깨뜨리고 싶지 않아 그 변호사에게 그만두라고 설득하기 위해 갔다고 한다. 하지만 납치/감금/폭행을 당했고, 구출된 이후 구급차에 실려가게 된다. * 사카타 유스케(조유석) [anchor(사카타 유스케)] || [[파일:사카타 유스케(1).png|width=150]] || [[파일:사카타 유스케(2).png|width=150]] || [[파일:사카타 유스케(3).png|width=150]] || [[파일:사카타 유스케(4).jpg|width=150]] || 성우는 [[이치조 카즈야]]/[[이주창(성우)|이주창]]. 26세. [[핫토리 헤이지]]가 '형'이라고 부르는 오사카부 수사 1과 형사. [[나니와의 연속 살인사건]]에서 헤이지의 부탁으로 경찰차를 몰고 이리저리 관광[* 경찰차를 개인 용도로 쓰는건 위법행위이며 사건에 휘말려 경찰차가 부숴진 것에 대해 경위서(시말서)를 썼다.]을 다닌다. ==== [[나가노현 경찰본부(명탐정 코난)|나가노현 경찰본부]]([[강원도경찰청|강원지방경찰청]]) ==== [anchor(나가노 현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나가노현 경찰본부)] [[경시청]]을 제외하고는 가장 비중이 많은 현경이다. 여담으로 나가노 현경의 주요 인물 3인방은 경찰 관계자들 중에서도 실력이 매우 뛰어난 편.[* 작중에서 그들 이상을 하는 경찰들은 오사카 부경이 유일하다. 본청 형사들보다도 우위.][* 그도 그럴것이 야마토와 모로후시는 코난에 버금가는 능력자이고, 3명 중 가장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 유이마저도 본청 형사들 중 추리력은 1위인 사토와 비슷한 수준이다.] 2021년 자치경찰체 도입에 따라 시즌 20 14화 기준으로 현지화된 '강원지방경찰청'이라는 용어는 ''''강원경찰청''''(정식명칭 ''''강원도경찰청'''')으로 바뀌어야 한다. * [[야마토 칸스케]](양만호) - 나가노현(한국판에서는 강원지방경찰청) 소속 경부(경감). * [[우에하라 유이]](우하라) - 나가노현(한국판에서는 강원지방경찰청) 소속 경부보(경위). * [[모로후시 타카아키]](천공명) - 나가노현(한국판에서는 강원지방경찰청) 소속 경부(경감). 첫 등장 시에는 아라노 서(한국판 신동경찰서)로 좌천된 상태였다가 이후 자력으로 본부로 복귀. * [[현경의 검은 어둠#타케다 반|타케다 반 형사들]][* 현경의 검은 어둠 편에서 등장한 형사들이다. [[죽음|하지만...]]] * 미토 코이치(水戸 光一)(이수호) [anchor(미도 코이치)] || [[파일:미도 코이치1.png|width=150]] || [[파일:미도 코이치2.png|width=150]] || [[파일:미도 코이치3.png|width=150]] || [[파일:미도 코이치4.png|width=150]] || 성우는 [[타나카 마사히코]] / [[현경수]]. 33세. [[검은 이카루스의 날개]] 편에서 등장한, 나가노현의 유능한 형사. 코난이 '꽤 하잖아?'라고 칭찬할 정도로 상당한 추리 실력을 가지고 있다, 자살로 보일 수 있는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타살'의 가능성을 보았다는 점, 설득력 있는 추리를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모리 코고로]]도 용의선상에 넣는다.]는 점 등... 다른 단역 형사와는 차별화된 통찰력을 보인다. 흔히 미'''도'''로 알려져 있는데 미'''토'''가 맞다. * 야마다 [anchor(야마다 형사)] || [[파일:야마다 형사1.png|width=150]] || [[파일:야마다 형사2.png|width=150]] || [[파일:야마다 형사3.png|width=150]] || [[파일:야마다 형사4.png|width=150]] || 성우는 [[타나카 마사히코]] / [[정승욱]]. 143화 의혹의 천체관측 편에서 등장한다. 관측 사진들의 감정을 지시한 뒤 '불행한 사고'였을 뿐이라고 단정짓는다. 하지만 [[스즈키 소노코|잠자는 소노코]]의 추리에 의해 범인이 밝혀졌고, 자신이 잘못되었음을 깨닫는다. ==== [[교토부 경찰본부(명탐정 코난)|교토부 경찰본부]]([[경상북도경찰청|경북지방경찰청]]) ==== [anchor(교토 부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교토부 경찰본부)]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기존의 '경북지방경찰청'이란 용어는 ''''경북경찰청''''(정식명칭 ''''경상북도경찰청'''')으로 바뀌어야 한다. * [[아야노코지 후미마로]](노호지) - 교토 부경(한국은 경북지방경찰청) 소속의 경부로 다람쥐를 파트너로 두고 있다. 원래는 [[미궁의 십자로|극장판 7기]]의 오리지널 캐릭터로 TVA 오리지널로는 694화 '[[사라진 전통의 화과자]]' 편에서 처음 등장했고, 원작에서는 '''[[진홍의 수학여행|붉은 수학여행]]'''(TVA 927~928화)에서 처음 등장했다. * 쿠루마자키(車折/OOO) [anchor(쿠루마자키)] || [[파일:쿠루마자키1.png|width=150]] || [[파일:쿠루마자키2.png|width=150]] || [[파일:쿠루마자키6.png|width=150]] || [[파일:쿠루마자키3.png|width=150]] || 성우는 [[사와키 이쿠야]]. 교토 부경 소속의 형사이자 [[아야노코지 후미마로]]의 부하. 694화 [[사라진 전통의 화과자]] 편에서 차를 타고 아야노코지가 부탁한 사진 자료를 가져오며 첫등장하였다. 사건 후반에는 모리 코고로의 추리 증명을 도와준다. [[명탐정 코난: 절해의 탐정|17기 극장판]] 중반부부터 헬기를 타고 이지스함에서 아야노코지 경부와 함께 등장, 자위대원인 사사우라의 살해 직전 행적을 조사해온 뒤 범인 체포 시점까지 서포트한다. [[명탐정 코난: 이차원의 저격수|18기 극장판]]에선 미군 대위 월츠가 묵고 있는 호텔에서 짧게 등장. ==== [[가나가와현 경찰본부(명탐정 코난)|가나가와현 경찰본부]]([[인천광역시경찰청|인천지방경찰청]]) ==== [anchor(가나가와 현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가나가와현 경찰본부)] 2021년 자치경찰체 도입에 따라 기존의 '인천지방경찰청'이라는 용어는 ''''인천경찰청''''(정식명칭 ''''인천광역시경찰청'''')으로 바뀌어야 한다. * [[요코미조 쥬고]](천범기) - 가나가와 현경(한국판에서는 인천지방경찰청) 소속 경부(경감). * [[하기와라 치하야]](하OO) - 가나가와 현경(한국판에서는 인천지방경찰청)의 교통부, 정확히는 제3교통 기동대의 소대장. 계급은 경부보. [[하기와라 켄지]]의 누나다. * 아오키(이형식) [anchor(아오키)] [[명탐정 코난: 탐정들의 진혼가|10기 극장판]]에서 언급된 [[오오타키 고로]]의 사촌 동생. 극중 한턱 거하게 쏘겠다며 사건 조사를 부탁하는 [[오오타키 고로]]와 통화하였다. * 쥬고의 부하 형사 1 [anchor(가나가와)] || [[파일:가나가와1.png|width=150]] || [[파일:가나가와2.png|width=150]] || [[파일:가나가와3.png|width=150]] || 성우는 [[치바 잇신]](284~6화) [[야나기사와 에이지]](598화) [[카와무라 타쿠오]](680화) [[한다 유스케]](740~1화). 이름은 없으나 총 7회[* 284~6화, 598화, 680화, 740~1화] 비춰졌다. 항상 [[요코미조 쥬고]]의 곁에 등장하여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사건 수사 중 쓰러진 [[모리 란|란]]을 베이브릿지 건너 구급 지정 병원으로 옮기는 역할[* 원래는 구급차를 부르려고 했는데, 근처 병원에 [[요코미조 쥬고|쥬고]]가 아는 의사가 있다고 하여 그쪽으로 옮겼다.]을 하였다. 그 이후로도 쥬고를 따라 수첩을 들고 사건 설명과 조사를 도맡아 한다. * 쥬고의 부하 형사 2 [anchor(카나가와)] || [[파일:카나가와1.png|width=150]] || [[파일:카나가와2.png|width=150]] || [[파일:카나가와3.png|width=150]] || 성우는 [[마키시마 나오키]](284~5화) [[토리우미 카츠미]](598화). [[요코미조 쥬고]]의 보조 형사 중 하나이다. 총 5회[* 284~5화, 539화, 598화, 680화] 출연. * 겐지야마(源氏山) [anchor(겐지야마)] || [[파일:겐지야마1.png|width=150]] || [[파일:겐지야마2.png|width=150]] || [[파일:겐지야마3.png|width=150]] || 성우는 [[고 시로(배우)|고 시로]]. [[명탐정 코난: 전율의 악보|극장판 12기]]와 이어지는 OVA에서 첫 등장. 무술의 전문가로, 3년 전 [[쿠도 신이치|신이치]]가 기타 사건을 해결했던 [[가마쿠라시|가마쿠라]] 지역의 공원에서 활약한다. 기타 사건을 종결하고 신이치를 명탐정으로 인정하였다. * 하세(長谷) [anchor(하세)] || [[파일:하세1.jpg|width=150]] || [[파일:하세2.png|width=150]] || [[파일:하세3.png|width=150]] || 성우는 [[토리우미 카츠미]]. 겐지야마의 조수로, 사건 수사를 보조한다. ==== 시즈오카현 경찰본부 ==== [anchor(시즈오카 현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시즈오카현 경찰본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시즈오카 현은 유독 현지화가 왔다갔다하는 편이다. 초기 시즌에서는 강릉으로 설정되었고, 시즌 10 한정으로 강화도로 설정되기도 했다. 시즌 17에서는 동해로 설정되었다. 어느 쪽이든 다른 현경들과는 달리 [[시·도경찰청]] 단위가 아닌 [[경찰서]] 단위로 매칭되는 것이 특징. * [[요코미조 산고]](천범수) - 시즈오카 현경 소속의 경부(경감). * 시즈오카현경 과장[* 경시 계급장을 달고 있지만, 역할명은 '과장'이라고 나온다.] - 시즈오카 현경 소속의 경시(총경). [anchor(시즈오카경시)] || [[파일:시즈오카 경시.png|width=150]] || [[파일:시즈오카경시감3.png|width=150]] || [[파일:시즈오카경시감4.png|width=150]] || 성우는 [[이나바 미노루]] / [[신용우]][* 나중에 [[괴도 키드]]를 담당한다.]. 175화 [[네 번 살해당한 사내]] 편에서 첫등장한다. [[모리 코고로]]의 추리를 듣기 위해 [[요코미조 산고]]와 함께 출연한다. 횡설수설하는 코고로에게 서론은 빼고 말해달라며 재촉한다. 결국 코난의 도움으로 어찌저찌 넘어가며 마무리. * 오가와라 토모노리(大河原倫徳/장대호) [anchor(오카와라 토모노리)] || [[파일:오카와라1.png|width=150]] || [[파일:오카와라2.png|width=150]] || [[파일:오카와라3.png|width=150]] || 성우는 [[스기야마 오오키]] / [[최승훈]]. 25세. 718화 악마의 회로 편에 첫등장하였다. [[요코미조 산고|요코미조]]를 보조하며 처음엔 ′[[모리 코고로]]의 도움 따윈 필요없다′고 쏘아붙인다. 그런식으로 코고로에게 너무 의존하는 경찰에게 회의감[* ′코고로의 도움 따윈 받지 않아도 될 조직으로 성장해가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다.]을 느끼다가, 사건이 해결된 뒤 멋진 추리를 보여준 코고로를 존경하게 된다. 이후 [[명탐정 코난: 코난 실종사건 - 사상 최악의 이틀|코난 실종사건]]에서 시즈오카 현 대표로 재등장. 경찰 회의에 참석해 [[명탐정 코난/등장인물#모토하시|모토하시 형사]]와 대면한다. * 츠쿠모(九十九) [anchor(츠쿠모)] || [[파일:시즈오카츠쿠모1.jpg|width=150]] || [[파일:시즈오카츠쿠모2.jpg|width=150]] || [[파일:시즈오카츠쿠모3.jpg|width=150]] || 성우는 미정[* 2023년 3월 기준 최신화라 아직 애니화되지 않았다.] 만화판 1098~1099화(103권 예정), 산고와 함께 사건 현장에 첫등장. 시즈오카 현경의 신참 형사로, 사인을 설명하며 '요시카와 선'이 있는 것을 보고 천을 사용한 교살이라고 추측한다. 코난의 유려한 추리를 보며 당황하지만 "저건 모두 [[모리 코고로]]나 딴 사람의 추리를 전달한 것"이라고 산고가 해명하였다. 사건 중 [[와카사 루미]]에게 '살인현장에 함부로 소년 탐정단을 드나들게 하면 안된다'며 선생님 역할 좀 제대로 하라고 호통친다(...) * 쿠보타(久保多) [anchor(쿠보타)] || [[파일:시즈오카쿠보타1.png|width=150]] || [[파일:시즈오카쿠보타2.png|width=150]] || [[파일:시즈오카쿠보타3.png|width=150]] || 성우는 호리오 마사히코(堀尾雅彦). 354~5화 작은 의뢰인 편에서 등장한, 시즈오카 현경의 형사. [[요코미조 산고]]의 보조 역할을 한다. * 산고의 부하 형사 1 [anchor(쉬즈오카)] || [[파일:쉬즈오카 1.png|width=150]] || [[파일:쉬즈오카2.png|width=150]] || [[파일:쉬즈오카3.png|width=150]] || 성우는 [[나가사코 타카시]](185~6, 208, 305, 319화) [[코니시 카츠유키]](211화) [[키무라 마사후미]](245화) [[치바 잇신]](284화) [[시로쿠마 히로시]](598~9화) / [[홍범기]](3기), [[박성태]](5기). [[두꺼운 눈썹]]이 특징인 산고의 보조 형사. 총 10회 출연하였으며, [[요코미조 산고]]의 수사 과정에서 각종 정보를 전달하며 여러 사건을 서포트한다. 다른 엑스트라 형사와 달리 거의 모든 시즈오카 편(TV 오리지널)에 등장하였다. * 산고의 부하 형사 2 [anchor(사즈오카)] || [[파일:사즈오카1.png|width=150]] || [[파일:사즈오카2.png|width=150]] || [[파일:사즈오카3.png|width=150]] || 성우는 [[치바 잇신]] / [[신용우]]. 총 9회[* 185~6화, 198화 210~1화, 220~1화, 245화, 319화] 출연한 산고의 보조 형사이다. 여러 번의 출연에도 성우가 바뀌지 않아 [[치바 카즈노부(명탐정 코난)|치바 형사]]의 부캐(...)로도 불린다. 위의 [[두꺼운 눈썹]] 형사와 함께 시즈오카 편(TV 오리지널) 대부분을 담당한다. * 산고의 부하 형사 3 [anchor(씨즈오카)] || [[파일:씨즈오카0.png|width=150]] || [[파일:씨즈오카2.png|width=150]] || [[파일:씨즈오카3.png|width=150]] || 성우는 [[치바 잇신]](153~4회) [[나가사코 타카시]](159~60회) / [[김기흥]]. 총 4회 출연. [[요코미조 산고]]를 도와 수사 진행과 사건 상황을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 10년 전 형사 [anchor(잔물결 형사)] || [[파일:잔물결형사1.png|width=150]] || [[파일:잔물결형사2.png|width=150]] || [[파일:잔물결형사3.jpg|width=150]] || 성우는 [[이치조 카즈야]] / [[권성혁]]. 10년 전, [[잔물결의 마법사|잔물결 시리즈]]의 자동차 추락 사건을 담당했던, 구수한 말투의 형사. 어째서인지 인상을 쓴 채로 이리저리 캐묻기만 한다.[* 계속 의문을 제기하기만 해서 추리는 사실상 [[아카이 슈이치]]가 다 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현재 근황은 밝혀지지 않았다. ==== 군마현 경찰본부([[충청북도경찰청|충북지방경찰청]]) ==== [anchor(군마 현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군마현 경찰본부)]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기존의 '충북지방경찰청'이란 용어는 ''''충북경찰청''''(정식명칭 ''''충청북도경찰청'''')으로 바뀌어야 한다. 한국판에서는 한동안 [[군마 현]]이 강원도에 대응되었으나, 이후 작품에 [[나가노 현]]이 등장되면서 강원도를 이 쪽으로 넘겨주고 시즌 12부터 군마 현은 충청도에 대응되고 있다. 다만 충남이나 충북으로 명확하게 설정된 것이 아니라 '충청지방경찰청'이라는 가상의 편제로 소속시켰다. 시즌 15 '낫족제비의 여관'편에서 강원도(나가노 현)의 경계라고 언급했기에, 강원도와 경계가 맞닿는 충청북도의 충북경찰청이라고 보는 편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시즌 19 한국어 더빙판에서 충북지방경찰청으로 바뀌었다.[* 이와는 별개로 보통 현지화시 관동지방을 경기도로 번안하는 경우가 많고 관동지방 북부는 경기도 북부로 생각할 수 있기에, 역시 강원도와 맞닿은 [[경기도북부경찰청]]이 현지화로 더 적절하다는 의견이 있다.] * [[야마무라 미사오]](정영일) - 군마 현경 소속 경부(경감). * 야마무라의 선배 형사 [anchor(야마무라 선배)] || [[파일:군마1.png|width=150]] || [[파일:군마2.png|width=150]] || [[파일:군마3.png|width=150]] || [[파일:군마4.png|width=150]] || 성우는 [[스가와라 준이치]]. 매번 야마무라를 구박하는 포지션으로 나온다. 작중에선 아이들과 농땡이를 피우고 있던 야마무라에게 수사에 가세하라고 재촉한다. 그 후 궁시렁거리는 야마무라에게 "네가 현장검증 중에 한눈 팔아서 [[검은 조직/조직원#누마부치|누마부치]]가 도망쳤잖아!"라면서 크게 호통친다.[* 사실 야마무라의 변명에 따르면 그 당시 선배 형사도 맘대로 자리를 이탈해서 풀숲에서 볼일을 봤다고 한다...]~~속시원하다~~ [[검은 조직/조직원#누마부치|누마부치]]를 찾았지만 확보는 못했다는 야마무라의 어벙함에 꿀밤을 맥이기도 한다. 결국 붙잡힌 [[검은 조직/조직원#누마부치|누마부치]]를 연행하며 마무리. * 나카지마(中島) [anchor(나카지마)] || [[파일:나카지마1.png|width=150]] || [[파일:나카지마2.png|width=150]] || [[파일:나카지마3.png|width=150]] || [[파일:나카지마4.png|width=150]] || 성우는 [[코가미 히로미치]]. 야마무라의 부하 형사로, 457화에서 첫등장해 사건 정보를 설명해주거나 현장 각종 수사 정보를 전달한다. 사건 도중 야마무라의 말도 안되는 추리[* 피해자가 거짓말을 한 것인데 범인이 거짓말을 하였다고 몰아간다.]에 손사래를 친다. * 야마무라의 부하 형사 [anchor(야마무라 부하)] || [[파일:군마형사1.png|width=150]] || [[파일:군마형사2.png|width=150]] || [[파일:군마형사3.png|width=150]] || [[파일:군마형사4.png|width=150]] || 성우는 [[미토 코조]](601,2화) [[마츠모토 켄타]](745화). 직원들의 알리바이를 알아내 [[야마무라 미사오|야마무라]]에게 알리면서 첫등장. 당시 승진한 야마무라가 '경부' 소릴 듣고 싶어서 계속 되묻는다(...) 이후의 테니스장 사건에서도 수첩을 들고 경부가 된 야마무라를 보조한다. 나중에도 재등장하여 코난의 부탁으로 트릭 실험을 준비한다. ==== 치바현 경찰본부([[경기남부경찰청|경기지]][[경기북부경찰청|방경찰청]]) ==== [anchor(치바 현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치바현 경찰본부)]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기존의 '경기지방경찰청'이란 용어는 '경기경찰청'(정식명칭 '경기도경찰청')으로 바뀌어야 한다. 참고로 국내에는 '경기경찰청'이 '남부'와 '북부'로 나뉘어 있지만, 그것을 반영하지는 못한 듯하다. * 테라바야시 쇼지(임수일) [anchor(테라바야시 쇼지)] || [[파일:테라바야시 쇼지6.png|width=150]] || [[파일:테라바야시 쇼지2(1).png|width=150]] || [[파일:테라바야시 쇼지3.png|width=150]] || [[파일:테라바야시 쇼지4.jpg|width=150]] || 성우는 [[호우키 카츠히사]] / [[조동희]]. 치바 현경 소속 형사. [[소노코의 위험한 여름 이야기]]에서 첫등장. 당시에 함께 첫 출연한 [[쿄고쿠 마코토]]와 더불어 수상한 인상과 행적으로 용의 선상에 몰렸었다. 1999년(헤이세이 11년 4월 1일)에 대여된 4014호 순사 계급 경찰증[* [[파일:테라바야시 쇼지 경찰증.png|width=300]]]을 가지고 있다. 이후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칠흑의 추적자]]에서 대사는 없지만 카메오 출연한다. * 이노키(猪木/이남기) [anchor(이노키 형사)] || [[파일:이노키 형사1.png|width=150]] || [[파일:이노키 형사2.png|width=150]] || [[파일:이노키 형사3.png|width=150]] || [[파일:이노키 형사4.png|width=150]] || 성우는 [[코스기 쥬로타]] / [[민응식(성우)|민응식]]. 28세. 치바 현경 소속의 형사. 215화 [[복수의 만]] 편에서 첫등장. 배의 전복 사건 현장에서 구조를 지휘했으나 [[만조]] 탓에 수사가 어렵다고 하였다. 이후 바바 형사와 함께 검시결과를 알리며 재등장한다. 이름은 일본 프로 레슬러 [[안토니오 이노키]]에서 따왔다고 한다. * 바바(馬場/마장수) [anchor(바바 형사)] || [[파일:바바 형사1.png|width=150]] || [[파일:바바 형사0.png|width=150]] || [[파일:바바 형사3.png|width=150]] || [[파일:바바 형사 0.png|width=150]] || 성우는 [[니시오 토쿠]] / [[시영준]]. 42세. 치바 현경 소속의 경부. 215화 [[복수의 만]] 편에서 첫등장. 등장부터 '[[모리 코고로|춤추는 모리 씨]]의 추리를 보고 싶다'고 말하는데, 큰 사건이 터지면 '''춤추면서'''(?) 추리를 한다는 이상한 소문이 치바현 경찰들 사이에 퍼져 있다고 한다. 어째서인 이노키 형사가 작아보일 정도로 덩치가 매우 크게 묘사된다. 이름은 일본 프로 레슬러 [[자이언트 바바]]에서 따왔다. * 모토이 테루히코(基 照彦/조병남) [anchor(모토이 테루히코)] || [[파일:모루이 테루히코1.png|width=150]] || [[파일:모루이 테루히코2.png|width=150]] || [[파일:모루이 테루히코3.png|width=150]] || [[파일:모루이 테루히코4.png|width=150]] || 성우는 [[오노 아츠시]]. 45세. 한국판은 [[박만영]]. 치바 현경 소속 형사. 825화 시오이리 공원 역전사건 편에서 첫등장. 시체를 단순히 익사로 생각했다가 살인사건일 가능성을 알아채고 깜짝 놀란다. * 케이토쿠 카즈리(慶徳 かずり/남주리) [anchor(케이토쿠 카즈리)] || [[파일:케이토쿠 카즈리1.png|width=150]] || [[파일:케이토쿠 카즈리2.png|width=150]] || [[파일:케이토쿠 카즈리3.png|width=150]] || [[파일:케이토쿠 카즈리4.png|width=150]] || 성우는 아마다 유키코(天田有希子). 28세. 한국판은 [[이수진(성우)|이수진]]. 치바 현경 소속 형사. 825화 시오이리 공원 역전사건 편에서 첫등장하였다. 범행 당시를 재현하기 위해 힘겹게 [[노가다|노를 젓는 역할]]을 도맡아 한다. ~~ 남자 형사는 팔짱끼고 구경 중인게 함정 ~~ * 나카미치 카즈시(OOO) [anchor(나카미치 카즈시)] || [[파일:나카미치 카즈시1.png|width=150]] || [[파일:나카미치 카즈시2.png|width=150]] || [[파일:나카미치 카즈시3.png|width=150]] || [[파일:나카미치 카즈시4.jpg|width=150]] || 성우는 [[겐다 텟쇼]]. 38세. 치바현 경찰본부에 근무하는 형사로, 유도부 주장이자 에이스로 대학 시절 전국 대학생 유도 챔피언까지 했지만 한 번도 못 이긴 상대가 딱 한 명 있다고 한다. [[모리 코고로|코고로]]의 동창 유미와는 유도부 시절에 연인이었다가 현재는 헤어졌고, [[코고로의 동창회 살인사건]] 시점에서는 반년 전에 상관의 딸과 선을 본 뒤 올해 결혼을 앞둔 상태라고. ==== 야마나시현 경찰본부([[가평경찰서]]) ==== [anchor(야마나시 현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야마나시현 경찰본부)] * 나루타키 소이치(鳴滝 壮市) [anchor(나루타키 소이치)] || [[파일:나루타키 소이치1.png|width=150]] || [[파일:나루타키 소이치2.png|width=150]] || [[파일:나루타키 소이치3.png|width=150]] || [[파일:나루타키 소이치5.png|width=150]] || 성우는 [[오오바야시 류스케]]. 59세. 야마나시 현경 소속의 형사로, 577화 [[반딧불이 밝힌 진실]] 편에서 첫등장. 고후 지역에서 근무한다. 작년에 집 주변 산간 마을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사고를 겪어 손녀와 가족을 잃었다. 특히 애정했던 귀여운 손녀 '마유'는 [[하이바라 아이|하이바라]]의 닮은꼴이었다고 한다. 작중 범인의 [[칼부림]]에 의해 부상을 입는다. * 모토하시(本橋) [anchor(모토하시)] || [[파일:모토하시 형사1.png|width=150]] || [[파일:모토하시 형사2.png|width=150]] || [[파일:모토하시 형사3.png|width=150]] || [[파일:모토하시 형사4.png|width=150]] || 성우는 [[타나카 료이치]]. 45세. 야마나시 현경 소속 경부로, 용의자를 심문할 때 거친 말을 서슴치 않고 사용하는 성격이다. 663화 사슴벌레를 쫓아라 편에서 첫등장하여 사건을 담당한다. 이후 [[명탐정 코난: 코난 실종사건 - 사상 최악의 이틀|TV 스페셜 코난 실종사건]]에서 야마나시 현 대표로 본부에 파견되어 가짜 청부살인업자가 연루된 폭탄사건을 조사하게 된다. * 후지이(藤井) [anchor(후지 형사)] || [[파일:후지 형사1.png|width=150]] || [[파일:후지 형사2.png|width=150]] || [[파일:후지 형사3.png|width=150]] || [[파일:후지 형사4.png|width=150]] || 성우는 [[토쿠모토 유키토시]]. 27세. 야마나시 현경의 순사부장[* 동행을 위해 경찰수첩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알 수 있다.]으로, 모토하시 경부의 보조를 맡고 있다. 사건 정보만 전달해주는 일반적인 보조 형사와 다르게 사건 해결 자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663화 사슴벌레를 쫓아라 편에서 첫등장. * 이와나가(岩永) [anchor(이와나가 형사)] || [[파일:이와나가 형사2.png|width=150]] || [[파일:이와나가 형사1.png|width=150]] || [[파일:이와나가 형사3.png|width=150]] || 성우는 [[우라야마 진]]. 55세. 야마나시 현경의 순사로, 663화 사슴벌레를 쫓아라 편에서 등장한다. * 모모이(桃井) (모위정)[anchor(모모이 형사)] || [[파일:모모이 형사1.png|width=150]] || [[파일:모모이 형사2.png|width=150]] || [[파일:모모이 형사3.png|width=150]] || [[파일:모모이 형사4.png|width=150]] || 성우는 [[고토 테츠오]] / [[홍범기]]. 42세. [[반쯤 감은 눈|졸린 눈]]을 하고 있는 야마나시 현경의 경부. 695화 포도밭의 장미꽃 편에서 첫등장한다. 본의 아니게 [[모리 코고로|잠자는 코고로]]의 추리 트릭를 검증하기 위해 [[포박|힘들고 뻘쭘한 자세]](...)를 취하도록 강요받는 희생양이 되었다.. * 시모카와(下川) / 하형사 [anchor(시모카와 형사)] || [[파일:시모카와 형사1.png|width=150]] || [[파일:시모카와 형사2.png|width=150]] || [[파일:시모카와 형사3.png|width=150]] || [[파일:시모카와 형사6.png|width=150]] || 성우는 [[볼케이노 오오타]] / [[홍승효]]. 48세. ~~[[요코미조 쥬고]] 머리를 하고 있는~~ 야마나시 현경의 경부로, [[모리 코고로|잠자는 코고로]]의 도움을 받아 별 활약 없이 사건을 해결한다. 875화 이상한 예지불상 편에서 첫등장. * 하야시(林) / 임형사 [anchor(하야시 형사)] || [[파일:하야시 형사7.png|width=150]] || [[파일:하야시 형사2.png|width=150]] || [[파일:하야시 형사3.png|width=150]] || [[파일:하야시 형사6.png|width=150]] || 성우는 [[오치아이 후쿠시]] / [[강성우]]. 32세. 야마나시 현경의 형사로, 시모카와 경부의 보조를 맡고 있다. 875화 이상한 예지불상 편에서 첫등장. ==== 홋카이도 경찰본부([[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제주지방경찰청]]) ==== [anchor(홋카이 도경)]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홋카이도 경찰본부)] * 에조마츠(蝦夷松/이명수) [anchor(에조마츠)] || [[파일:에조마치1.png|width=150]] || [[파일:에조마치2.png|width=150]] || [[파일:에조마치3.png|width=150]] || [[파일:에조마치4.png|width=150]] || 성우는 [[나카기 류지]]/[[김관진]]/[[강호철]]. 홋카이도 도경 소속의 형사. [[학의 보은 살인사건]]에서 첫 등장. 작중 초반이라 그런지 [[모리 코고로]]를 누군지 알아보지 못한다.[* 본인도 '홋카이도는 아직인가...'라고 하면서 뻘쭘해 했지만, 이후엔 '[[죽음을 부르는 사람들|저주받은 형사]]'라고 소문이 퍼진듯하다(...)] 사건의 인물이 자수를 했다고 알리며 자기소개를 한다. 사건 내내 잘못된 추리를 이어가며 묻어가려고 하자, 코난이 추리를 통해 바로잡는다. * 니시무라(西村) [anchor(니시무라)] || [[파일:니시무라1.png|width=150]] || [[파일:니시무라2.5.png|width=150]] || [[파일:니시무라3.png|width=150]] || [[파일:니시무라4.jpg|width=150]] || 성우는 [[하나다 히카루]]. 홋카이도 도경 소속 경부. [[우에노발 북두성 3호]]에서 첫 등장. 타무라라는 부하 형사를 두고 있다. 어투가 굉장히 직설적이며 툭하면 화를 낼 정도로 다혈질인 성격이다. [[모리 코고로]]가 사건을 몰고 다닌다며 좋지 않은 시선으로 보고 있다. 이후 [[명탐정 코난: 은빛 날개의 마술사|8기 극장판]]에서 [[사카이 나츠키|범인]]을 검거할 때 재등장한다, 이름은 추리 소설 작가 니시무라 교타로(西村 京太郎)에서 따왔다. * 타무라(田村) [anchor(타무라)] || [[파일:타무라1.png|width=150]] || [[파일:타무라2.png|width=150]] || [[파일:타무라3.png|width=150]] || [[파일:타무라4.jpg|width=150]] || 성우는 [[나가사코 타카시]]. 홋카이도 도경 소속 형사. [[우에노발 북두성 3호]]에서 첫 등장. 니시무라 경부의 부하 형사이다. 성을 제외한 이름은 밝혀지지 않았다. [[모리 코고로]]가 경찰들 사이에 '[[죽음을 부르는 사람들|저주 받은 형사]]'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고 언급한다. 이후 [[명탐정 코난: 은빛 날개의 마술사|8기 극장판]]에서 [[사카이 나츠키|범인]]을 검거할 때 재등장한다. ==== 그 외 비중 있는 현경 ==== * [[시카츠노 츠요시]](왕불상) - '''나라 현경''' 소속 경부. * 마츠시로 타메키치(松代 為吉/송형준) [anchor(마츠시로 타메키치)] || [[파일:마츠시로 타메키치1.jpg|width=150]] || [[파일:마츠시로 타메키치2.jpg|width=150]] || [[파일:마츠시로 타메키치3.png|width=150]] || [[파일:마츠시로 타메키치4.jpg|width=150]] || 성우는 호리모토 히토시 / [[박성태(성우)|박성태]][* 안기준과 동일 성우.]. 나이 38세, '''기후 현경''' 소속 형사(한국판에서는 기부시경찰서 소속)로서 348화 '사랑과 유령과 지구유산' 편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모리 코고로]]를 아주 존경하는 모습을 보이며, 매사에 겸손하게 행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상급자의 허가를 받아놨으니 수사를 도와달라며 열정적으로 부탁한다(...) 이후 871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 '노부나가 450 사건'에서 다시 등장, [[츠부라야 미츠히코]]의 납치를 조사하기 위해 왔으나 [[모리 코고로]]가 왜 없나며 의아해한다. * 오기노 아야미(荻野 彩実/노채경) [anchor(오기노 아야미)] || [[파일:오기노 아야미1.png|width=150]] || [[파일:오기노 아야마2.png|width=150]] || [[파일:오기노 아야미4.png|width=150]] || [[파일:오기노 아야미5.png|width=150]] || 성우는 [[츠루 히로미]] / [[김보영(성우)|김보영]]. '''사이타마 현경''' 소속 경부. 본작에 나온 경부 캐릭터들 중 유일한 여성 경부이다.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칠흑의 추적자]]에서 짤막하게 등장하는 단역. 작중 나름 포커스를 받은 것에 비해 비중은 낮다.[* 이것은 [[아이리쉬]]가 경찰 간부 중 어떤 인물로 변장해 잠입했기에, 경찰 간부들이 전부 용의자가 되었기 때문이다. 오기노 경부에게 묘한 포커스를 준 것도 용의자를 수상하게 묘사하는 페이크 기법이다.] [[요코미조 산고]]가 사이타마현에 있던 시절 그의 후배였다고 언급된다. 시라토리부터 아야노코지 경부까지 극장판 캐릭터가 원작에 편입된 사례가 더러 있으니 차후 사이타마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에피소드에서 다시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 카네코(金子/김명진) [anchor(카네코 형사)] || [[파일:카네코 형사1.png|width=150]] || [[파일:카네코 형사2.png|width=150]] || [[파일:카네코 형사3.png|width=150]] || 성우는 [[토치카 코이치]] / [[이호산]]. 나이 35세, '''이바라키 현경''' 소속 경부보(주임)으로서 838화 [[두둥실 기구에서 괴사건]] 편에서 등장하였다. [[사고사|열기구 사고]]가 아닌 '[[살인|살인사건]]'이라고 박력있게 단정짓지만, 사건 내내 무고한 용의자인 오쿠다를 몰아붙인다. * 아이치현 고위경찰 [anchor(아이치 현경)] || [[파일:아이치 현경 경찰1.png|width=150]] || [[파일:아이치 현경 경찰2.png|width=150]] || [[파일:아이치 현경 경찰3.jpg|width=150]] || '''아이치 현경''' 소속의 고위 경찰. [[칠흑의 미스터리 트레인]] 편에서 [[명탐정 코난/경찰본부 목록#아이치 현경|수십 명의 부하 형사]]와 함께 첫등장한다. 나고야 역에서 침을 한껏 튀기며 흥분한 [[스즈키 지로키치]][* 자신의 기차에서 살인사건을 일으킨 범인의 머리통을 [[천수각]]에 매달아놓겠다고 하자, '무모한 짓을...'이라는 말을 덧붙인다.]를 애써 진정시키며, 경찰 쪽에 맡기라고 권유한다. * 와쿠(和久/노형사) [anchor(와쿠 형사)] || [[파일:와쿠 형사1.png|width=150]] || [[파일:와쿠 형사2.png|width=150]] || [[파일:와쿠 형사3.jpg|width=150]] || 성우는 [[이치조 카즈야]] / [[이근욱]]. '''효고 현경''' 소속의 경부로, 383화 코시엔의 기적 편에서 첫등장한다. [[오오타키 고로]]와 친한 선배 형사라고 언급된다. 작중 [[핫토리 헤이지|헤이지]]의 부탁으로 [[오오타키 고로|오오타키]]가 전화를 여러 번 걸며 출연한다. 타카노 운수 회사에서 일어난 폭탄 화재 사건 정보들을 상세히 설명해주지만, 코시엔에 구경 간 오오타키가 왜 화재 얘길 묻는지 의아해한다.[* 사실 범인이 자살을 예고했기 때문에 자세한 상황을 경찰에 알리지 못했다.] '누마다'라는 부하 형사를 두고 있으며, 누마다에게 화재 발생 시간을 전해듣는다. * 토카시키(渡嘉敷/제주경찰서반장) [anchor(토카시키 형사)] || [[파일:토카시키 형사1.png|width=150]] || [[파일:토카시키 형사2.png|width=150]] || [[파일:토카시키 형사3.jpg|width=150]] || 성우는 [[오카 카즈오]] / [[장승길]]. '''오키나와 현경''' 소속의 경부. [[말하지 않는 항로]] 편에서 첫등장하였다. 오키나와에선 [[모리 코고로]]가 엄청난 대식가[* [[외딴섬의 공주와 용궁성]] 편에서 [[핫토리 헤이지|헤이지]]와 먹보 대결을 한 것 때문으로 보인다.]로 유명하다고 언급한다. 이후엔 나하 공항에 잠복해 있다가 범인을 연행한다. * 이라부(伊良部/제주경찰서형사) [anchor(이라부 형사)] || [[파일:이라부 형사1.png|width=150]] || [[파일:이라부 형사2.png|width=150]] || [[파일:이라부 형사3.jpg|width=150]] || 성우는 [[카와이 토모야]] / [[정명준]]. '''오키나와 현경''' 소속의 형사이자 토키사키의 부하. [[말하지 않는 항로]] 편에서 첫등장하였다. [[엉덩이턱]]의 소유자로, [[모리 코고로]]의 광팬이어서 그런지 보자마자 '이번 사건은 해결된거나 다름없다'고 헤벌레 한다. 이후 코고로의 찬양과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 [[검은 조직]]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검은 조직/조직원)] [include(틀:검은 조직)] === 간부 === * [[보스(명탐정 코난)|보스]] * [[럼(명탐정 코난)|럼]] * [[진(명탐정 코난)|진]] * [[워커(명탐정 코난)|워커]] * [[베르무트(명탐정 코난)|베르무트]] * [[버번(명탐정 코난)|버번]] * [[미즈나시 레나|키르]] * [[키얀티(명탐정 코난)|키얀티]] * [[코른(명탐정 코난)|코른]] === 탈퇴자 === * 스파이로 잠입했었던 사람 포함 ---- * [[하이바라 아이|셰리]] * [[아카이 슈이치|라이]] * [[쥬네릭]] {{{-2 (특별판 오리지널)}}} === 사망자 === * 스파이로 잠입했었던 사람 포함 ---- * [[데킬라(명탐정 코난)|데킬라]] * [[피스코(명탐정 코난)|피스코]] * [[칼바도스(명탐정 코난)|칼바도스]] * [[모로후시 히로미츠|스카치]] * [[아라크(명탐정 코난)|아라크]] {{{-2 (특별판 오리지널)}}} == 외국 정보기관 == [include(틀:명탐정 코난의 수사·정보기관)] === [[FBI(명탐정 코난)|FBI]] === [include(틀:연방수사국(명탐정 코난))] * [[조디 스털링]] * [[아카이 슈이치]](이상윤) * [[제임스 블랙]] * [[안드레 캐멀]] === [[중앙정보국(명탐정 코난)|CIA]] === [include(틀:중앙정보국(명탐정 코난))] * [[혼도 히데미]](문재인) * [[에단 혼도]](문성태) * [[중앙정보국(명탐정 코난)#버니|버니]][* 담당 성우는 [[키무라 마사후미]]. 작중 모습↓ [br][[파일:CIA버니.jpg|width=500]][[파일:CIA버니2.jpg|width=500]]] === [[비밀정보국(명탐정 코난)|SIS]] === [include(틀:비밀정보국(명탐정 코난))] * [[메리 세라]] * [[아카이 츠토무]](이무형)[* 정식 요원인지 아니면 포섭자나 협조자인지는 아직 명확하게 나오지 않았다.] == 레귤러 캐릭터들의 가족 == === 미야노 일가 === [include(틀:미야노 일가)] * [[미야노 아케미]](안재희) * [[미야노 아츠시]](안동준) * [[미야노 엘레나]](엘레나) * [[미야노 시호]](안시호) === 스즈키 일가 === [include(틀:스즈키 일가)] ||[[파일:oPINJaJ.png|width=100%]]|| || '''좌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토미자와 유조, 스즈키 아야코, 스즈키 토모코, 스즈키 시로.''' || * [[스즈키 지로키치]](정지로) * 루팡 성우는 [[타카기 와타루]]. 스즈키 지로키치가 키우는 개. 이름은 [[아르센 뤼팽|괴도 뤼팽]]에서 따왔다기보단 [[루팡 3세]]의 루팡인 듯 하지만 그 루팡 3세도 거슬러 올라가면 [[아르센 뤼팽]]이니까(…). 지로키치가 타는 할리 데이비슨의 사이드카에 탑승하기도 하고, 사미즈 키치에몬이 만든 금고 '철너구리'에 갇히기도 했다. * [[스즈키 토모코]](강진주) * [[스즈키 아야코]](정혜라) * [[토미자와 유조]](황민우) === 쿠로바 일가 === [include(틀:쿠로바 일가)] * [[쿠로바 치카게]](차신혜) === 소년탐정단의 가족 === * 츠부라야 아사미(박네모) 성우는 [[오오타니 이쿠에]][* [[츠부라야 미츠히코|동생]]과 중복]/[[이소은(성우)|이소은]]. [[츠부라야 미츠히코]](박세모)의 누나로 테이탄 중학교 학생. 이름의 유래는 [[우치다 야스오]]의 추리소설에 나오는 '아사미 미츠히코(淺見光彦)'. 35권에서 첫 등장. 본래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서 미츠히코와 마찬가지로 [[존댓말 캐릭터|존댓말을 쓰는 캐릭터]]였으나, 국내 문화에 익숙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더빙판에선 반말로 바뀌었다. 원작보다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에서 더 자주 언급되거나 등장한다. 작중 등장 그룹인 '삼도천 III'의 보컬인 사탄 오니즈카의 팬. 국내판 명칭인 '박네모'는 동생 이름인 세모를 따라서 지어진 듯하나 여캐 이름으로는 너무 깨는 작명이라(...) 팬덤에서는 박세나 등의 이름을 밀고 있다. * 코지마 겐지(고원규) 성우는 [[노지마 아키오]]/[[시영준]]. [[코지마 겐타]](고뭉치)의 아버지로 나이는 32세. 술집을 운영하고 있다. <범인은 겐타의 아버지(TVA 551~552화, 63권)> 편에 등장. [[왼손잡이]]. [[실눈]][* 쓰고 있던 안경 때문에 눈을 뜨기 힘들어서 그랬던 것으로 밝혀진다. 겐타의 증조할머니가 쓰던 거라 도수가 있기 때문이라고. 안경은 아내(겐타의 어머니)가 쓰라고 해서 썼던 거란다.]에 비쩍 마르고 여리여리해보이는 등, [[두꺼운 눈썹]] 외엔 겐타와는 인상이 많이 다른 편이다.[* 사실 겐타의 인상은 어머니에게 물러 받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정이 많으며 불의를 보면 못 참고 말보다 주먹이 먼저 나가는 전형적인 도쿄 토박이로 이러한 성격은 아들에게 유전된 듯. 그러나 아내 앞에선 기를 펴지 못하는 듯하다. 한국에서는 [[고씨]]의 본적은 서울이 아닌 제주, 횡성, 광녕에 있기 때문에[* 원작에서는 코지마라고 읽을 수 있는 다양한 한자 가운데서 '小嶋'라고 한자를 한정시켜 지역과는 관계가 없는 반면, 우리말 더빙에서는 고씨 중에서 제주 고씨로 본적을 한정시켰다.], 원작에서 쓰는 도쿄 3토박이 특유의 말버릇으로 '108'(百八, ひゃくはち)을 '퉁소'(尺八, しゃくはち)로 읽는다는 점은 '''[[콩팥]]기능 이상으로 인한 ㅍ 발음 이상'''[* 실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1999959|#]] [[김의진(PD)|김의진]]PD/이지영 번역가의 수고가 눈에 보인다.]으로 '백발'로 읽는 것으로 [[현지화]]했다. * 겐타의 어머니 - 겐타의 어머니로 겐타와 외모가 많이 닮았으며 남편과 함께 술집을 하는 것으로 나온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xODA3MTBfMjY4/MDAxNTMxMTQ5ODAyNjQ3.7t6CtYpE5TxT3P1AdZSK4jxNkzMTiMro_aGBijRGFzsg.2bkqgjBuKyOqCkCaNSRXxrJsNWrQ1W1WZTYwbqp3oUog.JPEG.danteknight/2013-01-03_23%3B52%3B16.jpg?type=w420|이미지]] === 경찰의 가족 === * [[메구레 미도리]](정초희) * 마츠모토 사유리(허희선) - 27세 성우는 [[오카모토 마야]]/[[임미진]](KBS), [[윤승희]](애니맥스). [[마츠모토 키요나가]]의 딸. 8권 "[[6월의 신부 살인사건]]" 편에 등장한 테이탄 중학교 음악교사로 [[쿠도 신이치]], [[모리 란]], [[스즈키 소노코]]를 가르쳤다. 신이치는 이 사람한테 아주 많이 혼나서 졸업한 지 수년이 지난 지금도 이를 박박 간다. 더빙판에서는 아버지의 번역명 때문에 성(姓)이 왔다갔다 한다.[* 최종적으로 '''박희선'''이다.] 그 후로 등장하고 있지 않으나, [[칠흑의 추적자]] 초반에 란이 마츠모토 관리관을 만났을 때 그녀의 안부를 물어서 잠깐 언급되었다.[* 그리고 이 때 마츠모토 관리관은 아이리시가 변장한 가짜였기 때문에 란의 질문에 잠깐 멈칫하다가 적당히 둘러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마 딸이 있는 것을 몰랐거나 알았다 해도 란과 친분이 있는 것 까지는 몰랐던 것인 듯.] 이 등장은 별거 아니지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등장 에피소드 말미에 3년 후를 언급하기 때문. 이때의 나레이션은 당연히 주인공인 신이치인 만큼 여러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 야마무라 미사에(최경선) [[파일:Screenshot_20200102-124730_Chrome.jpg|width=40%]] [[야마무라 미사오|야마무라 경부]]의 할머니. 나이는 85세로, 돗토리현에 살고 있다. 성우는 [[호리 준코]], 더빙판 성우는 [[김보영(성우)|김보영]]. 별 역할은 없지만 손자보단 정상이다. 집안 대대로 [[바보|그런 것]]은 아닌 듯. 다만 그 나이에 (실력은 둘째치고) 폭주족과 배틀을 붙는 것을 보면 이 80대 할머니 또한 [[정과장]]이나 [[정신]]처럼 가끔 정신줄 놓고 다니는 것은 확실하다. * 카와구치 사토시(서세진) 성우: [[오하시 노조미]]/[[이소은(성우)|이소은]] 토야마 카즈하의 친척동생이다. 극장판 14기 [[천공의 난파선]]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여 당시 범인들이 사찰의 불상을 밀반출할 것을 알게 된 후, 핫토리 헤이지에게 이 사실을 말하고 사토시의 도움으로 범인들의 불상 밀반출을 막았다. 원래는 요코하마에 살았다가 본 극장판 시점에 나라현으로 이사. 작중 유일하게 [[나라현]]과 연계된 인물이다. 친척 누나인 카즈하를 매우 좋아하여 헤이지에게 '''둘은 사귀는 사이입니까?''' 라고 물어보았는데 헤이지와 카즈하가 얼굴이 빨개지고 헤이지가 '''절대 아니야!''' 라고 하자 '''그럼 제가 카즈하 누나랑 결혼해도 되는 거죠?"''' 라고 한 적도 있다. 여담으로 헤이지에게는 [[아저씨]]라고 한다. * 시라토리 사라(백세라) [[파일:IMG_20200112_120528.jpg|width=40%]] 사진의 여성. [[시라토리 닌자부로]]의 여동생으로, 극장판 4기인 [[명탐정 코난: 눈동자 속의 암살자|눈동자 속의 암살자]]에서 결혼 축하 파티를 열었으며, 남편과 행복하게 살고 있는 듯 하다. 에리의 말론 직업이 변호사라고 한다. 성우는 [[오오하라 사야카]]/[[정혜옥]] * 하레츠키 코타로(천만수) 사진의 남성. 시라토리 사라의 남편이 될 사람으로 직업은 --가난한-- 화가라고 한다. * 혼도 남매의 어머니 [[파일:문재인문재수의엄마.jpg|width=40%]] [[혼도 히데미]]와 [[혼도 에이스케]]의 어머니이며 에단 혼도의 부인. 생전에는 어느 집에서 가정부로 일하고 있었으며, 아들이 어린 시절에 사망했다. 혼도 에이스케의 언급에 의하면 에단 혼도는 그 당시에도 외국의 컴퍼니란 곳에서 근무했다는데, 근무지가 [[미합중국 중앙정보국|CIA]] 인 듯 하다. * 사토 미와코의 어머니 [[파일:오형사의엄마.jpg|width=40%]] 국내판 성우는 [[이자명]]. 사토의 어머니로 18년 전에 남편과 사별한 후 딸을 혼자 키워왔다. == 키사키 법률사무소(노애리 법률사무소) == * [[키사키 에리]](노애리) * 고로(맹이, 키로(8기)) 성우는 [[타카야마 미나미]][* 에도가와 코난과 중복.]/[[이새벽|이수진]], [[김도희(성우)|김도희]]. 키사키 에리 변호사가 기르는 [[러시안 블루]] 고양이. 이름은 고양이가 내는 소리인 [[골골송]](고로고로)에서 따왔다곤 하나, 모리 코고로에서 따왔다고 코난은 추측하고 있다. * [[쿠리야마 미도리]](김지수) == 유명인 == 대부분 일회성 엑스트라 등장 인물이지만, 여러 번 등장하는 인물도 있다. === 연예계 === ==== 가수 ==== * [[오키노 요코]](오소라) - 멀티 엔터테이너[* 가수로만 활동하는게 아닌 배우로도 활동하지만 출신은 아이돌이기에 가수 문단에 서술한다.] * 사탄 오니즈카(강사탄) - 가수 성우는 [[사쿠라즈카 얏쿤]] / [[이호산]]. 락그룹 '삼도의 Ⅲ'의 보컬이며 괴기스러운 화장과 복장으로 자신을 꾸미며 지낸다. 평상시에는 종이접기가 취미인데, 악마가 종이접기를 한다는건 어색해보이니 팬들에게는 비밀을 발설하면 저주에 걸린다는 식으로 숨긴다. 소년 탐정단과 브라운 박사가 방송국을 견학하려고 온 날 연예기획사 사장을 칼로 살해. 살해동기는 연예기획사 사장이 락그룹의 인기를 상승시키려고 오니즈카를 좋아하는 소녀의 자살을 유도했기 때문이다. 오니즈카는 부상으로 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한 뒤에야 자신을 따르던 여학생이 사장의 농간으로 자살한 것을 알고 분노하여 살해하였다. * 코모토 효가 아이돌 그룹 나니와 키즈의 멤버. 주인을 수집하러 하이도 신사에 몰래 왔다. 헤이지처럼 어두운 피부이며, 우사기 미카게와 열애설이 퍼져 있다. ==== 방송인 ==== * [[미즈나시 레나]](손예나) - 前 아나운서 * 무기쿠라 나오미치(고창진) - 캐스터 [[파일:Screenshot_20200201-141321_NAVER.jpg|width=40%]] 성우는 [[???]] / [[현경수]]. 첫 등장 에피소드는 [[검은 조직과의 재회]]. [[피스코]]가 첫 등장하는 감독 추모회 살인사건에서 MC를 맡은 캐스터였다. 이후 [[괴도 키드]] 관련 사건에서 지로키치가 판을 크게 벌여서 구름같은 관중이 몰리면 그것을 취재하는 현장 캐스터로 등장한다. 연재화 수에 따라 그림체의 차이가 있어 단번에 알아보기가 쉽지는 않긴 하나, 이 사람이 등장하는 장면은 캐스터라는 직업 특성 상 원샷인 경우가 잦아서 확실히 알 수 있다. 극장판 16기 [[명탐정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11번째 스트라이커]]에서 장내 캐스터로 등장한다. ==== 배우 ==== * [[쿠도 유키코]](이하연) - 前 배우 * [[샤론 빈야드]] - 배우 * [[크리스 빈야드]] - 배우 * 우조 루리(엄유리) - 배우 성우는 [[시마즈 사에코]]/[[소연(성우)|소연]]. '[[보이지 않는 용의자]]'에서 첫 등장. 왕년에 잘 나가던 청순가련 여배우였다고 한다. 지금도 TV보다 실물이 더 예쁘다고 할 정도인데, 실은 [[모리 코고로]]와 [[키사키 에리]]의 동창으로 촬영장에 코고로에게 나레이션 대역을 부탁했던 것도 이 사람의 부탁이였다. 본명은 니가키 루리(한점순)로 과거에 뱅뱅이 안경을 쓴 덕에 코고로는 처음에 알아보지도 못했다. 코고로를 좋아했으며 지금도 독신이다. 란에게 모리와 키사키는 옛날부터 티격태격 했을 정도로 상극인데 어떻게 결혼하게 되었는지 궁금하다고 한다. 그 후 촬영장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나는데, 최초 목격자가 되어 의심을 산다. 실은 함께 출연한 배우가 살인한 것을 목격해 감싸려는 것으로, 그 이유는 용의자가 자신의 친아버지였고, 피해자인 스폰서 아들이 그 사실을 알게 되어 만약 그 사실이 알려지면 자신의 가정이 파탄날 것을 우려해 살인을 저지른 것으로 그러니 코고로에게 눈 감아 달라고 했으나, 코고로가 너라서 그 부탁을 들어 줄 수없다고 말하자 결국 친 아버지에게 자수를 권한다. 학창시절 두꺼운 안경까지 쓰면서 공부했던 이유는 코고로가 [[키사키 에리|영락없이 머리 좋은 애]]를 좋아할 줄 알고 관심을 끌기 위해서라고 한다. * 켄자키 오사무(이건형) - 배우 [[파일:Screenshot_20200208-113345_Chrome.jpg|width=40%]] 성우는 [[에가와 히사오]]. 더빙판은 [[김호성]](4기)/[[한신(성우)|한신]](13기). 작중 유명한 '사몬지 탐정' 드라마에서 주인공인 사몬지를 연기한 배우. 19권[* 일본 애니 116~117화]에서 잠깐 등장, 32권[* 일본 애니 249~250화]에서 [[오키노 요코]]의 친구의 약혼자로 등장했고, 80권에서 파티쉐 대결 프로그램의 진행자로서 재등장했다. 나름 탐정 역을 맡은 배우이기도 하고, 실제로 사건을 겪은 적도 있다보니 파티시에 사건이 벌어질때 당황하는 기색이 많이 없는 편. * 카타오카 렌게(황연아) - 연극 배우 [[파일:카타오카 렌게.jpg]] 성우는 [[타카노 나오코]]/[[정혜원(성우)|정혜원]].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로 17세. 단 더빙판 7기는 타마노스케와 함께 27세로 나온다. 애니메이션 409화 에서 첫 등장했다. 타마노스케가 이끄는 지방공연 극단의 단원으로, 사실 재벌가 중 하나인 카타오카 가의 외동딸. 처음엔 숨기고 극단에 들어간 거였으나 아버지와 그 비서가 찾아와서 들통났는데, 다행히 납치사건 이후로는 아버지에게 연기를 해도 좋다고 허락을 받았다. 타마노스케와는 서로 좋아하는 사이. 그러나 아직은 [[썸|친구 이상 연인 미만]]에 머물러 있다. [[모리 란]]과 많이 닮았는데, 뿔 없는 모리 란 버전이라 보면 된다.[* 여담으로 타마노스케는 해당 에피소드 이후로 신이치와 닮았다는 설정이 붙었다. 신란 커플의 프로토 타입인 듯.] 상기한 납치 사건으로 란이 렌게의 대타를 맡기도 한 바 있다. 이후 1시간 스페셜인 452화 [[금비라관의 유령]]편에서 등장한다. 오페라의 유령을 주제로 한 에피소드이며 카타오카 렌게는 사건 내에서 작가에게 [[크리스틴 다에]]의 현실버전이라는 컨셉을 부여받았다. ==== 마술사 ==== * [[쿠로바 도이치]](고기영) * 사나다 카즈미(데이비드 서) [[파일:Sanada.jpg|width=40%]] 성우는 [[오키아유 료타로]][* [[아야노코지 후미마로]], [[오키야 스바루]]와 동일 성우.]/[[이원준(성우)|이원준]](KBS), [[서원석]](애니맥스). [[마술사]]로, [[나이]]는 27세. 츠쿠모 모토야스의 제자이자 유명 마술사 미스터 마사카게의 제자이기도 한데, 미스터 마사카케는 10년 전부터 행방불명 된 상태라서 츠쿠모 모토야스의 제자로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현 시점에서 가장 인기 있는 마술사로 묘사된다. [[궁지에 몰린 명탐정! 연속 2대 살인사건]]에서 용의자로 처음 등장했고, 이후 [[코난 vs 괴도키드]]에서 [[괴도키드]] [[코스프레]]를 한 채로[* 이때는 괴도키드가 변장하지는 않았지만 마술쇼를 위해 자기가 괴도키드로 변장했다. 만약 진짜 키드였으면 이중변장(...). --키드로 변장한 마술사로 변장한--] 스즈키 일가의 파티에 참석했다.[* 애니판에서는 괴도 키드 편을 먼저 방영하면서 이쪽에 먼저 등장했다. 그래서 재등장했을 때 란이 '스즈키 재벌의 파티에 있었던 마술사'라고 설명하는 장면이 추가됐는데, 사실 그때 란은 [[괴도 키드]]가 변장한 상태였고 진짜 란은 사나다를 직접 만난 적이 없으니 약간 어색한 장면이 되었다.] 이후 등장은 없으나, [[마술 애호가 살인사건]], [[신칸센 호송 사건]], [[코난과 헤이지의 추리 매직]] 등에서 언급되며 인기 있는 마술사임을 증명했다. 코난에서 흔치 않게 사실상 단역임에도 등장했던 두 에피소드 모두에서 용의자가 된 인물이다. * 츠쿠모 모토야스(공원표) [[파일:Motoyasu.jpg|width=40%]] * 키노시타 요시로(김동진) 츠쿠모 모토야스의 제자로 '천재 중의 천재'였다고 하나 14년 전 마술 연습 중에 사망했다. [[마술 애호가 살인사건]]에서도 언급되는데 죽은 지 14년이나 된 사람이 아직도 이름이 있는 걸 보면 대단한 마술사였던 것 같다. * 하루이 후덴(조풍천) [[마술 애호가 살인사건]]에서 언급된, 탈출 마술의 대가로 불렸던 노인 마술사. 마술 쇼 도중에 사고로 죽었다. 모티브는 [[해리 후디니]]. ==== 유명 캐릭터 ==== * [[가면 야이바]] * [[고메라]] * 해삼 사내 모리 란이 휴대전화 스트랩 고리에 연결한 캐릭터. 오프닝이나 엔딩 영상에 카메오로 줄곧 등장한다. 작가의 다른 작품인 [[YAIBA]]에 등장하는 캐릭터다. 야이바에서 성우는 [[카시와쿠라 츠토무]]. === 스포츠계 === * 미네르바 글래스 [[파일:Minerva_Glass.jpg|width=225]] 성우는 루미코 반스/[[김율]].[* [[우에하라 유이|우하라]] 형사와 중복이다.] 영국의 테니스 선수이며, 아버지가 독일인이다. 통칭은 '잔디의 여왕'으로, 세계 랭킹 넘버원이라고 소개된 것을 볼 때 매우 상당한 실력을 가진 선수로 보인다. 어머니가 일본(한국)에서 눈 수술을 하신것 때문에 일본어(한국어)도 어느정도 할 줄 알며, 코난 일행과 사적으로 만날 때는 늘 일본어(한국어)로만 대화한다. 71권 <[[홈즈의 묵시록]]>에서 등장한다 어머니가 경기를 관람하시지 않으신 [[프랑스 오픈]]에서 진 적이 있었는데, 그로 인해 '어머니가 하데스 사바라의 표적이 되어 위기를 겪은 적이 있다. 가족중에는 아폴로 글래스(동생)와 주노 글래스(어머니)가 있다. 맨 처음 란을 만났을 때 사랑 때문에 고민하냐고 묻고, 란이 당황하자 '나도 그런 얼굴이었거든.'이라고 말한다. 애인은 자신의 테니스 코치 아레스인데, 코치가 예전에 선수였을 때 미네르바의 아버지가 경기를 보러 오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애인은 자신의 탓이라고 자책하여 사이가 멀어졌기 때문에 말한 것이었다. 란에게 "러브는 제로(Love is 0)"라며 "거듭할수록 비참하게 질 뿐" 이라며 충고하고, 란은 나중에 신이치에게 그 말을 하며 운다. 그러자 신이치는 ''' "0은 모든 일의 시작이야. 0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없어." '''라고 고백 겸 명대사로 되받아치고, 나중에 신이치가 한말을 란을 통해 들은 미네르바는 그 말이 사실인 것 같다고 아레스에게 말하고, 아레스가 미네르바의 말을 듣고 미네르바와 자신의 선수 컴백을 위해 연습에 몰두하기 시작하면서 사이가 좋아지는 계기가 된다. 나중에 코난과 합동으로 하데스를 저지하고 [[윔블던(테니스 대회)|윔블던]]에서 승리한 이후 [[런던 히스로 공항]]에서 란에게 대단한 남자친구를 뒀다면서 신이치를 칭찬한다. * 마에다 사토루(마정탁) 성우는 아라카와 타로/[[강호철]]. <[[나이트바론 살인사건]]> 에피소드에 등장했던 단역. 란이 동경하는 전국 [[가라테]] 챔피언으로 가라테 실력은 란보다 훨씬 위로 추정된다. 란이 이 사람을 동경하여 가라테에 입문하였다고 한다. 범인의 범행을 숨기기 위해 일부러 어둠의 남작으로 분장하여 혐의를 자신에게 돌렸으나[* 가라테 유단자 경찰관을 쉽게 제압했고 모리 란과 마주쳤을 때 란의 공격을 쉽게 회피했다. 따라서 가라테 고수인 마에다에게 혐의가 쏠리게 된 것.] 란이 사건 당시 증인들을 찾아서 알리바이를 제공하는 바람에 무산, 오히려 알리바이가 있었으면서도 말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의도를 간파당한다. 한 번 등장하고 만 단역이지만 전국 가라테 챔피언이라는 타이틀 덕분에 이후로도 몇 번 더 언급된다. [[쿄고쿠 마코토]]와 견주면 어떨지 생각해보는 사람들도 있다.[* 당연히 붙어보기 전까진 모르는 일이지만 작가 공인 최강자인 마코토가 이길 가능성이 더 높긴 하다.] ==== 쇼기 ==== * [[하네다 슈키치]](우상길) * [[하네다 코지]](우호진) * 카츠마타 치카라(강기승) 성우는 [[이나바 미노루]]/[[김용식(성우)|김용식]]. [[쇼기]] 프로기사이며 [[하네다 슈키치]]와 타이틀 결승에서 자주 승부를 겨루는 실력 있는 기사다. 85권 시점에선 명인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으나 접전 끝에 3:4로 하네다 슈키치에게 명인 타이틀을 내주게 된다. 그러나 이후 89권에 열린 왕장전 결승에선 하네다 슈키치가 외부적인 요인으로 흔들리며 왕장 타이틀을 가져간다. 하네다 슈키치의 장고 선언으로 수시간 동안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상대방 걱정까지 해주는 배려심 깊은 성격을 가진 그야말로 프로에 걸맞는 사람이다. 카츠마타 미나[* 성우는 [[코토부키 미나코]].]라는 딸을 두고 있다. ==== 축구 ==== ||하술할 축구 선수들은 축구 관련 에피소드에서 주로 나오고, 축구가 주요 소재인 극장판 [[명탐정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11번째 스트라이커]]에도 나온다. 이 작품에서 언급되는 J리그는 실제 J리그에 일부 가상 소재가 들어간 것이다. 등장하는 팀 중에 '''도쿄 스피리츠'''나 '''빅 오사카''', '''느와르 도쿄'''는 가상의 팀이지만, '''[[감바 오사카]]'''나 '''[[가시와 레이솔]]'''은 실제로 있는 팀이다.[* 실제로 두 팀에서 한국인 선수들이 활동한 적도 많다. 이외에도 도쿄와 오사카를 연고로 한 실제 J리그 팀으로 [[세레소 오사카]], [[FC 도쿄]], [[도쿄 베르디]] 등이 있다.] 극장판에서 특별 출연한 [[엔도 야스히토]]와 [[미우라 카즈요시]][* 킹 카즈라고 언급되는 선수.]는 실제 J리그 선수들이고, 일본 국가대표로도 큰 활약을 한 선수들이다.[* 히데나 히고는 코난 속 창작 인물이다. 이 선수들의 소속팀은 창작 팀인 도쿄 스피리츠, 빅 오사카.]|| * 아카기 히데오(KBS판/애니맥스판 나영웅, 투니버스판 이영웅(5, 6기), 안형태(10기), 박희대[* KBS판은 히데오의 한자를 그대로 독음했고, 투니버스판은 히데를 한국어 이름처럼 변형한 듯.]) [[파일:코난아카기히데오.png|width=40%]] 성우는 [[츠지타니 코지]]/[[이원준(성우)|이원준]](KBS), [[강호철]](투니버스 8기, [[11번째 스트라이커]])/[[선호제]](애니맥스). 프로축구 팀 [[도쿄 스피리츠]](서울 스피리츠)의 공격수. 통칭 [[히데]]. 이름 유래는 축구 관련의 [[레드카드]]와 [[나카타 히데토시]]. 쿠도 신이치와 핫토리 헤이지를 섞은 듯한 외모다. '아카기 료코'라는 여자친구는 10화, 1기 8화에 나온다. 한국판 애니에서는 고등학생이 성인과 사귄다는게 문제 되었는지 사촌동생으로 나온다. 부모님을 여의고 초등학교 3학년인 동생 마모루와 함께 산다. 팀 동료인 우에무라 나오키와는 고등학생 때부터 알고 지낸 오랜 친구 사이다. 나오키와 전반적인 실력은 비등하나, 잘생긴 얼굴 덕에 인기도 연봉도 높다. * 우에무라 나오키(KBS판 안정훈, 투니버스판 나윤기(5기)) [[파일:우에무라 나오끼.png|width=40%]] 성우는 [[야오 카즈키]]/[[오인성]](KBS), [[류승곤]](애니맥스). 프로축구 팀 [[도쿄 스피리츠]](서울 스피리츠)의 선수이다. 이름의 유래는 아마 [[마쓰다 나오키]]. 아카기 히데오와는 고등학생 때부터 친구. 히데와 실력이 비등하지만, 인기도 연봉도 낮아서 열등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다 나오키가 연습 중 히데에게 종아리를 걷어차여 시즌 아웃급의 부상을 입게 되자 결국 폭발해서, "나에게 뒤쳐질까 봐 두려워한 히데가 일부러 부상을 입힌 거다" 라며 히데의 동생을 납치해서 "동생을 되찾고 싶으면 컵대회 결승에서 일부러 실수해라" 라고 요구하게 된다. 다만 경기 중이라 자세한 사정을 모르는 히데는 승리 후 우승의 영광을 나오키에게 돌렸고, 그렇게 나오키가 앙금을 풀면서 화해하고 도쿄 스피리츠의 투톱 콤비가 된다. 이후 [[미궁의 훌리건]] 에피소드와 악마와 성자의 행진 에피소드에서 함께 현역으로 활약한다. * 히고 류스케(최희고(5기), 기정환(10기), 고주영(11번째 스트라이커 이후)[* 최희고는 히고를 그대로 읽은 것. 기정환은 [[기성용]]과 [[안정환]]을 적절히 섞은 듯하고, 고주영은 히고의 고를 성씨로 해서 [[박주영]]을 모티브로 딴 듯 하다.] [[파일:코난히고류스케.png|width=40%]] 성우는 [[사쿠라이 타카히로]]/[[최승훈(성우)|최승훈]]([[11번째 스트라이커]]). 프로축구 팀 [[빅 오사카]]의 공격수. 작중에선 손꼽히는 [[J리그]]의 유명한 공격수다. 이름 유래는 [[루이스 피구]]로 발음이 비슷하다. 원래 [[느와르 도쿄]](느와르 서울)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지만[* 극장판 관련 OVA인 '''판타지스타의 꽃''' 편에서 신이치에게 느와르 도쿄 입단을 권유하는 장면으로 짧게 등장한다. 나중에 극장판에서 축구교실에서 공차는 코난을 보고 신이치와 비슷하다고 묻기도 했다.], 라이벌 구단인 [[빅 오사카]](빅 부산)로 이적했다. 이 때문에 작중에서 처음 등장했을 땐 느와르 도쿄 팬은 배신자라는 이유로, 빅 오사카 팬은 그 전까지 빅 오사카 팀을 물먹인 선수였고 이적 후에 골을 넣지 못한다는 이유로 그에게 야유를 보내고 있었다.[* 모티브인 루이스 피구가 바로 그러했다. 자세한건 피구 항목을 참조.] 그렇게 야유 속에서도 기어코 결승골을 넣자 팬들은 다시 히고를 외쳐댔고, 그 뒤로도 다시 골 감각이 폭발한듯 나중에 다시 그가 언급될 때 이야기로는 이젠 빅 오사카에서도 에이스가 되었다고 한다. 양 쪽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모습과 엔도 리쿠오와의 이야기, 검은 색에 관련된 모임[* 느와르 도쿄의 느와르는 검은 색을 의미하고, 하이바라는 검은 조직에서 탈출했다.]에서 나온 것이 자신과 비슷하다 느낀 [[하이바라 아이]]가 팬이 된다. 84권에서 밝혀진 바로는 코우난 고등학교(고남고등학교) 졸업생으로, [[오키노 요코]]의 고등학교 선배인데, 요코가 부른 곡인 '''[[민들레(동음이의어)#s-2|댄덜라이언]]'''을 좋아한다고 한다.[* 히고의 팬인 하이바라도 또한 좋아하는 곡이다. 하이바라가 노래를 들으며 밝게 웃을 정도. 하지만 요코와의 스캔들 기사가 보도되자, 분노에 차 요코의 노래를 모두 삭제했을 정도. 이후 그 스캔들이 오보로 밝혀지자 요코 노래를 다시 저장했다(…).] * 엔도 리쿠오(박중현) [[파일:Screenshot_20200209-095829_NAVER.jpg|width=225]] 히고의 이복 형. 동생과 둘이서 J리그를 제패하자는 약속을 하였으나 현재는 현역에서 은퇴하고 [[빅 오사카]]의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히고 류스케가 [[느와르 도쿄]]에서 라이벌 구단인 빅 오사카로 이적하게 된 이유를 제공했다. 엔도가 2부 리그에 있던 중 느와르 도쿄에 입단하게 되자 히고도 형과 함께 뛰고 싶어서 입단했다. 하지만 팀이 엔도를 영입한 것은 히고 선수를 데려오려는 것에 불과해, 그 2년 후부터 서서히 엔도를 엔트리에서 제외하더니 결국엔 방출한다. 그렇게 선수 생활을 마감한 엔도를 빅 오사카에서 코치로 영입했고, 히고는 형과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빅 오사카로 이적한다. 이 일은 대외적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것이지만 예전에 이 형제를 만난 적이 있는 [[쿠도 신이치]]는 사정을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여담으로, 히고 류스케의 한국판 이름이 2번이나 바뀌었는데, 이복 형제이기 때문에 박중현이라는 이름을 굳이 고칠 이유는 없다. * 사나다 타카히로(真田貴大)(차한별) [[파일:Screenshot_20200201-144631_NAVER.jpg|width=40%]] 성우는 [[요시노 히로유키]][* 이쪽은 [[이나즈마 일레븐|축구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의 [[키도 유우토|서브 주인공]]을 담당한 적이 있다.]/[[류승곤]]. [[감바 오사카]]의 유망주로 [[칸사이벤]]을 쓴다. 나이는 18세.[* 하이바라와 나이가 같다.] [[11번째 스트라이커]]에 등장한 극장판 오리지널 캐릭터였으나 이후 원작에서 깜짝 출연했고,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J리거와의 약속]](TVA 742화)' 편에서 중요 인물로 등장했다. [[용의자는 열애 커플|하이바라 아이의 캐붕 레전드로 알려진 그 편]]에서는 TV화면에 얼굴로만 등장했다. 꽤 건방진 성격이지만 실력은 좋은 편. 의외로 자신이 잘못한 건 바보 같은 약속을 해서라도 사과하는 면도 있다. 입은 거칠지언정 좋은 사람인 듯. '[[J리그 결승전의 무대 뒤]](TVA 1083화)'에서는 J리그 30주년 경기에서 실수를 하는 바람에 빅 오사카의 패배의 원흉이라며 소년 탐정단에게 놀림을 당하는 등 이래저래 개그캐스런 모습을 보이나 코난과 협력해서 테러범[* 메구레한테 체포당했던 테러범으로 만기 출소 후 메구레를 사살하려고 했다.]을 저지하는 활약을 보인다.[* 평소처럼 코난이 벨트로 축구공을 만들어내 킥력 증강 운동화로 범인을 제압하려 했으나 코난이 공을 차려는 찰나 사나다가 나섰다.] 참고로 빅 오사카의 팬인 하이바라조차도 사나다만큼은 그닥 달갑지 않게 여기는 듯.[* 이유는 히고와 함께 경기장에 입장하는 소원이 사나다 선수의 실수로 인해 물거품이 되어버렸기 때문(...)] === 탐정 === * [[하쿠바 사구루]](백준수) * 모기 하루후미(신문기, 탐정들의 진혼가에서는 상민.) [[파일:Screenshot_20191208-090827_Chrome.jpg|width=30%]] 성우는 [[호리우치 켄유]]/[[손원일(성우)|손원일]]/[[에런 라플랜트]] 하드보일드한 탐정으로 30권에서 등장. 하드 보일드로 떡칠한 스타일과 줄담배를 즐기는(하마터면 그때문에 요단강 너머갈 뻔) 점을 보면, 캐릭터의 모티브는 [[필립 말로]]. [[탐정들의 진혼가]]에도 아래 소다 이쿠미와 함께 카메오 출연하였으며, 이미 사건을 해결하지 못해 폭사한 것으로 처리되었지만 범인의 페이크. 엔딩 크레딧 후 추가영상에서 모리 탐정의 입으로 생존이 확인된다. 첫 등장 했을때 타던 차는 이탈리아의 명차브랜드인 [[알파 로메오]]의 클래식카인 알파 로메오 GT 1300 주니어. 자기말로는 자기 손에 들어오는 데 몇년은 걸렸다고. * 소다 이쿠미(전유미, 탐정들의 진혼가에서는 혜정.) [[파일:Screenshot_20191208-090806_Chrome.jpg|width=30%]] 성우는 [[시노하라 에미|시노하라 에미코]]/[[이동은(성우)|이동은]]/[[캐리 케러넌]] 검시관 출신 탐정이라 하며 30권에 등장한다. 검시관 출신의 여성이라는 점을 볼때 캐릭터의 모티브는 [[스카페타 시리즈]]의 케이 스카페타. 위의 모기와 함께 [[탐정들의 진혼가]]에도 얼굴만 카메오 출연. 이미 사건을 해결하지 못해 폭사한 것으로 처리되었지만 범인의 페이크. 엔딩 크레딧 후 추가영상에서 모리 탐정의 입으로 생존이 확인된다. 여담으로 첫 등장했을 때 타는 차는 이탈리아의 슈퍼카 브랜드인 [[페라리]]사의 창업주인 [[엔초 페라리]]의 유작이자 [[페라리]]의 40주년 기념 한정슈퍼카인 [[페라리 F40]]. ~~그리고 등장화에서 폭발해버린다.~~ 스핀오프인 [[범인 한자와 씨]]에서도 등장한다. * 센마 후루요(박소선) [[파일:Screenshot_20191208-090738_Chrome.jpg|width=30%]] 성우는 일본판은 [[노자와 마사코]], 한국판은 [[박은숙]]. 모기(신문기), 소다(전유미)와 함께 등장한 탐정으로 [[안락의자 탐정|앉아서 이야기만 듣고도 사건을 해결]]한다는 노인 탐정이다.[* 이후 출연은 못할 듯. 살인사건의 범인으로 체포 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에피소드 후반에서 범행 동기의 오해를 깨닫고 죄책감에 자살하려고 헬기에서 뛰어 내리지만, 사실 진짜 목적은 모리 코고로로 변장한 괴도 키드를 도망치게 하기 위함이었으며 와이어에 매달린 상태였다.] 캐릭터의 모티브는 [[미스 마플]]. 애초에 이름의 유래부터 미스 마플이다.[* 센'''마 후루'''요→마후루(마플)] * 코시미즈 나츠키(조연우) [[파일:Natsuki.jpg|width=30%]] 성우는 [[하야미즈 리사]]/[[이계윤]]. [[핫토리 헤이지와의 3일간]] 후반 에피소드 등장 인물로, [[후쿠오카현]]([[대구광역시]]) 출신. 천둥이 울려 불안에 빠졌을 때 [[하카타벤]]이 나오기도 한다. 여자 탐정으로, 라벤더 저택 살인사건에서 누명이 씌워져 자살한 저택 메이드 미즈구치 카나[* 성우는 오카모토 나미.]의 친구. 이 인물의 반향이 컸던 나머지 새롭게 등장한 캐릭터가 [[세라 마스미]]다. * 시오타 헤이하치로(김수택) - 성우는 [[이시모리 탓코우]]/[[전인배]](KBS)/[[최지훈(성우)|최지훈]](애니맥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로 모리 코고로와 메구레 경부의 스승이며 전직 유명 탐정인데 전성기때는 [[리즈 시절|최고의 명탐정으로 이름을 날렸었다.]][* 사실 원작에서는 없는 이런 큰 설정은 다소 위험할 수 있다. 코고로의 과거 일화를 보면 대학교 졸업 후 경찰학교를 거쳐서 형사가 된 인물이기에 사설 탐정을 스승으로 둔 다는 게 살짝 어색한 설정이다.] 신이치(코난)는 물론, 추리 덕후가 아닌 란도 그 명성을 알고 있고, 심지어 그 신이치조차 이 분을 처음 뵙고서는 전직 명탐정의 멋진 추리를 기대했을 정도니... 다만 이미 은퇴한지 오래되었을 뿐더러 나이가 드셨는지 영락없는 호색한 영감이 되었다.(...) 때마침 살인사건이 터지지만 "모든 사건의 배후에는 여자가 있다."는 등, 모리 코고로랑 다를 바 없이 근거 없는 헛다리 추리만 한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모리 코고로가 부상을 입고 병원에 실려가는 바람에 잠자는 모리 코고로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이렇듯 허당 같지만 사건의 범인은 진짜로 여성이였고, 코난이 생각하는 모습을 보고 "모리보다 더 탐정 같다."고 평가하였으며, 진지하게 철학적 얘기를 꺼내기도 했는데 이 무관해 보이는 얘기가 코난에게 힌트를 주는 등, [[가치부전|허당은 사실 위장이 아니였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실제 추리 실력이 진짜로 저렇게 허접했다면 명탐정으로 이름을 날리는 것도 거의 불가능해 보이고...[* 작중 언급에 의하면 현역이던 시절, 모리나 메구레가 해결 못한 사건을 많이 해결해 준 듯 하다.] 사건을 해결하고 나서는 모리 탐정 사무소를 멋대로 자기 이름을 건 시오타 탐정 사무소로 바꾸고 병원에서 치료받고 돌아온 모리 탐정은 그걸 보고 뜨악하지만, 곧이어 시오타의 부인이 찾아와서 시오타를 끌고 나간다.(...) 알고보니 도쿄 구경 간답시고 며칠째 집을 비운 모양... 이로보아 늘그막에는 [[공처가|아내에게 꽉 잡혀 사시는 것 같다.]] === 기업인 / 대부호 === * [[스즈키 시로]](정준영) - <스즈키 그룹>의 회장 * [[후사에 캠벨]](세라 캠벨) - <후사에>의 디자이너 겸 오너 * [[아만다 휴즈]] - 미국의 대부호 * [[카라스마 렌야]](오억만 → 카라스마) - 50년 전의 대부호이자 <[[카라스마 그룹]]>의 오너 === 작가 === * [[쿠도 유사쿠]](남건) * 신메이 카오리(임미향) 성우는 오사카 후미코/[[정선혜(성우)|정선혜]].[* [[박세모]]와 동일 성우다.] 작중 엄청나게 유명한 탐정 소설 시리즈 '사몬지 탐정' 시리즈의 저자. 정확히는 아버지인 신메이 닌타로(임태랑)가 사망하자 그 일을 이어받은 것이다. 사실 이전까지는 별다른 창작 활동을 보이지 않은 평범한 회사원이었으나 부모님이 행방불명되어 원고만 보내오자 코고로에게 찾아달라 의뢰를 해오고[* 코고로는 처음에 귀찮아서 거부하려다 카오리가 엄청난 미인이자 바로 수락한다.], 같이 원고의 암호를 풀어서 아버지가 있는 곳을 찾았지만 이미 임종한 뒤였다. 이후 아버지의 유작을 계승하고 베스트셀러로 대히트를 친 것으로 봐서는 아버지로부터 소설가의 재능을 이어받은 모양. 그리고 사몬지 탐정의 조수로 [[모리 코고로|주정뱅이 아저씨 탐정]]과 [[모리 란|왈가닥 여고생]], 그리고 [[에도가와 코난|안경잡이 건방진 꼬마]]가 추가되면서 인기는 더 올라갔다고 한다. 셋을 누구로 모델로 한 건지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안 봐도 뻔하다]].[* 여담으로 [[에도가와 코난|건방진 꼬마의 모티프가 된 어떤 꼬맹이 탐정]]은 내가 무슨 건방진 꼬마냐면서 불평 아닌 불평을 한다.] 코난이 사몬지 탐정 시리즈의 애독자라 종종 언급된다. 43권에서 코난이 사몬지 탐정 시리즈 '악마가 남긴 유언장'을 살 때 이름이 밑에 적혀있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이 사건의 열쇠가 되었다.] 이후 가끔씩 이 신메이 카오리의 이름과 탐정 사몬지 시리즈가 언급이 된다. === 그 외 유명인 === * [[이타쿠라 스구루]](김종걸) * 사미즈 키치에몬(삼수 장실현) 46권부터 종종 ~~매번 똑같은 일러스트와 함께~~ 언급되는 역사적 인물이다. 에도 막부 말기 [[카라쿠리]](꼭두각시 혹은 기계장치) 제작 기술자로 그가 만든 꼭두각시 인형은 꼭 살아 있는 것 같다고 해서 영주들이나 상인들에게 각광을 받았으며 그로 인해 축적한 부를 도쿠가와 막부파의 무사들에게 원조를 해주었다고 한다. 덕분에 일명 '카라쿠리(꼭두각시 혹은 기계장치) 키치에몬'으로 불리며 작중 신기한 장치를 등장시키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한국 애니판에서는 막부말의 기술자라는 설정을 현지화하기 부담스러웠는지 잘려나갔는데, 시즌 9에서 '삼수 장실현'이란 이름으로 처음 언급된다. 이름의 모티브는 [[장영실]]로 추측된다. 참고로 이 사람, 작중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보스(명탐정 코난)|보스]]와 동년배이다.[* 키치에몬은 첫 등장 시 140년 전 사람이라 언급되었고, 보스는 150년 전에 태어났다고 한다.] 보스에 대해 밝혀진 게 전무한 상황에서 어쩌면 보스의 과거에 키치에몬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키치에몬이 처음으로 언급된 에피소드에서 보스의 메일주소가 밝혀졌다는 점도 미심쩍은 부분. == 범죄자와 용의자 == === 괴도 === * [[괴도 키드]] * [[팬텀 레이디]][* 코난에서는 언급만 되는 인물이다. 다만 코난의 괴도키드 스페셜에는 직접 등장한다.] === 용의자 === * [[아사이 나루미]](이성미) * [[마치다 야스히코]](황정만) * [[폭파범 사내]] * [[나가이 토쿠지로]](강이덕) * [[아사카(명탐정 코난)|아사카]] * --[[한자와 마코토]]-- * 하타모토 타케시 [[파일:takeshi-.jpg|width=150]] 성우는 [[나카하라 시게루]]. 하타모토 나츠에의 남편으로 하타모토 가의 데릴사위. 진짜 정체는 하타모토 가에 사업을 뺏기고 자살한 자이키 산업의 사장인 자이키 이사오의 외아들. 타케시라는 이름도 가명이며 본명은 '자이키 타케히코'. 복수를 위해 나츠에에게 접근했지만 점차 진심으로 나츠에를 사랑하게 되어 복수를 포기한다. 그러나 정체가 하타모토 가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바람에 누명을 썼었다. 사건 후에는 아내와 함께 홋카이도에서 목장을 하고 있다. * 세토 미즈키(성지현) [[파일:CCTLLN0VEAAydnb.png|width=350]] 성우는 [[코우다 마리코]]/[[정혜원(성우)|정혜원]]. (35~36권)TVA 537~538화에 등장하는 메이드이며 괴도 키드가 변장한 인물 후보 중 하나였으나 정체는 다름아닌 진짜 [[괴도키드]]였다. 나카이 후나코와 마찬가지로 1화밖에 등장하지 않은 단역 캐릭터이지만 TVA 방영 이후 인터넷 상에서 상당히 인기를 모아 결국 굿즈까지 발매 되었다.[[https://www.onlinestore-zerogact.com/SHOP/4573358454321.html|#]] == 기타 등장 인물 == * [[쿠죠 레이코]](서영주) * 야마기시 에이이치(배정식, 배정수) [[파일:Conan_Eiichi_Yamagishi.jpg]] 성우는 [[이치조 카즈야]] / [[전인배]] / [[선호제]] [[오키노 요코]]의 전 매니저. [[아이돌 밀실 살인사건]]에 등장했고 애니판에서는 오리지널 사건인 [[TV 드라마 로케 살인사건]]에 한 번 더 등장했다. 이후 [[아이돌 스타의 비밀]] 편에서는 매니저가 바뀌었다고 언급된다. 이름은 작가의 어시스턴트인 야마기시 에이이치에서 따왔다. * 사사키(佐々木) [anchor(사사키)] || [[파일:사사키1.png|width=150]] || [[파일:사사키2.png|width=150]] || [[파일:사사키3.png|width=150]] || [[파일:사사키4.png|width=150]] || 성우는 [[치바 잇신]](264~5화, 297~8화) [[카세 야스유키]](489화) 스가야 이사무(606~7화). 도쿄지방검찰청 형사부 제 3 재판실의 대리검사. [[쿠죠 레이코]]가 법정에 설 때 항상 함께하는 모습을 보인다. 전화, 방문, 홍보 및 레이코의 각종 업무들을 보조하고 있는 듯하다. 레이코에게 반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름은 '探偵の探偵' 시리즈의 '사사키 레나'에서 따왔다. 작중에서 쓰고 있던 안경이 없어지고 잠시 실눈캐로 변했다가 다시 원래의 디자인으로 복귀했다. * [[요네하라 사쿠라코]](이성연) * [[나탈리 쿠루마]] * 고토 젠고(김선호) 성우는 [[쿠스노키 타이텐]] / [[서윤선]](TV판 9기), [[김기흥]]([[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화염의 해바라기]]). 스즈키 지로키치(정지로)의 개인 경호원. 원작 에피소드인 TVA 537화~538화 <괴도키드 vs 최강금고> 편(원작 65권~66권)에서 새로 고용된 3명의 고용인들 중의 하나로 처음 등장하였다. 거구의 체격에다 약간 까만 피부로 성격은 무뚝뚝하지만, 지로키치에게 들어온지 얼마 안됐으나 새로 고용된 3명 중에 유일하게 믿음직스럽고 일을 잘하는 사람이라는 평을 받을정도로 업무 및 일을 잘 하는 편이다. 지로키치의 운전기사 역할도 맡고있다. 이후 19기 극장판인 [[화염의 해바라기]]에 등장, 지로키치의 경호와 고흐의 해바라기 총보안업무를 맡는다.[* '''사실 이 극장판에서 고토는 [[지이 코노스케]]의 변장이다.''' 진짜 고토는 자신으로 변장한 가짜가 있는 것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우치다 아사미(박두나) [[파일:우치다 아사미.png|width=129&height=195]] 성우는 진 유카리/[[정현경(성우)|정현경]](KBS판)/[[이지현(성우)|이지현]](애니맥스판)/그웬돌린 라우.[* [[토야마 카즈하]]와 중복] [[첫사랑의 사람 추억 사건]](원작 18권 File.3~File.5, TVA 100~101화)에 등장한 토토 대학 문학부 1학년 학생으로, 추리연구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란과 소노코, 신이치의 중학교 선배이다. 당시 학교 최고의 퀸카였으며, 중학교 1학년 때의 신이치가 우치다에게 고백했다가 차였던 첫사랑 상대로 알려져 있었으나, 사실 고백한 쪽은 우치다였다. 물론 신이치는 어릴적부터 [[모리 란|드세고 고집쟁이면서도 눈물은 많은 왈가닥]]을 마음에 두고 있었기에 우치다의 고백을 거절했다.[* 하지만 정작 [[모리 란|당사자]]는 '[[둔감|그런 사람이 있었던가]]?'라는 반응을 보였다. 옆에서 한심해하는 소노코는 덤.] 그러나 첫사랑인지라 포기할 수 없었기에 마음을 돌려보려고 신이치가 자신에게 고백했다 차였다는 [[서동요|헛소문을 퍼뜨렸으나]] 신이치는 끄떡도 하지 않았다. 반하게 된 계기는 자신이 만든 레몬파이를 축구부원들에게 나눠줬는데 맛있게 먹은 다른 부원들과는 달리 [[나한테 이런 건 네가 처음이야|신이치만은 맛없다고 해서]][* 란은 "신이치가 입맛이 특이해서 그래요!"라고 반박했지만 사실은 다른 부원들도 마지못해 먹을 정도로 맛이 없었던 게 맞다고 한다.] 약이 올라 매일 레몬파이를 만들어 신이치의 동아리 방으로 갖다주다 보니 어느새 축구부 매니저가 되어있었고, 신이치에게 빠지게 되었다고... 란에게 경쟁의식이 있었는지 일부러 잘못된 레몬파이 레시피를 알려주기도 했다.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란이 레몬파이를 맛있게 만들었다는 점. * 나나카와 아야(최아현) - 성우는 [[야지마 아키코]](343~344화), [[쿠라타 마사요]](491화~) / [[이소은(성우)|이소은]]. 소노코와 란, 쿠도 신이치의 중학생 때의 동급생. 42권에서 첫 등장하며,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고 한다. 나중에 혼도 에이스케가 누나를 찾는 에피소드에서 복막염을 앓느라 병원에 입원했다는 언급이 나온다. * 후네모토 토지(김지민) - 성우는 [[카나이 미카]]/[[정혜원(성우)|정혜원]]. 53권에 나온, 살인 사건 피해 여성의 아들. 비중은 별로 없으나 이 소년이 중요한 이유는 48~49권의 [[미즈나시 레나|어떤 여자가 오토바이 타다가 사고난 사건]]의 목격자[* 도로 한복판에 떨어진 축구공을 주우려다 우연히 목격하게 됨.]였기 때문이다. [[베르무트(명탐정 코난)|서양 여자]]와도 말을 섞어본 위인. '우마우마 어쩌고'[* A secret makes a woman woman.]를 언급한 그 소년이다. 그 후에는 검은조직 표적이 될테니 FBI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고 언급된다. * 나카이 후나코(이제니) [[파일:나카이 후나코.jpg]] 성우는 [[유우키 아오이]]/[[조현정(성우)|조현정]].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797화 '꿈꾸는 소녀의 미(迷)추리[* 일본에서 名과 迷는 같은 발음이다. 한국에선 명탐정과 발음이 비슷하면서도 맹한 느낌이 나게 맹탐정으로 번역한다.]' (더빙판 15기 9화 "꿈꾸는 소녀의 기묘한 추리")에서 등장한 캐릭터. 트윈테일 머리에 리본, 프릴달린 옷을 입은 귀여운 외모를 지녔으나 bl을 좋아해 캐릭터 백을 붙이고 다니며 망상벽이 있는 22세의 대학생 소녀로 본인은 후나치라는 별명으로 불러달라고 하며[* 더빙판에선 제니코] 자신이 좋아하는 여성향 게임 캐릭터인 신기루의 그대(蜃気楼の君)를 공략하는 히로인에게서 따왔다고 한다. 처음에는 모리 탐정 사무소에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와 비스무리한 특징을 지닌 남자(한국 더빙명 정호성, cv. [[오키츠 카즈유키]]/[[김지율]])가 신경쓰여 의뢰를 하러 갔으나 이상한 태도를 보인지라 모리 코고로에게 거절당한 것을 단독으로 조사하려는 것을 코난이 동행하게 된다. 그 뒤 사건이 어찌어찌 해결되어 남자가 호감을 보이자 2차원과 3차원의 갭을 이기지 못하고 도망친다. 캐릭터의 모티브는 [[카나메 마도카|모 마법소녀]]와 담당성우인 [[유우키 아오이]]의 네타적인 부분만 모아서 만들어낸 것이지만,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치고는 외모도 괜찮고 인기 성우가 목소리를 담당한데다 별의별 인물들이 모여있는 코난 세계에서도 독특한 캐릭터인지라 팬들에게 인기를 모으고 있으며 재등장을 바라고 있다. * 하타모토 나츠에(김하란) [[파일:natsue.jpg|width=150]] 성우는 아소 유리. 3권 (TVA 21~22화) <[[호화 여객선 연속 살인사건]]>에서 등장했던 사건 관련자. 대부호 가문 둘째 손녀로, 죽은 할아버지인 '하타모토 고조'가 전재산을 나츠에한테 몰빵(…).[* 여담으로 [[대한민국]] 법률에 따르면 상속자들은 상속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유류분]]의 명목으로 최소한의 몫을 상속 받을 수 있다. 1/n인 경우에 비해 몫이 엄청 줄어드는 게 사실이다만.][* 여담으로 하타모토가의 총수였던 하타모토 고조는 타케시가 복수를 하기 위해 가문으로 들어온 것과, 집안 식구들 중 나츠에만 유독 편애한 것, 기타 언행을 보아 [[인간 말종|굉장히 인성이 나빴던 사람]]으로 보인다. 그 외 집안 친척들이 재산 문제로 다투는 등 콩가루 집안이 따로 없다.(...)] 사건 이후에 유산을 포기하고 남편과 함께 [[홋카이도]]에서 목장을 한다는데, 그 편지 뒤로 보이는 일러스트를 보면 목장은 가만 두면 소가 알아서 크는 줄 아는 세상 물정 모르는 아가씨의 모습이 보인다. 이후 모리 탐정 사무소 측에 사건 해결에 대한 답례로 여행 티켓을 보냈다. 물론 사무소 식구들은 감사히 받아들였다가 어김없이 사건에 휩쓸린다(…). 16권 '''코난 VS 괴도 키드'''에서는 그녀의 숙부인 하타모토 조지가 승객으로 재등장. 22권 [[우에노발 북두성 3호]]편에서 에서 티켓을 답례로 보내는 것이 마지막 언급. 참고로 한국 더빙판에서는 실제로 등장한 적이 한 번도 없다. 등장 에피소드의 범인은 사촌인 나츠에를 사랑하고 있었는데, 성격이 심하게 내성적인데다가 할아버지가 결혼을 반대하자 살해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사촌끼리의 통혼이 금지되어 있어 방영하지 않았다. 그래서 위에 거론된 사건 해결에 대한 답례로 여행 티켓을 보냈다는 이야기도 김하란이라는 아는 지인이 티켓을 보내준 것으로 바뀌었다. == 작중에 특별출연한 실존 인물 == * [[TWO-MIX]][* TVA 81~82 <[[인기 아티스트 유괴사건]]>과 TVA 238화 <[[오사카 "3개의K" 사건]]>에서 등장] * [[쿠라키 마이]]([[이효리|이호리]])[* TVA 238화 <[[오사카 "3개의K" 사건]]>에서 등장, 그 후 TVA 927~928화 붉은 수학여행편에서 재등장] * [[코마츠 미호]](최지수)[* TVA 238화 <[[오사카 "3개의K" 사건]]>에서 등장] * [[우에토 아야]](송혜은)[* TVA 437화 <우에토 아야와 신이치, 4년 전의 약속>에서 등장] * [[사카모토 료마]] 키드와 코난의 대결을 다룬 원작 에피소드들 중 하나인 TVA 627화~628화 코난, 키드의 료마 보물 공방전에서(원작 70권) 자주 언급되는 역사적인 인물 이 에피소드 작중내에서 료마 관련 전시회가 열린다. * 사카이 마사아키(사성일)[* 예전에 더 스파이더스라는 밴드의 보컬를 맡은 실존 가수다.] TVA 636화~637화 <세계에서 가장 받고 싶은 수업> 편에서[* 세계에서 가장 받고 싶은 수업이라는 프로그램은 실제로 니혼TV에서 방영하고있는 프로그램이다.] 특별출연한 실존 가수. 성우는 사카이 마사아키 본인이 맡았으나 이후 DVD나 [[Hulu]] 배급판에서는 초상권 문제로 [[쵸]]가 대역을 맡았다. 작중내에 프로그램 코너에서 교장 선생님 담당을 맡는다. 한국 성우는 [[유해무]]. * [[우에다 신야]] TVA 636화~637화 <세계에서 가장 받고 싶은 수업> 편에서 특별 출연한 실존 개그맨.[* 아리타와 마찬가지로 실제로 존재하는 개그 콤비인 크림시츄의 일원인 실존 개그맨이다.] 성우는 우에다 신야 본인이 맡았으나 역시 초상권 문제로 DVD판 및 Hulu 배급판에서는 오오니시 타케하루가 대역을 맡았다. 작중내에 프로그램 코너에서 교감 선생님 담당을 맡는다. * [[아리타 텟페이]] TVA 636화~637화 <세계에서 가장 받고 싶은 수업> 편에서 특별 출연한 실존 개그맨.[* 우에다와 마찬가지로 실제 존재하는 개그 콤비인 크림시츄의 일원인 실존 개그맨이다.] 성우는 아리타 탓페이 본인이 맡았으나 역시 초상권 문제로 DVD판 및 Hulu 배급판에서는 고토 신이 대역을 맡았다. 작중내에 프로그램 코너에서 우에다와 마찬가지로 교감 선생님 담당을 맡는다. * [[이치카와 에비조]][* 본명은 호리코시 타카토시. 정식 배우명은 11대 이치카와 에비조이다.] 1+1시간 스페셜 편인 804화~805화 [[코난과 에비조, 카부키 18번 미스터리]] 편에서 주연급으로 특별출연[* 소개에서 코난 왈, '''"초 초 초 유니크한 게스트"''']한 배우. 성우는 11대 이치카와 에비조인 호리코시 타카토시 본인이 맡았다. 2편의 처음과 마지막에 화면으로도 본인이 출연한다. * [[마츠오 타카시]]([[송승헌|송승진]]) TVA 15화 <[[방송국 살인사건]]> 편에서 출연한 배우. 사실 특이사항은 없으나, 문제는 해당 에피소드의 '''범인'''으로 나온다는 것(...). 성우는 마츠오 타카시 본인이 맡았다. 한국 성우는 [[오인성]](KBS)/[[박만영]](애니맥스) * 그 외 인물들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http://ko.wikipedia.org/wiki/%EB%AA%85%ED%83%90%EC%A0%95_%EC%BD%94%EB%82%9C%EC%9D%98_%EB%93%B1%EC%9E%A5%EC%9D%B8%EB%AC%BC_%EB%AA%A9%EB%A1%9D|여기로]] ==# 극장판 오리지널 #== * [[모리야 테이지]] (정형균) ---- * [[사와키 코헤이]] (여덕준) ---- * [[호시 세이란]] (포사 청란) ---- * [[오다기리 토시야]] (고승현) * [[카자토 쿄스케]] (허풍도) ---- * [[키사라기 호우스이]] (최봉수) * [[하라 요시아키]] (하준영) ---- * [[토마스 쉰들러]] * [[사와다 히로키]] (전우주) * [[잭 더 리퍼(명탐정 코난)|잭 더 리퍼]] ---- * [[사이조 타이가]] ---- * [[사카이 나츠키]] (나혜라) ---- * [[쿠사카 히로나리]] (오은석) * [[아키요시 미나코]] (인지나) ---- * [[이토 스에히코]] (채동민) * [[시미즈 레이코(명탐정 코난)|시미즈 레이코]] (정나미) ---- * [[마츠모토 미츠시&이즈야마 타로]] (마광철&이태산) * [[이와나가 조지]] (이영재) ---- * [[후와 타쿠미]] (유파건) ---- * [[아이리시(명탐정 코난)|아이리시]] * [[혼조 카즈키]] (송현조) ---- * [[니시타니 카스미]] (강수미) * [[이시모토 준페이]] (이중기) * [[후지오카 타카미치]] (마석규) ---- * [[야마오 케이스케]] (신기루) * [[토노 미즈키]] (고민아) ---- * [[나카오카 카즈마사]] (장동민) ---- * [[쿠라타 마사아키]] * [[스파이 X]] * [[타케카와(명탐정 코난)|타케카와]] ---- * [[케빈 요시노]] (케빈 킴) ---- * [[미야다이 나츠미]] (나수미) ---- * [[큐라소(명탐정 코난)|큐라소]] ---- * [[아치와 켄스케]] * [[카이에다 토고]] ---- * [[쿠사카베 마코토]] (차강일) * [[타치바나 쿄코(명탐정 코난)|타치바나 쿄코]] (도경주) ---- * [[레온 로]] (레온 로우) * [[리시 라마나단]] (리시 라마나산) * [[헤즈리 자말루딘]] (헤즐리 자말루딘) ---- * [[시라하토 마이코]] * [[이노우에 오사무]] ---- * [[엘레니카 라브렌티예바]] * [[크리스틴 리샤르]] === 오리지널 경찰 === * [[오다기리 토시로]](고대길) 극장판 4기에서 처음으로 등장했으며 극장판 한정으로 계속 출연한다. * [[우에히라(명탐정 코난)|우에히라 순사]](우평무) * 모로보시 토시오(강한석)[* 여담으로 한국 더빙판에서 이름이 [[메구레 쥬조|골롬보]]의 본명인 '''"골한석"'''과 같다. 성은 [[아카이 슈이치]]의 가명이었던 '모로보시 다이'와 같다.][anchor(모로보시 토시오)] || [[파일:모로보시 토시오1.png|width=150]] || [[파일:모로보시 토시오2.png|width=150]] || [[파일:모로보시 토시오4.png|width=150]] || [[파일:모로보시 토시오5.png|width=150]] || 성우는 호리베 류이치. 경시청 경시부총감이다. 경시총감 다음 가는 직위인 경시부총감이니 계급은 경시감이다. 극장판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베이커가의 망령]]에 등장하며, 손자인 모로보시 히데키가 코쿤 속 게임에서 활약한다. * 우노 타다요시 (우충현) [anchor(우노 타다요시)] || [[파일:우노 타다요시7.png|width=150]] || [[파일:우노 타다요시1.png|width=150]] || [[파일:우노 타다요시5.png|width=150]] || [[파일:우노 타다요시8.png|width=150]] || 성우는 오오야 카네오미 / [[장광]]. 경시청 형사부 참사관. 계급은 경시정으로 추정된다. 극장판 [[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천공의 난파선]]에서 오다기리 토시로 형사부장과 함께 국립 도쿄 미생물 연구소 습격사건의 선두지휘를 맡으며 등장한다. 기자들을 대할 때 다소 침착한 어조로 말하는 것이 특징이다. 15년 전 상가 사무소에서 일어난 강도사건[* 688화 다카기 형사 3천만 줍다 편.]의 수사 담당이었지만 범인을 잡지 못한 채 시효가 완성되어버렸다. * 앨런 매켄지 (앨런 매켄지)[anchor(앨런 매켄지)] || [[파일:앨런 매켄지1.png|width=150]] || [[파일:앨런 매켄지2.png|width=150]] || [[파일:앨런 매켄지3.png|width=150]] || [[파일:앨런 매켄지4.png|width=150]] || 성우는 찰스 글로버[* 코난이 좋아하는 골키퍼 '''레이 커티스'''의 성우를 맡은 적이 있으며, 전작 [[감청의 권]]에서는 싱가포르 경찰 소속의 마크 에이단 경위를 맡았다.] / [[민응식]]. 64세. 15년 전 FBI 국장(장관) 자리에 있었다가, 7년 전 미국 WSG 협회 회장으로 취임한 뒤 현재에는 국제 WSG 회장을 맡고 있다. 커리어 프로필을 보면 미국 연방 검사, 사법부 장관을 맡은 적도 있는 걸로 보인다. 젊은 시절 WSG 토론토 사격 종목에 출전했을 정도로 출중한 사격 실력을 지녔다.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비색의 탄환]]에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