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쓰촨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쓰촨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000,#ddd 쓰촨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绵阳, ruby=Miányáng)][ruby(市, ruby=Shì)] }}}'''[br]몐양시 | Mianya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绵阳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쓰촨성]] 몐양시 푸청구 몐양둥루98호[br]四川省绵阳市涪城区绵兴东路98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20,267.46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5현 1현급시 || ||<-2> '''{{{#ffff00 시간대}}}''' || UTC+8 (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4,868,243명 ^^(2021)^^ || ||<-2> '''{{{#ffff00 인구밀도}}}''' || 240명/km² || ||<-2> '''{{{#ffff00 서기}}}''' || 차오리쥔(曹立军) || ||<-2> '''{{{#ffff00 시장}}}''' || 리윈(李云)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348억 5,300만 ^^(2018)^^ || || '''{{{#ffff00 1인당}}}''' || $7,207 ^^(2018)^^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월계화 || || '''{{{#ffff00 시목}}}''' || [[녹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川B'''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涪'''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107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16''' || ||<-2> '''{{{#ffff00 우편번호}}}''' || '''621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C-07''' ||}}}}}}}}} || ||<-3> [[http://www.my.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서부 [[쓰촨성]]의 [[지급시]]. [[청두]]에서 동북쪽으로 60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 도시이며, 인구는 550만명으로, 쓰촨성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 시가지는 [[장강]]의 지류인 푸장과 안장 강이 만느는 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한나라]] 대부터, 특히 [[삼국시대]]에 성도로 향하는 관문인 부현 (부성)으로서 중요한 요충지로 각광받았다. 참고로 [[촉한]]의 멸망 시에 전투가 벌어진 [[몐주]](绵竹) 일대도 30km 거리에 있다. 불세출의 시인 [[이백]]의 고향이 몐양시의 행정 구역인 장유(江油)시에 있으며, 이백기념관 역시 그 곳에 크게 자리잡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당나라때 만들어 졌다는 야경이 아름다운 [[https://blog.naver.com/baekjelove1?Redirect=Log&logNo=221447800109|월왕루]], 삼국지에서 유비와 유장이 처음으로 만났다는 장소를 기념하는 [[https://blog.naver.com/baekjelove1?Redirect=Log&logNo=221445649398|부락산 공원]]등이 있다. == 역사 == [[신석기시대]] 때 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며, [[한나라]] 대에 부현(涪县)이 설치되면서 중국사에 등장한다. 해당 부현은 광한군(广汉郡) 소속이었으며, [[신나라]] 대에 잠시동안 통목현(统睦县)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가 후한대에 들어서서 다시 원 명칭으로 돌아온다. [[서위]] 대에 명칭이 파중현(巴中县)으로 변경되었으며, [[수나라]] 대에 면주(绵州) 소속의 파서현(巴西县)으로 명칭이 변경된다. [[청나라]] 대에는 중앙정부 직할령이었으며, [[중화민국]] 대에 몐양현(绵阳县)이 되었다가 [[1950년]]에 몐양전구(绵阳专区)로 변경된다. 이 몐양전구는 [[1968년]]에 몐양지구(绵阳地区)로 변경되었다가 [[1985년]]에 지급시화된다. == 교통 == 관내에 몐양 난자오 공항(绵阳南郊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의 경우 관내에 몐양역(绵阳站)이 존재하며, 시청고속철도(西成客运专线)와 바오청철도(宝成铁路)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