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위씨로 성을 사칭했다.(冒姓衛氏) >『[[한서]] Vo. 55』, 「[[위청]]전」 >'''아들로서 어머니의 성을 따르면 예가 아니다'''.(子而從母之姓 非禮也) >[[혁련발발]] : 『[[진서]] Vol. 130』, 「재기(載記) 제30」 >어머니의 [[우지(성씨)|씨성]]에 붙어서 츠키모토노키미를 '''사칭'''했다.(附母氏姓'''[[冒]]'''槻本公) >『[[https://blog.naver.com/sohoja/50094090488|신찬성씨록]]』, 제84번 == 개요 == [[성씨]]를 가질 때 [[아버지]]의 성씨가 아닌 [[어머니]]의 성씨를 따르는 경우를 말한다. 보통 성씨는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아버지의 성씨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나, 특수한 경우에는 어머니의 성을 따르기도 한다. 이유로는 1)부모가 이혼을 한 후 어머니를 따르게 돼서 성씨를 어머니의 성씨로 바꾸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며, 2)[[한부모 가정|편모 가정]]이라 아버지의 가문과 연이 없어서 어머니의 성을 따르기도 한다. 3)아버지가 외국인이라 어쩔 수 없이 어머니의 성을 따르거나[* 단 아버지가 중국인이나 일본인 등 [[한자 문화권]] 국가 출신인 경우 아버지의 성을 따르기도 한다.] 4)[[데릴사위]] 집안이라 모계의 가문이 영향력이 커서 자동적으로 어머니의 성씨를 따르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일본이나 서양처럼 결혼 후 한쪽이 성씨를 바꾸는[* 서양은 어디까지나 관습이라 법적으로 따를 의무는 없다.] 문화권에서는 남성이 결혼하면서 아내의 성씨를 따르기도 한다. 최근에는 부성주의 원칙을 따르는 대한민국 등에서도 반드시 아버지의 성을 따를 필요는 없다는 인식을 가진 부모가 생기고 있으며, 부모의 의사나 [[성평등]], 아버지 쪽의 성씨의 특이성 등 다양한 이유로 어머니의 성을 물려주는 경우가 존재한다. 호주제가 폐지되어 법이 바뀐 영향도 있고, 현재 정부 부처에서 부성 우선주의를 폐지하기 위해 [[https://news.v.daum.net/v/20210124230101747|가족법 개정을 다시 검토중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에서 가족법에 대한 개정안을 발의하려고 추진중이며, 이러한 정부 부처나 국회의 움직임과는 별도로 부성 우선주의에 대한 [[https://news.v.daum.net/v/20210318102709966|위헌소송도 들어온 상황이다]]. 일각에선 이 역시 외조부의 성을 따른 것이란 비판이 있으며, 이러한 비판에 대해서 2020년 7월 4일에 서울대 법학 대학원 전문 교수인 양현아가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https://news.v.daum.net/v/20200704100604264|모계를 따를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이 외할아버지의 성을 물려주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반론하기도 했다.]] 부계의 성을 따르는 것이 원칙이 되고 모계의 성을 따르는 것은 예외적 케이스로 취급되는 것 자체가 아버지가 부재한 [[한부모 가정|편모 가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인정하지 않는 일종의 [[성차별]]이라 볼 수 있고, 모계의 성을 2대 이상에 걸쳐 따르는 경우도 생길 수 있을 정도로 여러 형태의 가정을 인정할 수 있게 되어야 [[성평등]]에 맞는 것이라는 논지. 따라서 모계의 성을 따르는 것이 곧 외조부의 성을 따르는 것이라는 비판도 부계의 성을 따르는 것이 무조건적인 원칙이어야 한다는 [[편견 및 고정관념]]에 따른 단편적인 관점일 뿐이라는 것이다. 즉 부성주의 원칙이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는 것인데, 정 그렇다면 오히려 모친의 성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여성 본인이 직접 창씨를 하는 편이 보다 [[페미니즘]]의 논리에 맞을 것이라는 반론 역시 제기된다(물론 민법상으로는 귀화인[* 미국 출신 변호사 겸 방송인인 [[하일(방송인)|하일]]이 영도 하씨를 창씨한 것이 대표적이다.]이 아닌 이상 창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계의 성을 2대 이상에 걸쳐 따르는 경우도 생길 수 있을 정도로 여러 형태의 가정을 인정해준다 해도 이 역시 근본적으로 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 성씨는 해당 가문 시조의 성일 뿐이지[* 귀화자 창성을 제외하고는 결국 시조는 전부 남자고, 아무리 몇 대가 내려가더라도 역사가 조금이라도 깊은 성씨는 부계 성씨로 내려온 기간이 더 길게 된다. 귀화자 창성도 사실 본래의 성은 부계로 내려받았을 것이기 때문에 별 차이 없다.] 결코 그 시조의 부인의 성은 아니라는 점에서 페미니즘에 부합되지 않는 [[자가당착]]에 불과할 뿐이라는 반론 역시 있다. 완전히 새로운 성으로 창성할 수 있는 정도의 개혁이 생기지 않는 이상 반드시 부딪힐 문제이다. 다만 이 반론에 따르면 여성은 자신이 창씨를 하지 않는 한 모계의 성을 따라도 '진정한 모계의 성씨'가 아니므로, 영원히 자식에게 엄마의 성을 물려줄 수 없다는 [[순환 논법]]에 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과거의 시조를 따지기 보다는 현재 상황에서 여성과 남성의 권리를 동등하게 인정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고려]] 전기에는 왕족 여성들이 어머니나 할머니의 성씨를 따랐다. 고려 왕실의 족내혼([[근친혼]]) 풍습을 대외적으로 은폐하기 위해서였다. 예외적으로, [[경순왕]]에게 시집간 [[낙랑공주(고려)|낙랑공주]]와 부인 왕씨 자매 등 족외혼을 한 경우는 부계의 왕씨 성을 따랐다. == 해당 인물 == === 실존 인물 === * [[대목왕후]]: 아버지 [[태조(고려)|태조]]의 왕씨 대신 어머니 [[신정왕후]]의 황보씨를 따랐다. * ~~[[문덕왕후]]: 할머니 [[신명순성왕태후]]의 유씨를 따랐다.~~ * [[위청]] : 원래 정씨(鄭氏)지만 누이 위자부가 [[한무제]]의 총애를 받자 여기에 빌붙기 위해 성을 갈았다. *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버지는 사메지마 준야, 어머니는 고이즈미 요시에. 준야는 요시에와 결혼하면서 '고이즈미'로 성씨를 바꾸었고, 준야와 요시에의 자녀들도 모두 '고이즈미' 성씨를 물려받았다.[* 일본에서는 사위가 장인의 양자가 되거나 생질이 외숙부의 양자가 되는 형식으로 이러는 일이 당연하게 여겨진다. 단 [[우지(성씨)|우지]]는 원칙상 금지다.] * [[기시 노부오]] : 외숙부 기시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면서 그렇게 되었다. * [[선의왕후]]: 아버지 [[태조(고려)|태조]]의 왕씨 대신 어머니 [[정덕왕후]]의 유씨를 따랐다. * [[세르히오 아궤로]] * --[[소 다케유키]]--: 본래는 외가의 성씨를 따라 '구로다 다케유키'라는 이름을 썼으나, 친가의 성씨인 '소'로 바꾸어 '소 다케유키'가 되었다. * [[엔조 페르난데스]] * [[오스마르 이바녜스]] * [[야니크 카라스코]]: 포르투갈계 아버지의 성씨 ‘Ferreira’가 이름에 있었으나, 아버지가 어릴 적 가족을 버리고 떠났기 때문에 아버지의 성씨를 지우고 어머니의 성씨인 ‘Carrasco’를 쓴다. * [[제이미 바디]] * ~~[[천추태후]], [[헌정왕후]] 자매: 할머니 [[신정왕후]]의 황보씨를 따랐다.~~ * [[파블로 피카소]] * [[펠릭스 유수포프]] : 외가의 양자가 되는 형식으로 이렇게 되었다. * [[라이언 긱스]] : 아비 윌슨의 간통에 절연의 의지로 그리 되었다. * [[안정환]] * [[전소미]] : 대체로 한국인 어머니를 둔 외국계 혼혈들은 한국 이름을 지을 때 어머니의 성씨를 따른다. * [[과로사(인터넷 방송인)|과로사]] : 애당초 아버지가 파키스탄 사람이라 한자문화권의 성씨가 없다보니 모계로 담양전씨가 되었다. * [[헌의왕후]]: 어머니 문혜왕후의 유씨를 따랐다. === 가상 인물 ===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히나타 나츠미]], [[히나타 후유키]], [[니시자와 모모카]] * [[강철의 연금술사]] - [[엘릭 형제]] * [[괴물 공작가의 계약 공녀]] - [[베스라온 라엔 셀바토르]], [[루엔티 아돌 셀바토르]] * [[공의 경계]] - [[료우기 마나]] * [[귀곡의 문]] - [[옥벼루]], [[송솔개]] * [[귀멸의 칼날]] - [[이구로 오바나이]]를 포함한 이구로 가문 구성원들 * [[나루토]] - [[우즈마키 나루토]] *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 - [[야마나카 이노진]]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지로 쿄카]] * [[내일(웹툰)]] - [[임륭구]] * [[너의 이름은]] - [[미야미즈 미츠하]], [[미야미즈 요츠하]] * [[니세코이]] - [[키리사키 치토게]], [[타치바나 마리카]]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 [[드로우(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드로우]][* 드로우, 즉 다크엘프는 기본적으로 어머니의 성을 따른 모계사회다.] * [[도쿄 구울]] - [[마도 아키라]] * [[디아블로 시리즈]] - [[데커드 케인]] * [[디지몬 시리즈]] *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 - [[리키(디지몬 시리즈)|타카이시 타케루]][* 더빙판은 불명. 아버지랑 사는 형 [[매튜(디지몬 시리즈)|이시다 야마토]]는 아버지우 성이다.] * [[디지몬 테이머즈]] - [[은세나|마키노 루키]][* 더빙판은 불명.] * [[디지몬 프론티어]] - [[선우윤|키무라 코우이치]][* 아버지랑 사는 동생 [[선우현|미나모토 코우지]]는 아버지의 성이다. 참고로 더빙판은 원판과 달리 형제의 성이 같다.] *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 - [[알프레도 링귀니]]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와스프(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호프 밴 다인]], [[스타로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피터 퀼]] * [[목소리의 형태]] - [[니시미야 쇼코]], [[니시미야 유즈루]], 이시다 마리아 * [[미라큘러스]] - [[필릭스 그레이엄 드 바닐리]], [[루카 쿠페]], [[쥘레카 쿠페]] * [[미해결사건부]] - 주가람[* 어린 시절 부모가 이혼을 하면서 어머니의 성을 따랐다고 직접 언급된다.] * [[멜로가 체질]] - 황인국 * [[블리치]] - [[쿠로사키 이치고]], [[쿠로사키 카린]], [[쿠로사키 유즈]], [[이세 나나오]] *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 - [[고우라 다이스케]], 시노카와 도비라코 * [[사립 저스티스 학원]] - [[이치몬지 바츠]]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 아케치 토우마, [[넨도 리키]] * [[식극의 소마]] - [[나키리 에리나]], [[유키히라 소마]], [[타쿠미 알디니]], [[이사미 알디니]] * [[신세기 에반게리온]] - [[이카리 신지]] * [[신의 탑]] - [[하 유리 자하드]], [[하진성]], [[유라시아 엔 자하드]], [[연 이화]] 등 [[위대한 가문]] 중 '하 가문'과 '유라시아 가문', '연 가문'의 자제들, [[쥬 비올레 그레이스]] * [[아도니스(소설)|아도니스]] - [[아르하드 로이긴]] * [[아메리카노 엑소더스]] - [[아메리카노 빈즈]], [[니나 디아즈]] 등 마법세계 인물들 다수 * [[암살교실]] - [[시오타 나기사]] * [[에이지 오브 원더스 3]] - 타니스 이니오치, 선드렌 이니오치 * [[엔칸토: 마법의 세계]] - 미라벨 마드리갈을 포함한 마드리갈 가문의 손자 세대 전원 * [[여주실격!]] - [[천리사]] *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 [[유키노시타 유키노]], [[유키노시타 하루노]]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아라토르 윈드러너]] * [[원피스(만화)|원피스]] - [[포트거스 D. 에이스]], '''[[샬롯 패밀리]] 중 링링의 자식들 전원''' * [[제빵왕 김탁구]] - [[김탁구]]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히가시카타 죠스케]] * [[철권 시리즈]] - [[카자마 진]] * [[최애의 아이]] - [[호시노 아쿠아마린]], [[호시노 루비]] * [[카타시붓]] - 류조지 아리사 * [[쿠베라(웹툰)|쿠베라]] - [[카사크 라조프]] * [[터미네이터 시리즈]] - [[존 코너]] * [[토라도라!]] - [[타카스 류지]] * [[토지(소설)|토지]] - 최환국, 최윤국[* 호적상으로는 아버지 성이지만 사실 부모가 결혼을 하면서 서로 호적을 바꾼 것이다. 즉, 실제로는 외가 쪽 성씨.]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 - [[루시 하트필리아]], [[카나 알베로나]] * [[피아노의 숲]] - [[이치노세 카이]] * [[하야테처럼!]] - [[산젠인 나기]] * [[하이큐!!]] - [[우시지마 와카토시]] * 황금 장미 - 로젤리타 해리지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 그웬톨린 팰컨 여제의 아들 모르반 팰컨, [[크랙 핵]](야샨 세계관)의 아들 존 모건 * [[Fate 시리즈]] -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 [[SKY 캐슬]] - [[김혜나]] * [[Yandere Simulator]] - [[아야노 아이시]][* 본작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서양식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에 일본식 이름은 아이시 아야노.] * [[과속스캔들]] - 황정남(황제인)[* 해당 이름은 라디오 방송에 사연을 보낼 때 쓴 이름이지 본명은 황제인 이다.], 황기동[* 미혼모 가정이라 어머니의 성을 따랐다. 후에 작중 주인공이자 아버지인 남현수의 성을 따라 남제인, 남기동으로 이름을 개명 하였으나 손자인 기동의 경우엔 성이 바꼈음에도 그대로 모계 성씨이다] * [[하늘의 유실물]] - [[사쿠라이 토모키]] * [[흑집사]] - [[빈센트 팬텀하이브]], [[프란시스 미드포드|프란시스 팬텀하이브(현 프란시스 미드포드)]][* 현재는 결혼으로 남편의 성을 따르고 있어서 그렇지 처녀적 성으로 따져보면 모계 성을 따른 건 맞다.] [[분류: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