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방 프로젝트/게임]][[분류:동방 프로젝트/공략]] [include(틀: 상위 문서, top1=동방빙의화 ~ Antinomy of Common Flowers./공략)] [include(틀: 관련 문서, top1=모노노베노 후토)] [include(틀:동방빙의화 ~ Antinomy of Common Flowers./공략/캐릭터 목록)] ||<-3><#003572> '''[[모노노베노 후토|{{{#White 모노노베노 후토}}}]]''' || ||<-3> [[파일:th145_futo.png|width=100%]] || || '''{{{#White 특이사항}}}''' |||| 접시 || || '''{{{#White 오컬트}}}''' |||| [[사라야시키|반쵸사라야시키]] || ||<|2> '''{{{#White 슬레이브 스펠}}}''' |||| 염부 [태을진화][br]炎符「太乙真火」 || |||| Cost:1200 || ||<-2> '''{{{#White 수식어}}}''' || '''{{{#White 인원}}}''' || || '''마스터''' || '''슬레이브''' ||<|2> 1명 || || 풍수로 || 그릇을 깨는 || ||<-2>
<#003572> '''{{{#White 시작 모션}}}''' || || [[파일:th155_futo_battleBeginA.gif|width=100%]] || [[파일:th155_futo_battleBeginB.gif|width=100%]] || ||<-2><#003572> '''{{{#White [[쿠모이 이치린&운잔(동방빙의화)|{{{#White 이치린}}}]]과 태그시 시작 모션}}}''' || ||<-2>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2>
<#003572> '''{{{#White 승리 모션}}}''' || || [[파일:th155_futo_winA.gif|width=100%]] || [[파일:th155_futo_winB.gif|width=100%]] || ||<-2>
<#003572> '''{{{#White 패배 모션}}}''' || || [[파일:th155_futo_lose.gif|width=50%]] || [clearfix] ||<-2>
<#003572> '''{{{#White 전용 맵}}}''' || ||<-2> '''[[몽전대사묘|{{{#White 몽전대사묘}}}]]''' || || [[파일:빙의화 몽전대사묘D.png|width=100%]] || [[파일:빙의화 몽전대사묘N.png|width=100%]] || ||<-2>
<#003572> '''{{{#White 테마 곡}}}''' || || '''오오미와 신화전[br]大神神話伝''' || '''항상불변의 참묘사[br]恒常不変の参廟祀''' || || '''Arranged by 鯛の小骨(Azure&Sands)''' || '''Composed by あきやまうに[br]Cello:荒井英理也''' || || [youtube(y3ss021dU3w,width=800,height=200)] || [youtube(mxnuZ1sP6Go,width=800,height=200)] || [목차] == 개요 == [[동방빙의화 ~ Antinomy of Common Flowers.|빙의화]]의 플레이어블캐릭터 [[모노노베노 후토]]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 특징 == 기본적으로 속도가 매우 빠르고 대미지가 약해서 모기처럼 몇대치고 도망다니는게 후토의 주 플레이이다. 콤보도 어려운 편에 속하고 대미지가 볼품없어서 운영으로 승부해야 되기때문에 사용자의 손을 엄청타는 캐릭터이다. 이 때문에 고수가 잡으면 적폐취급 받을정도로 만능캐릭터인데 뉴비가 잡으면 똥캐로 유명한 신묘마루와 같은 취급받아서 뉴비들에겐 비추천 캐릭터 중 하나이다. === 접시 === [[#B|b]][* 4타중 첫3타는 적중시 바로깨지면서 접시 카운트가 올라가고, 마지막 1타는 적중시 깨지지 않고 필드에 남는다. 이공격은 가드를 해도 적중한것으로 판정된다.]또는 [[#6B|6b]][* 사용시 적중 여부 관계없이 접시를 1개 깔아둔다.], [[#필살계열|필살계열 기술]][* 6C, j6C를 제외한 모든 필살기술은 접시와 상호작용하며 접시를 깨트릴 수 있다.]을 통해 필드에 접시를 깔아두거나 깨트릴수있다.[* 깔아둔 접시는 접시 안쪽에서 빛이난다. 아군의 것이면 파란빛, 적의 것이면 주황빛이 감돈다.] 깨트린 접시 수[* 언어 설정을 일본어로 하면 접시 카운트라고 표기된다. 그래서 접시 카운트라고 하기도 한다.]는 하단에 표시되며 총 10개까지 표시된다. 오컬트를 사용하면 깨트린 접시 수는 초기화된다. 깨트린 접시 수의 따라 오컬트 성능이 점차 강화되며 접시를 9개 깨트렸을때 최대성능이 나온다. 만약 10개를 채웠다면 오컬트 필살기 사용에 패널티가 붙는다. 접시를 9개까지 깨뜨린 후토의 오컬트는 무적발동기술이 되며 걸어가서 콤보를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오랫동안 상대가 기상이나 낙법을 취할 수 없다. 이처럼 강력한 기술을 선사하는 매커니즘이지만 후토의 난이도를 올리는 주법이기도 하다. 후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면 접시를 깨트리는 것까지 고려해야하기에 생각할게 많아진다. 각 스킬이 1회 사용 당 1개씩 접시를 깨트리는게 아니니 말이다. 만약 실수로 접시 카운트를 9개가 아닌 10개까지 채웠다면 눈물 머금고 오컬트를 써서 초기화한 다음 다시 카운트를 채워야한다. == 스킬 == === 타격계열 === [anchor(4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4a.gif|width=100%]] || ||<-8> A, 4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A(중앙에서 근접시), 4A(중앙) || 타격 || -- -- || -- -- || -- -- || -- -- || -- -- || 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F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fa.gif|width=100%]] || ||<-8> F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A(중앙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졌을때) || 타격 || -- -- || 없음 || -- -- || -- -- || -- -- || 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6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6a.gif|width=100%]] || ||<-8> 6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A(중앙, 공중) || 타격 || -- -- || -- -- || -- -- || -- -- || -- -- || +4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2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2a.gif|width=100%]] || ||<-8> 2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2A(중앙,공중) || 타격 || -- -- || -- -- || -- -- || -- -- || -- -- || +4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8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8a.gif|width=100%]] || ||<-8> 8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8A(중앙,공중) || 타격 || -- -- || -- -- || -- -- || -- -- || -- -- || +4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j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ja.gif|width=100%]] || ||<-8> j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A(공중) || 타격 || -- -- || -- -- || -- -- || -- -- || -- -- || 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j6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j6a.gif|width=100%]] || ||<-8> j6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A(공중) || 타격 || -- -- || -- -- || -- -- || -- -- || -- -- || 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j8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j8a.gif|width=100%]] || ||<-8> j8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8A(공중) || 타격 || -- -- || -- -- || -- -- || -- -- || -- -- || 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DA)]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da.gif|width=100%]] || ||<-8> D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A(중앙에서 대쉬중) || 타격 || -- -- || -- -- || -- -- || -- -- || -- -- || 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 사격계열 === [anchor(B)]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b.gif|width=100%]] || ||<-8> B, 8B, 5B, 2B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B || 사격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6B)]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6b.gif|width=100%]] || ||<-8> 6B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B || 사격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HB)]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hb.gif|width=100%]] || ||<-8> HB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HB || 사격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RB)]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RB.gif|width=100%]] || ||<-8> RB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RB || 사격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DB)]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db.gif|width=100%]] || ||<-8> DB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B(중앙에서 대쉬중) || 타격 || -- -- || -- -- || -- -- || -- -- || -- -- || +4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 필살계열 === [anchor(5C)]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5c.gif|width=100%]] || ||<-8> C, 5C[br]육임신화[br]六壬神火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C || -- --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4C)]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4c.gif|width=100%]] || ||<-8> 4C[br]포수명[br]抱水皿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4C || -- --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6C)]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6c.gif|width=100%]] || ||<-8> 6C[br]아마노 이와후네[br]天の磐舟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C || -- --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2C)]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2c.gif|width=100%]] || ||<-8> 2C[br]바람의 흉혈[br]風の凶穴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2C(중앙, 상단) || -- --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8C)]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8c.gif|width=100%]] || ||<-8> 8C[br]귀룡의 화살[br]貴竜の矢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8C || -- --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anchor(2jC)]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2c.gif|width=100%]] || ||<-8> 2jC[br]입향좌산[br]立向坐山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2C(하단) || -- --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 오컬트 필살기 ===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AB.gif|width=100%]] || ||<-8> AB[br]오키쿠 어퍼[br]お菊アッパー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AB || 타격 || -- -- || 없음 || -- -- || -- -- || -- -- || +40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대응되는 오컬트는 [[사라야시키|반쵸사라야시키]] 사용시 후토가 살짝 돌진하며 전방으로 큰 접시를 내미는데 이다음 모션과 성능이 깨트린 접시수에 따라 변한다. '''한개도 깨트리지 않았다면''' 후토가 내민 접시를 보고 고개를 갸우뚱거린다. 이때는 무적도 대미지도 없다. '''1개이상 4개미만이라면''' 접시에서 오키쿠(お菊)[* 후토가 사용하는 괴담에서 흔히 등장하는 여성 귀신의 이름]가 튀어나와 공격을 감행한다. 그외 특별한것은 없다. '''4개이상 9개미만이라면''' 오키쿠가 나오는것에 추가로 무적프레임이 부여된다. 이때부터 [[리버설]]같은 용도로 쓸 수 있게된다. '''9개라면''' 대미지, 무적에 더해 대미지 증가, 콤보 연계로 이을수 있는 시간 증가가 추가된다. 이때부터 콤보로 활용하면 무서운 성능을 낼 수 있게된다. '''10개라면''' 오키쿠가 나오기는 하나 대미지 감소, 무적 삭제, 콤보연계시간 감소등 패널티가 붙는다. 사용할때마다 접시 카운트를 초기화한다. 본래 괴담에선 오키쿠가 마지막 접시(10번째 접시)를 찾으며 소리를 내고 이 소리에 집안 사람들이 공포에 떨며(10개째 세는것을 들으면 죽는다고 한다.) 귀를 틀어막고 있었으나 오키쿠를 퇴치하기위해 부른 스님이 마지막 접시를 찾아 오키쿠가 성불하는 내용이다. 9개째까지는 사람들이 공포에 떨다가 10개째에 오키쿠가 성불하는 것을 반영한 듯 9개째까지는 성능이 강화되다가 10개째에는 패널티가 부여된다. === 잡기 === ||
<-8> [[파일:빙의화 후토 잡기.gif|width=100%]] || ||<-8> 6A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A(적과 서로 중앙, 근접거리) || 잡기 || -- -- || 없음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 공세빙의 ===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ea.gif|width=100%]]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E(태그캐릭터로 타격공격중) || 타격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jea.gif|width=100%]]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E(태그캐릭터로 공중에서 타격공격중) || 타격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eb.gif|width=100%]] || ||<|2> 입력 ||<|2> 판정 ||<|2> 대미지 ||<|2> 바운드 여부 |||| 레이트 ||<|2> 히트수 ||<|2> 스턴치 || || 첫타 || 후속타 || || 6E(태그캐릭터로 사격공격중) || 사격 || -- -- || -- -- || -- -- || -- -- || -- -- || -- -- || ||
<-3> {{{#White 소모 프레임}}} || ||선딜 프레임 ||공격 판정 프레임 || 후딜 프레임 || || -- -- || -- -- || -- -- || == 스펠카드 == === 풍부 [세바퀴 그릇폭풍] ===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SP1.gif|width=100%]] || ||<-7> 풍부 [세바퀴 그릇폭풍][br]風符 「三輪の皿嵐」 || || 판정 || 대미지 || 바운드 여부 || 레이트 || 최대 히트수 || 스턴치 || 코스트 || || 사격 || -- -- || (벽)있음 || -- -- || 10 || -- -- || 700 || 사용후 주위에 접시 5개를 설치한다. *콤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03572><-5> [[파일:빙의화 후토 콤보.gif|width=100%]] || ||<-5> -- -- || || 최대 대미지 || 가능 위치 || 선언 여부 || 바운드 여부 || 소모 영력 || || -- -- || -- -- || -- -- || -- -- || -- -- || }}} === *염부 [태을진화] ===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SP2.gif|width=100%]] || ||<-7> '''염부 [태을진화][br]炎符 「太乙真火」[br][*슬레이브스펠]''' || || 판정 || 대미지 || 바운드 여부 || 레이트 || 최대 히트수 || 스턴치 || 코스트 || || 사격 || -- -- || 없음 || -- -- || -- -- || -- -- || 1200 || *콤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03572><-5> [[파일:빙의화 후토 콤보.gif|width=100%]] || ||<-5> -- -- || || 최대 대미지 || 가능 위치 || 선언 여부 || 바운드 여부 || 소모 영력 || || -- -- || -- -- || -- -- || -- -- || -- -- || }}} === 운기 [파국의 개문] === ||
<#003572><-8> [[파일:빙의화 후토 SP3.gif|width=100%]] || ||<-7> 운기 [파국의 개문][br]運気「破局の開門」 || || 판정 || 대미지 || 바운드 여부 || 레이트 || 최대 히트수 || 스턴치 || 코스트 || || 사격 || -- -- || 없음 || -- -- || -- -- || -- -- || 500 || 빙의화의 최저가 스펠중 하나 사용시 넓은 범위를 원형으로 감싸는 보라색 공간을 만든다. 이 범위안에 접시가 있다면 해당 접시를 전부 깨트린다. 범위안에 상대가 있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머리위에서 물체가 떨어져 상대를 공격한다. 해당 스펠로 깨트린 접시 수에 따라 0~1개일때 흉(凶), 2~3개일때 대흉(大凶), 4개 이상일때 불멸(仏滅[* 仏滅日(=불멸일)’의 준말, 陰陽道에서 만사에 흉하다고 하는 날[[https://ja.dict.naver.com/#/entry/jako/7e87ef67fe5f48aab7640b275da05e32|출처]]])으로 나뉘며 더 많은 접시를 깨트렸을수록 더 강력한 물체가 떨어진다. 뭐가됐든 범위안에 가둬야 물체가 떨어지기에 구석에서 몰아둔다음 쓰는것을 추천한다. 사용후 어떻게든 가둬 못 나가게 압박해야 한다. *콤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03572><-5> [[파일:빙의화 후토 콤보.gif|width=100%]] || ||<-5> -- -- || || 최대 대미지 || 가능 위치 || 선언 여부 || 바운드 여부 || 소모 영력 || || -- -- || -- -- || -- -- || -- -- || -- -- || }}} == 라스트 워드 == ||
<-5> [[파일:빙의화 후토 LW.gif|width=100%]] || ||<-5> {{{#White 죽어도 한장 모자라[br]死んでも一枚足りない}}} || || 판정 || 대미지 || 레이트 || 바운드 여부 || 히트수 || || 타격 || -- -- || -- -- || 없음 || 2 || == 운영 == == 콤보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