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MysticalSand-DM2-JP-VG.png|width=100%]] || [[파일:MysticalSand-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 한글판 명칭 ||<-4>'''모래의 마녀'''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砂の魔女, ruby=サンド・ウィッチ)]'''|| || 영어판 명칭 ||<-4>'''Mystical Sand'''||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7.] || 흑마족 || 암석족 || 2100 || 1700 || ||<-5>어떤 것이든 석화시켜 모래로 만들어버리는 무서운 마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부터 등장. 여성형 몬스터와 암석족을 융합해서 꺼낼 수 있으며, [[엘프(유희왕)#댄싱 엘프|댄싱 엘프]] + [[태고의 항아리]]라는 최약 클래스 조합으로도 튀어나와 초반에 최고 클래스의 비장의 카드가 되어줄 수 있다. 또한 이 카드 이외에도 여성형 몬스터는 [[숲의 영혼왕|단풍의 여왕]], [[캣 레이디]], [[발키리(유희왕)|발키리]]의 소재가 되므로, 해당 게임 시리즈의 초반에서는 제법 유효한 카드였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여성형 몬스터에 레벨 4 이상(일부 제외)이라는 소재 제한이 설정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222002_1.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0840_1.jp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한글판명칭=모래의 마녀, 일어판명칭=砂の魔女(サンド・ウィッチ), 영어판명칭=Mystical Sand, 레벨=6,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100, 수비력=1700, 소재="암석 거인" + "고대 엘프")] 능력치는 초기 몬스터답게 영 좋지 못하다. 공격력이 2100이라서 초기카드 치고는 괜찮은 스텟일지는 몰라도 수비력은 오히려 암석 거인보다 떨어졌다. 같은 소재로 [[시조룡 와이암]]을 꺼낼 수 있어 일반적으로 [[융합 소환]]하는 것은 고려되지 않는다. 그래도 [[레토르트 퓨전]]으로 꺼낼 수 있는 유일한 암석족 몬스터라는 차별점이 있고, 엑스트라 덱에 준비해 두면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의 효과로 융합 소재를 묘지로 보낼 수 있으며, [[융합 준비]], [[융합 징병]]을 사용하면 융합 소재를 패에 넣을 수가 있다. [[고대 엘프]]를 묘지로 보내 [[침묵의 죽은자]] 등으로 소생시켜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빛 속성 소재로 삼거나, [[암석 거인]]을 [[다크 콜링]]을 통해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의 융합 소재로 삼는 것도 가능. [[일족의 결속]]을 채용한 암석족 덱에서는 [[암석 거인]]과 [[융합 주술봉인 생물-땅]]과 조합시켜 특수 소환할 수 있지만, 같은 소재로 [[고르고닉 가디언]]이나 [[소환수(유희왕)#소환수 메가라니카|소환수 메가라니카]] 등의 다른 선택지가 존재한다. 땅 속성 한정 관련 효과를 가진 [[블록 골렘]]을 같이 사용하여, [[융합 준비]]로 패 융합을 통해 꺼낼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하는 것이 좋다. 제일 큰 문제는 이 카드가 현재 절판 상태라 구하기 쉬운 편이 아니라는 것. 오래전에 절판되어버렸기에 일반적인 고 레어도 카드보다도 입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오랫동안 해외 미발매 카드였으나, 2012년에 'Astral Pack'을 통해 해외 TCG에서도 겨우 수록되었다. [[피스 골렘#멀티 피스 골렘|멀티 피스 골렘]]의 등장 전까지 오랫동안 유일한 암석족 융합 몬스터였으며, 특정 암석족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지정하는 유일한 융합 몬스터이기도 했기에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로 묘지를 채울 수 있는 요원으로서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덱의 융합 덱에 투입되던 시기도 있었다. 생긴 건 아무리 봐도 전형적인 마녀스러운 생김새라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에 가까워 보이지만, 실제 종족은 어째서인지 '''암석족'''이다. 따라서 마녀인데 [[종족 말살용 카드#마녀사냥|마녀사냥]]에 파괴되지 않는다. || [[파일:Mystical_Sand_-_Capsule_Monsters.png|width=100%]] || [[파일:tumblr_nk3vxsEGIh1u76hl0o1_640.jpg|width=100%]] || ||<-2> [[유희왕 캡슐몬스터즈]] || [[유희왕 캡슐몬스터즈]]에서는 5화에서 제 1의 시련으로서 [[무토우 유우기]] 일행의 앞을 가로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래 폭풍을 일으키고 [[메두사 웜]] 무리를 수하로 부리며 유우기 일행을 위협했지만, [[블랙 매지션]]과 합체한 유우기에 의해 격파당한다. 악의 축이라 그런지 눈과 입술이 시뻘겋게 바뀌는 등 전체적으로 악당스러운 인상이 되었다. 일어판 기준으로 카드명은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일본판에서는 '''모래의 마녀'''라 쓰고 '''샌드 위치'''라 읽는다.]] 대놓고 [[샌드위치]]를 노린 말장난. 하지만 영어로는 그냥 '신비한 모래'로 표기되었다. 활용도와는 별개로 일러스트는 미려한 편이라 팬아트는 생각보다 많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부스터(유희왕)|BOOSTER6]] || -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부스터(유희왕)|Booster R3]] || B3-33 || [[노멀]] || 일본 || 절판 || || Astral Pack One || AP01-EN019 || [[노멀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 GFP2-EN119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암석 거인]] ==== 융합체인 샌드 위치보다 더 수비력이 높은 몬스터. ==== [[고대 엘프]] ==== [[분류:유희왕/OCG/암석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