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매지컬 미라이)] ||<#fff,#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치 모래의 행성.jpg|width=100%]]}}}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ffffff, #ffffff, #39c5bb); border-bottom: 1px solid #ffffff; border-left: 1px solid #dddddd; border-radius: 10px; border-right: 1px solid #dddddd; border-top: 1px solid #dddddd;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매지컬 미라이#s-3.5|{{{#000000 '''매지컬 미라이 2017 테마곡'''}}}]] [[매지컬 미라이#s-3.5|[[파일:매지컬 미라이 2017 로고.jpg|align=center]]]] ||<-3>
{{{#ffffff '''{{{+2 砂の惑星}}}'''[br]DUNE[* [[사구(지리)|사구]]라는 뜻이다. 직역시 Sand Planet.] | 모래의 행성}}} || || '''가수''' ||<-2> [[하츠네 미쿠|{{{#000 하츠네 미쿠}}}]] || || '''작곡가''' ||<|3><-2> [[요네즈 켄시|{{{#000 하치}}}]] || || '''작사가''' || || '''조교자''' || || '''일러스트레이터''' ||<|2><-2> [[http://www.nicovideo.jp/mylist/13600309|{{{#000 남방 연구소}}}]] || || '''영상 제작''' || || '''페이지''' ||<-2> [[http://www.nicovideo.jp/watch/sm3160699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AS4q9yaWJk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9]]]] || || '''투고일''' ||<-2> {{{#000 2017년 7월 21일}}} || || '''달성 기록''' ||<-2>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br][[VOCALOID 신화입성]] || ||<|2> '''[[VOCALOID 오리지널 곡/노래방 수록 목록|{{{#373a3c,#000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 44181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 28736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안녕하세요, 하치입니다. >신곡 투고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모래의 행성은 [[요네즈 켄시|하치]]가 2017년 7월 21일에 투고한 [[하츠네 미쿠]]의 10주년 기념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2017년]] '''가장 논란과 화제가 되었던 [[VOCALOID 오리지널 곡]]''' 중 하나다. [[매지컬 미라이#s-3.5|매지컬 미라이 2017]]의 테마곡이며, 하치의 [[도넛 홀(VOCALOID 오리지널 곡)|도넛 홀]] 이후 4년만의 VOCALOID 투고작이기도 하다. == 상세 == === 곡을 둘러싼 논란 === 곡의 내용이 현재의 보컬로이드계를 예전의 보컬로이드계와는 다르게 황량해져가고 있는 사막으로 은유하고 있는 내용이고, 즉 이 곡은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대두된 [[VOCALOID/위기론|보컬로이드 위기론]]을 소재로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렇기에 논란의 여지가 큰 주제를 다뤄 실제로도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과 네티즌들 간의 많은 갑론을박이 오간 곡으로, 양측의 의견을 신중히 살핀 후 판단하도록 하자. ====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의 인터뷰 ==== 하치와 [[ryo]]가 '''"하치×ryo — 두 명의 눈에 비춰진 보컬로이드씬의 과거와 미래"'''라는 제목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https://natalie.mu/music/pp/hachi_ryo|원본]][[https://m.dcinside.com/board/vocaloid/82483|번역본]] 이 인터뷰는 하치가 모래의 행성을 제작한 의도, 보컬로이드에 대한 두 프로듀서의 의견 등이 담겨 있다. 이 인터뷰를 본 [[쿠라게P]]가 자신의 인터뷰에서 모래의 행성에 대해 발언했다.(원문 3페이지부터) [[http://natalie.mu/music/pp/wadatakeaki|원문]] [[http://blog.naver.com/cristalgard/221099941897|번역본]] 주된 내용은 아직도 꾸준히 보컬로이드 곡을 투고하는 사람들이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보컬로이드 판을 '모래의 행성'이라고 비유한 하치에 대한 비판이다. '''"최근 보컬로이드 작곡가로서 활동하지 않았던 하치가 다른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이 지탱해오던 현재의 보컬로이드 판에 대해 비판할 권리가 있는가?"'''라는 생각과 함께 현재 보컬로이드 씬이나 보카로p라는 용어에 대한 생각 등 꽤나 진지한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위 쿠라게P의 인터뷰에 대해 하치 본인이 트위터를 통해 대답했다. [[https://twitter.com/hachi_08/status/908690209528614912|원문 트윗 1]][[https://twitter.com/hachi_08/status/908692295389650945|2]][[https://twitter.com/hachi_08/status/908692496556756992|3]][[https://twitter.com/hachi_08/status/908692724450082816|4]][[https://twitter.com/hachi_08/status/908692879773655040|5]][[https://twitter.com/hachi_08/status/908693015891386369|6]][[https://twitter.com/hachi_08/status/908693106832269314|7]] 요약하자면 '''"유튜브라는 매력적인 다른 플랫폼이 있는 상황에서 니코니코동화와 보컬로이드는 상대적으로 침체 상태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지 않는가?"'''라는 말. 덧붙여 모래의 행성에 대한 반발도 '''''침체된 보컬로이드 판에 기대하고 있던 바'''''라고 밝혔다.[* 이 표현에 대해서도 비판하는 의견이 있다. 팬덤의 반발을 있는 대로 끌어내고 나서 '그 또한 나의 의도'라고 말하는 것은 하치 본인이 실제로 무엇을 기대했든 간에 팬들의 감정을 갖고 논 무례한 행위일 수밖에 없다는 것.] ==== 네티즌들의 의견 ====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쪽이 바로 모래의 행성의 제작 의도이다. 때문에 [[요네즈 켄시|하치]]가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에 대해 많은 이목이 집중되었다. 가사나 뮤비나 '모래의 행성'이 '침체된 보컬로이드 계'를 비유하고 있다는 점과 마지미라 테마곡으로는 정말로 안 어울린다는 의견이 있다.[* 모래의 행성을 가로질러가는 미쿠와 그 일행, 그리고 그에 대비되어, 혼자 눈 쌓인 고목 한그루 아래 위치한 원래 모습의 미쿠가 대비되어 나타난다.] 그래서 이 곡을 대하는 보컬로이드 팬들의 태도는 크게 두 방향으로 갈린다. 하나는 [[넌씨눈|하츠네 미쿠의 10주년과 매지컬 미라이 5주년이 겹친 축제의 장에서는 상황에 맞지 않는 곡이 아니었는가]]라는 부정적 의견이고, 다른 하나는 [[표현의 자유|어떤 곡을 쓰든 그것은 그 프로듀서의 자유고 존중해야한다]]는 지지의 의견이다. 축제의 장에 경고의 메시지를 남긴 예시로는 [[메멘토 모리]]도 있긴 하지만, 이 곡은 '[[자만]]하지 말라' 정도의 경고에 그쳤던 메멘토 모리와 달리 제작자가 메이저 데뷔 후 한동안 보컬로이드 활동의 공백기를 가졌던 하치이기에 더욱 화제가 되었다. 이렇듯 곡 자체에 대해 보컬로이드 팬덤의 관점이 서로 다르기에 이 곡에 대한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의 의견 개진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관점을 보이는데, 특히 상기된 쿠라게P의 인터뷰에 대해서 의견 차이를 보인다. 쿠라게P의 인터뷰에 동의하는 입장의 사람들은 하치가 스스로 더 큰 물로 나아가며 보컬로이드와 멀어진 것 자체는 결코 비판할 점이 아니지만, 그가 '침체기'라 말하는 시간 동안에도 보컬로이드계 내부에서는 다양한 프로듀서의 활동과 꾸준한 노력이 있었으며, 그런 보컬로이드 계를 '모래의 행성'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몹시 무례한 일이라고 지적한다. 위 인터뷰에서 쿠라게P가 "가사에 다양한 보카로 곡의 프레이즈를 인용하고 있지만, 그것도 2013년 정도까지의 곡들뿐이고 요즘 최근의 것은 하나도 없었죠."라고 언급했듯이 하치는 2014년~2017년의 보컬로이드계를 대놓고 "침체의 시기"라는 뉘앙스로 가사를 작사했고, 이것은 그가 아무리 보컬로이드 역사에 한 획을 그은 프로듀서라고 할지라도 쉽게 용납될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하치의 보컬로이드계 내외부적 포지션과는 관계없이 '''이 곡 자체가 그 동안 하치를 응원해온 팬들과 프로듀서들의 노력을 깎아내린다는 면'''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 그렇기에 하치가 침체기로 지목한 시기에도 보컬로이드를 소비했던 팬들에게는 이 곡이 무례하게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일부는 이 곡이 '보컬로이드판 내부 위기의식 고조와 자극제'로서의 역할을 해냈다고 평가하기도 하나, 비판하는 측에서는 그 또한 동의할 수 없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딱히 이 곡 이후로 보컬로이드판이 극적인 변화를 맞이한 것도 아니다. 하치 본인은 인터뷰에서 당시 보컬로이드가 아직도 니코동에 의존하다시피 하고 있는 것처럼 말했으나, 이미 이 곡이 나올 무렵에는 보컬로이드P들 스스로 니코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주요 투고처를 유튜브로 옮기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특히 해외 쪽 프로듀서들은 니코동의 접근성 문제도 있어 진작에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유튜브 중심으로 보컬로이드 팬덤이 옮겨간 일련의 움직임은 이 곡에서 촉발된 것이 아니며 더불어 2017년 이후의 보컬로이드가 미쿠 10주년과 틱톡 등 SNS으로 인한 해외 팬덤의 유입, 프로젝트 세카이 등으로 새로운 호황을 맞이한 것에 이 곡은 특별히 기여를 하지도 못했다고 주장한다. 반면, 모래의 행성의 메시지에 찬성하는 입장의 사람들은 하치가 메이저 데뷔를 했다 할지라도 보컬로이드 프로듀서 공식 은퇴하지 않았으며 외주곡으로 무엇을 쓰든 그의 '''창작의 자유'''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보컬로이드 밖에서 보컬로이드에 대해 무언가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라고 인터뷰에서 말하기도 했다. 하치는 [[마트료시카(VOCALOID 오리지널 곡)|마트료시카]] 같은 전설적인 곡과 밀리언 달성 곡들을 만들어 낸 보컬로이드 프로듀서였고 현재까지도 그가 달성한 기록은 무시할 수 없으며 진짜로 관심이 없었으면 이렇게 노래조차 만들지 않았을 거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 또한 보컬로이드판이 유튜브로 크게 옮겨지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이 곡이 아닐 수 있지만 업로드 이후 2개월이라는 매우 짧은 기간 안에 유튜브 조회수 1천만 회를 달성했기 때문에 이런 실적으로 보카로P들이 자극을 받았든, 아니면 유튜브에 보컬로이드 팬덤이 늘었든 간에 정해진 수순이라 해도 어느 정도 가속화 시켰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당시에는 쿠라게P와 하치의 대립 비스무리한 구도가 되었으나, [[블레스 유어 브레스]]로 쿠라게가 다른 논란에 휩싸이면서 쿠라게P에 대한 보컬로이드 팬덤의 여론도 미묘해졌다. 쿠라게P가 "최근 보컬로이드 작곡가로서 활동하지 않았던 하치가 다른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이 지탱해오던 현재의 보컬로이드 판에 대해 비판할 권리가 있는가?"라는 비판에 찬성하는 의견도 있는 반면 "하치처럼 오래 활동한 프로듀서는 가끔씩만 한두곡 투고하고 '''이제는 신인들을 위해서 비켜주는 것도 좋다.'''"라며 반대하는 의견도 있다. 물론 뮤지션들이 장기간 활동하면 안된다는 게 아니라, 실제로 보컬로이드 판은 세대교체가 심각하게 안된 사례로 꼽힌다. 모래의 행성이라는 곡이 네티즌과 팬덤 사이에서도 해석과 의견 차이와 너무 심해 갈등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결국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개개인의 몫이다. 의견 차이로 인해 자신의 주장만 옳다고 하면서 갈등만 만든다면 양쪽 다 이로울 것이 없다. === 곡 자체에 대한 해석 === 한편, 이 곡은 떡밥이 많은 곡이기도 한데, 주로 갈리는 해석은 [[하츠네 미쿠]]를 뒤따라 오는 뼈 가면을 쓴 무리에 대해서이다. 1. 뼈 가면을 쓴 무리는 [[프로듀서#s-8.2|VOCALOID 프로듀서]]이다. 요네즈 켄시의 이전 인터뷰를 참조하면 프로듀서들은 보컬로이드를 앞에 세우고 따라가는 사람들이라고 발언한 적이 있기도 하다. 이 해석을 따를 경우 이정표에서 헤어지는 두 명은 2015년 사망한 [[시이나 모타|포와포와P]]와 [[samfree]]라는 해석이 대부분이다.[* 약 4년 뒤, 영향력 있는 다른 [[wowaka|한 명]]이 사망함에 따라 3명이 되었다.] 꽃 가면을 쓴 인물은 한 번 보컬로이드계를 떠났다가 돌아온 [[DECO*27]],[* DECO*27의 *을 꽃으로 해석하여.] 혹은 모래 사막에 새로이 생명력을 불어넣는 신인 보컬로이드 P라는 해석도 있다. 2. 뼈 가면을 쓴 무리가 18명인 점에 주목해 이 무리를 요네즈 켄시가 하치 명의로 작곡한 곡 중 모래의 행성을 제외한 나머지 18곡[* [[도넛 홀(VOCALOID 오리지널 곡)|도넛 홀]], [[마트료시카]], 모래 위의 꿈을 먹는 소녀, 아가씨는 전자음으로 잠든다, 병동 305호(비 내리는 거리에서 풍선은 악마와 춤춘다), [[연극 테르프시코레]], [[연인의 란제]], [[원더랜드와 양의 노래]], [[윤회(VOCALOID 오리지널 곡)|윤회]], [[쥐었다가 펼쳐서 나찰과 송장]], [[판다 히어로]], Christmas Morgue, [[clock lock works]], [[Mrs.Pumpkin의 우스꽝스러운 꿈]], [[Persona Alice]], [[Qualia(VOCALOID 오리지널 곡)|Qualia]], [[WORLD'S END UMBRELLA]], 닐기리]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는 해석도 있다. 이 경우 헤어지는 두 명은 하치 명의로 작곡된 곡 중에서 비공개 처리된 작품[* 모래 위의 꿈을 먹는 소녀, 비 내리는 거리에서 풍선은 악마와 춤춘다. 다만 모래 위의 꿈을 먹는 소녀는 니코동에서는 내렸지만 하치의 유튜브 채널에는 공개되어 있다.]으로, 꽃 가면을 쓴 사람을 모래의 행성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MV 1분 59초의 미쿠와 무지개색 건반은 [[멜트(VOCALOID 오리지널 곡)|멜트]]의 일러스트에 대한 오마주이다. 또한 뮤직비디오와 가사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사과는 스피노자의 사과나무[* '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고 하더라도 나는 오늘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로, 앞으로의 보컬로이드를 이끌어나갈 P와 팬덤에 대한 희망과 기대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가사엔 과거 큰 인기를 끌었던 곡들을 암시하는 부분들이 있다. [[멜트(VOCALOID 오리지널 곡)|멜트 쇼크]], [[마트료시카(VOCALOID 오리지널 곡)|이봐 너랑 나랑 랑데부]], [[모자이크 롤|모자이크]], [[월즈 엔드 댄스홀|댄스홀]],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광선총]], [[칠드런 레코드|소년 소녀가 구가하는 희망론]] 등. 단 아래 가사에 달린 해석 중 직접적으로 오마주를 하지 않은 부분의 가사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은 부분이 많으니 주의. === 달성 기록 === [include(틀:VOCALOID 신화입성)] * 니코니코 동화 || * 2017년 7월 21일 22시 27분에 [[VOCALOID 전당입성]] * 2017년 7월 27일 22시 19분에 [[VOCALOID 전설입성]] * 2017년 8월 18일 01시 56분에 200만 재생 달성 * 2017년 10월 20일 00시 44분에 300만 재생 달성 * 2018년 2월 26일 19시 45분에 400만 재생 달성 * 2018년 8월 14일 17시 28분에 500만 재생 달성 * 2019년 3월 8일 10시 26분에 600만 재생 달성 * 2019년 11월 3일 18시 09분에 700만 재생 달성 * 2020년 4월 5일 07시 42분에 800만 재생 달성 * 2021년 4월 15일 19시 34분에 900만 재생 달성 * 2022년 7월 21일 22시 57분에 '''[[VOCALOID 신화입성]]'''|| * 유튜브 || * 2017년 9월 27일에 조회수 10,000,000회 달성 * 2018년 4월에 조회수 20,000,000회 달성 * 2019년 5월에 조회수 40,000,000회 달성 * 2020년 2월 8일에 조회수 50,000,000회 달성 * 2020년 11월 19일에 조회수 60,000,000회 달성 * 2021년 12월 19일에 조회수 70,000,000회 달성 * 2023년 10월 19일에 조회수 80,000,000회 달성|| ---- 투고 5시간 27분만에 전작인 도넛 홀의 기록을 뛰어넘은 속도로 [[VOCALOID 전당입성]]에 성공하였다. 투고 6일 5시간 19분 후인 2017년 7월 27일 22시 19분, '''최단기간으로 [[VOCALOID 전설입성]]에 성공하였다.'''[* 이전까지는 [[FREELY TOMORROW]]가 최단기록을 보유하고 있었고, 현재는 [[파멜라(VOCALOID 오리지널 곡)|파멜라]]가 2위 기록을 보유 중이다.] 그리고 2022년 7월 21일, 정확히 5년만에 '''[[VOCALOID 신화입성]]에 성공하였다.''' 이는 현재 신화입성곡 중 3번째로 빠른 속도이다. 9월 27일경 유튜브 재생수가 1000만을 달성했다! 이후 2018년 4월경 2000만을 돌파, 2020년 11월 기준 6000만 조회수를 돌파하여 유튜브에 업로드된 VOCALOID 오리지널 곡 중 1위를 기록하다가 2021년 8월 11일 15시 24분경 [[굿바이 선언]]에 추월당했다. 이후 [[ECHO]]가 2차창작 영상으로 인해 영미권 보컬로이드 팬들에게 재조명받으면서 폭발적인 조회수 상승세를 받아 모래의 행성을 추월, 여기에 [[사랑해줘 사랑해줘 사랑해줘]]가 굿바이 선언과 똑같이 [[TikTok]]의 영향으로 조회수가 상승하며 2023년 5월 15일 추월해 하츠네 미쿠 오리지널 곡 중 최다 조회수 타이틀도 빼앗기며 2023년 5월 기준으로 모래의 행성은 VOCALOID 오리지널 곡 조회수 4위를 기록중이다.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fff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nicovideo(sm31606995, width=640, height=360)]}}} || || 하치 MV 「모래의 행성 feat. 하츠네 미쿠」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S4q9yaWJkI, width=640, height=360)]}}} || || 하치 MV 「모래의 행성 feat. 하츠네 미쿠」 HACHI / DUNE ft.Miku Hatsune || || [[유튜브|[[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Music'''}}}]]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B2vrOXoYtI, width=640, height=360)]}}} || || 砂の惑星(+初音ミク)[* [[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s-3.3.4|BOOTLEG]] 수록 버전.] || == 미디어 믹스 == === 공연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7eNZs3AaA8, width=640, height=360)]}}} || || 하츠네 미쿠 매지컬 미라이 2017 : [[마쿠하리 멧세|마쿠하리 멧세]] | 모래의 행성 - 하치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V5uuZblhtw, width=640, height=360)]}}} || || 하츠네 미쿠 매지컬 미라이 2018 : [[마쿠하리 멧세|마쿠하리 멧세]] | 모래의 행성 - 하치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HbhANxS9Jo, width=640, height=360)]}}} || || 하츠네 미쿠 매지컬 미라이 2019 : [[마쿠하리 멧세|마쿠하리 멧세]] | 모래의 행성 - 하치 || === 앨범 수록 === * [[http://magicalmirai.com/2017/goods_cd.html|하츠네 미쿠「매지컬 미라이 2017」OFFICIAL ALBUM]]에 수록 * [[요네즈 켄시]] 명의의 정규 4집 《[[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 #s-3.3.4|BOOTLEG]]》에 셀프 커버 버전이 수록 === [[리듬 게임]] 수록 ===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 PV는 원본 영상을 그대로 사용한다.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Future Tone]] ||<-6> [[파일:Project DIVA Future Tone 로고.png|width=150]][br]'''난이도 체계''' || || '''{{{#fff,#222 난이도}}}''' || '''{{{#20697f EASY}}}''' || '''{{{#358300 NORMAL}}}''' || '''{{{#855f01 HARD}}}''' || '''{{{#820030 EXTREME}}}''' || '''{{{#6c0090 EXTRA[br]EXTREME}}}''' || || '''아케이드 모드''' || 3 || 5.5 || 7 || 9 || - || || '''특이사항''' ||<-5><(> - || [youtube(KNPFa9uzA0E)] DX에 수록.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Arcade Future Tone]] 2017년 12월 13일에 업데이트 되었다. *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디바 MEGA39's]]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MEGA39's+]] ==== [[maimai 시리즈]] ==== ||<-6> maimai 난이도 체계 || ||<|2> 난이도 || {{{#blue EASY}}} || {{{#green BASIC}}} || {{{#orange ADVANCED}}} || {{{#red EXPERT}}} || {{{#8324ff MASTER}}} || || {{{#blue 2}}} || {{{#green 4}}} || {{{#orange 6}}} || {{{#red 9}}} || {{{#8324ff 12}}} || || 노트 수[br](슬라이드 수) || {{{#blue 89(5)}}} || {{{#green 134(2)}}} || {{{#orange 220(20)}}} || {{{#red 481(36)}}} || {{{#8324ff 719(75)}}} || || 해외판 곡명 ||<-5> DUNE feat. Hatsune Miku || || 장르 ||<-5> niconico & 보컬로이드 || || BPM ||<-5> 95 || || REC ||<-5> O || * [[maimai 시리즈/수록곡|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maimai MiLK]]로 업데이트되며 추가되었다. [youtube(aOZWipBMWHI)] MASTER 난이도 AP 영상 BPM이 95로 굉장히 낮다. 때문에 슬라이드가 늦게 출발해서 시작 타이밍을 잡기가 어려운 편. 초견시에는 익숙치 않아서 스코어링이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반복패턴으로 인해 난이도가 확 내려가는 편이다. [[Our Wrenally]]나 [[Panopticon]]같은 타 저 BPM곡들에 비하면 그래도 매우 쉬운편. ==== [[유비트 시리즈]] ==== ||<-7> [[유비트 시리즈|jubeat]] 난이도 체계 || ||<|2> 레벨 || BASIC || ADVANCED || EXTREME || || 2 || 4 || 8 || || 노트수 || 76 || 171 || 475 || || BPM ||<-6> 95 || ||<-7> 아케이드 수록버전 및[br]jubeat plus 수록 pack || || 아케이드 수록 ||<-3> [[유비트 클랜|{{{#ec1d51 유비}}}{{{#5cc0c0 트}}} {{{#99ff66 클}}}{{{#9933ff 랜}}}]] {{{#ffffff ~}}} || || iOS ||<-7> 뮤직 팩 이름 || || Android ||<-7> 뮤직 팩 이름 ||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채보 상세 ===== [youtube(Q9JVPbj6FeI)] ADV 채보 영상 [youtube(vyUBzc6Dijk)] EXT 채보 EXC 영상 EXT는 중후반에 갑툭튀하는 상하배치만 주의하면 전체적으로 쉬운 편이다. ==== [[노스텔지어 시리즈]] ==== > 곡별 소개문 (없다면 생략 가능합니다.) |[[노스텔지어 시리즈|노스텔지어]] 난이도 체계| 난이도 || 레벨 || 노트 수 || || {{{#green Normal}}} || {{{#green 3}}} || {{{#green 224}}} || || {{{#orange Hard}}} || {{{#orange 7}}} || {{{#orange 531}}} || || {{{#red Expert}}} || {{{#red 9}}} || {{{#red 824}}} || || Real || ◇@r_l=1@ || @r_n=1046@ || || 버전 ||<-2> [[노스텔지어 FORTE|{{{#000000 노스텔지어}}} {{{#a9f5a9 포르테}}}]] || ## || BPM |||| 95 || ## BPM은 인게임에서 표기가 안되서 제외했습니다. BPM 표기가 추가되면, 익스퍼트 밑에 || BPM |||| 수치 || 를 넣어주세요. [youtube(x8mCLWQETfQ)] Real Pianist 사실상 메트로놈의 움직임때문에 BPM 190으로 취급된다. ==== [[WACCA]] ==== ||<-4> 砂の惑星 feat. 初音ミク || ||<-4>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uT_J_S00_030.png|width=100%]]}}} || || 아티스트 ||<-3> ハチ || || 장르 || 보컬로이드 || BPM || 95 || || 수록시기 || 초대작 ||<-2> JAEPO 2019 || ||<-4> 난이도 책정 || || 구분 || NORMAL || HARD || EXPERT || || 난이도[br](보면상수) || 3[br](2.0) || 8+[br](8.7) || 10[br](10.5) || || 노트 수 || 155 || 383 || 562 || || 노트 디자인 || さとう+炭火焼き推奨P ||<-2> 佐藤+炭火焼き推奨P || ||<-4> 해금 조건 || ||<-4> 통상 해금 || [youtube(ttf9LvpANMs)] EXPERT 난이도 ALL MARVELOUS 영상 ==== [[CHUNITHM]] ====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include(틀:VIRTUAL SINGER)] ||<-5>
'''[[VIRTUAL SINGER|{{{#ffffff VIRTUAL SINGER의 수록곡}}}]]''' || ||<-5> '''난이도[br](노트 수)''' || ||<#6d1> '''EASY''' ||<#33bbed> '''NORMAL''' ||<#ffaa01> '''HARD''' ||<#ee4566> '''EXPERT''' ||<#bb33ef> '''MASTER''' || || 5[BR](175) || 11[BR](314) || 16[BR](661) || 23[BR](873) || 27[BR](1062) || || '''해금 방법''' ||<-4> 음악 상점에서 구매 || ||<-2> '''어나더 보컬''' || 미지원 || '''MV''' || 원곡 || ||<|4> '''지원 보컬''' ||<-4> '''버추얼 싱어 ver.''' || ||<-4> [[하츠네 미쿠(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하츠네 미쿠]] || ||<-4> 어나더 보컬 ver. || ||<-4> - || [youtube(r7DN_V247NI)] * MASTER ALL PERFECT 영상 역대 [[매지컬 미라이]] 테마곡들이 전부 수록될 동안 유일하게 수록되지 않았고 두 번째 이벤트 악곡으로 추가된 [[잭팟 새드 걸]]의 가사[* 작곡/작사가인 syudou가 직접 모래의 행성에 대한 답가라고 공언했다. 가사 자체는 "여기가 정말로 황무지일지라도 상관 없다"라는 뉘앙스.]와 1주년 한정 미쿠카드의 일러스트 등[* 푸른 초원에 열매가 달린 커다란 나무가 그려져 있다.] 이 곡에 대해 부정적인 행보를 보였던지라 수록 발표 직후 의외라는 반응이 이어졌다. 일본 서버에서의 수록 일자가 2022년 [[만우절|4월 1일]]이었다는 점에서 이 곡의 메시지에 동의하지 않음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는 해석도 있다.[* 마침 이날 진행된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1차 만우절 이벤트|만우절 이벤트]]의 배경은 추정상 세카이가 열리지 않은(=주역들이 버추얼 싱어와 만나지 않은) 평행세계인데, 세카이별 미쿠의 만우절 대사는 이 평행세계의 주역들에게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이다.] 참고로 이후 한국 서버에서는 2023년 4월 2일에 추가한다는 기존 공지를 수정하면서까지 4월 1일에 수록됐으며, 글로벌 서버에서는 약간 일찍 같은 해 3월 25일에 수록되었다. 한국 서비스에서는 현재 영문 명칭인 "Dune"이 아닌 로마자로 음차한 "Suna No Wakusei"라는 곡명으로 수록되어 있다.[* 한글화 이전의 [[후회한다 쓰고 미래]], [[휴대연화]]도 저렇게 되어 있었다.] 추후 업데이트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 ==== [include(틀: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채보 ,곡명=砂の惑星 ,작곡= ,작곡표기=하치 ,작곡링크=요네즈 켄시 ,단일보컬= ,보컬표기=하츠네 미쿠 ,보컬링크=하츠네 미쿠 ,폴더명=VOCALOID™ ,BPM=95 ,EASY레벨=2 ,NORMAL레벨=5 ,HARD레벨=8 ,MASTER레벨=10 ,EASY노트수=114 ,NORMAL노트수=244 ,HARD노트수=460 ,MASTER노트수=534 ,EASY애드립=7 ,NORMAL애드립=7 ,HARD애드립=7 ,MASTER애드립=7 ,EASY체인=821 ,NORMAL체인=1\,229 ,HARD체인=1\,872 ,MASTER체인=2\,294 ,액티브EASY레벨=1 ,액티브NORMAL레벨=5 ,액티브HARD레벨=7 ,액티브EASY노트수=103 ,액티브NORMAL노트수=197 ,액티브HARD노트수=357 ,액티브EASY애드립=7 ,액티브NORMAL애드립=7 ,액티브HARD애드립=7 ,액티브EASY체인=727 ,액티브NORMAL체인=1\,020 ,액티브HARD체인=1\,472 ,주소=FxMpU3pPrAc ,EASY주소=DzvL-tJdOEw ,NORMAL주소=PnMgGJnayCQ ,HARD주소=_QFXxCHXyjA )] 중간에 역대 보컬로이드 음악에 사용된 연출들이 빠르게 지나가는 장면이 있다.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수록곡#VOCALOID™|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가사 == ||
{{{#ffffff Back to the history remember I was bor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9em" {{{#39c5bb '''X4'''}}}}}} [*참고 '하츠네 미쿠「매지컬 미라이 2017」OFFICIAL ALBUM'의 가사집에는 이 부분이 없다.] || || 과거로 돌아가 내가 태어났단 것을 기억하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5bb; font-size: .9em" {{{#ffffff '''X4'''}}}}}} || || || || {{{#ffffff 何もない砂場飛び交う雷鳴}}} || || 난모 나이 스나바 토비카우 라이메이 || || 아무것도 없는 모래밭에서 어지러이 울리는 천둥소리 || || {{{#ffffff しょうもない音で掠れた生命}}} || || 쇼-모 나이 오토데 카스레타 세이메이 || || 보잘것없는 소리로 흠집이 난 생명 || || {{{#ffffff 今後千年草も生えない 砂の惑星さ}}} || || 콘고 센넨 쿠사모 하에나이 스나노 와쿠세이사 || || 앞으로 천 년간은 풀조차 나지 않을 모래의 행성이야 || || {{{#ffffff こんな具合でまだ磨り減る運命}}} [*A 배경음으로 작게 'Back to the history remember I was born'을 반복한다.] || || 콘나 구아이데 마다 스리헤루 운메이 || || 이런 상태로 다시 조금씩 닳아가는 운명 || || {{{#ffffff どこへも行けなくて墜落衛星}}} [*A] || || 도코에모 이케나쿠테 츠이라쿠 에이세이 || || 어디에도 갈 수 없어서 추락하는 위성 || || {{{#ffffff 立ち入り禁止の札で満ちた [*A] 砂の惑星さ}}} [*A] || || 타치이리킨시노 후타데 미치타 스나노 와쿠세이사 || || [[윤회(하치)|출입금지 팻말]]로 가득 찬 모래의 행성이야 || || {{{#ffffff のらりくらり歩き回り たどり着いた祈り}}} || || 노라리 쿠라리 아루키 마와리 타도리츠이타 이노리 || || 빈둥대며 서성이다 겨우 다다른 기도 || || {{{#ffffff 君が今も生きてるなら 応えてくれ僕に}}} || || 키미가 이마모 이키테루나라 코타에테 쿠레 보쿠니 || || 네가 지금도 살아있다면 대답해줘, 내게 || || || || {{{#ffffff イェイ今日の日はサンゴーズダウン}}} || || 예이 쿄-노 히와 산 고-즈 다운 || || 예이 오늘은 Sun goes down || || {{{#ffffff つまり元どおりまでバイバイバイ}}} || || 츠마리 모토도-리마데 바이바이바이 || || 요컨대 원래대로 돌아갈 때까지 바이바이바이 || || {{{#ffffff 思いついたら歩いていけ}}} || || 오모이츠이타라 아루이테 이케 || || 문득 떠올랐다면 나아가 || || {{{#ffffff 心残り残さないように}}} || || 코코로노코리 노코사나이 요-니 || || 미련을 남기지 않도록 || || {{{#ffffff イェイ空を切るサンダーストーム}}} || || 예이 쿠-오 키루 산다-스토-무 || || 예이 하늘을 가르는 Thunderstorm || || {{{#ffffff 鳴動響かせてはバイバイバイ}}} || || 메이도- 히비카세테와 바이바이바이 || || 땅을 울리게 진동하고는 바이바이바이 || || {{{#ffffff もう少しだけ友達でいようぜ今回は}}} || || 모- 스코시다케 토모다치데 이요-제 콘카이와 || || 앞으로 조금만 더 친구로 지내자고, 이번에는 || || || || {{{#ffffff そういや今日は僕らのハッピーバースデイ}}} || || 소-이야 쿄-와 보쿠라노 핫피-바-스데이 || || 그러고보니 오늘은 [[http://www.nicovideo.jp/watch/sm22030002|우리들의 Happy Birthday]] || || {{{#ffffff 思い思いの飾り付けしようぜ}}} || || 오모이 오모이노 카자리 츠케시요-제 || || 제각각의 장식을 하자 || || {{{#ffffff 甘ったるいだけのケーキ囲んで}}} || || 아맛타루이다케노 케-키 카콘데 || || [[겁쟁이 몽블랑|달콤하기만 한 케이크를 둘러싸고]] || || {{{#ffffff 歌を歌おうぜ}}} || || 우타오 우타오-제 || || [[BadBye|노래를 부르자]] || || {{{#ffffff 有象無象の墓の前で敬礼}}} || || 우조- 무조-노 하카노 마에데 케이레이 || || [[시체의 춤|유상무상인 무덤 앞에서 경례]] || || {{{#ffffff そうメルトショックにて生まれた生命}}} || || 소- 메루토숏쿠니테 우마레타 세이메이 || || 그렇게 [[멜트(VOCALOID 오리지널 곡)|멜트 쇼크]][* [[ryo]]의 [[멜트(VOCALOID 오리지널 곡)|멜트]]라는 곡으로 인해 하츠네 미쿠가 유명해진 현상을 일컫는 말.]로 태어난 생명 || || {{{#ffffff この井戸が枯れる前に早く}}} || || 코노 이도가 카레루 마에니 하야쿠 || || 이 우물이 마르기 전에 어서 || || {{{#ffffff ここを出て行こうぜ}}} || || 코코오 데테 유코-제 || || 이곳을 나가자 || || {{{#ffffff ねえねえねえあなたと私でランデブー?}}} || || 네-네-네- 아나타토 와타시데 란데부- || || 있지 있지 있지, [[마트료시카(VOCALOID 오리지널 곡)|당신과 나 둘이서 랑데부?]] || || {{{#ffffff すでに廃れた砂漠で何思う}}} || || 스데니 스타레타 사바쿠데 나니 오모우 || || 이미 한물간 사막에서 뭘 생각해?[* 하치가 2010년 [[메구리네 루카]]로 조교한 곡 [[https://www.youtube.com/watch?v=mq3t6aCbb8o|모래 위의 꿈을 먹는 소녀]]. 현재 니코니코 동화의 원본 영상은 삭제되었지만 유튜브에 하치 본인이 다시 업로드했다.] || || {{{#ffffff 今だパッパパッと飛び出せマイヒーロー}}} || || 이마다 팟 파팟토 토비다세 마이 히-로- || || 지금이야 [[판다 히어로|팟파팟하고 뛰쳐나와라 마이 히어로]] || || {{{#ffffff どうか迷える我らを救いたまえ}}} || || 도-카 마요에루 와레라오 스쿠이타마에 || || 부디 [[별의 소녀와 환주낙토|헤매는 우리를 구해주소서]] || || {{{#ffffff ぶっ飛んで行こうぜもっと}}} || || 붓톤데 유코-제 못토 || || [[응? 아아, 그래.|날아가버리자 좀 더]] || || {{{#ffffff エイエイオーでよーいどんと}}} || || 에이에이오-데 요-이돈토 || || 아자 아자 파이팅하고는 [[방과후 스트라이드|준비, 땅]] || || {{{#ffffff あのダンスホール モザイクの奥}}} || || 아노 단스호-루 모자이쿠노 오쿠 || || 저 [[월즈 엔드 댄스홀|댄스홀]], [[모자이크 롤|모자이크]] 속에 || || {{{#ffffff 太古代のオーパーツ}}} || || 타이코다이노 오-파-츠 || || [[심박수♯0822|태곳적의 오파츠]] || || {{{#ffffff 光線銃でバンババンバン}}} || || 코-센쥬-데 반 바반 반 || ||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광선총으로 빵 빠방 빵]] || || {{{#ffffff 少年少女謳う希望論}}} || || 쇼-넨쇼-죠 우타우 키보-론 || || [[칠드런 레코드|소년소녀가 구가하는 희망론]] || || {{{#ffffff 驚天動地そんで古今未曾有の思い出は電子音}}} || || 쿄-텐도-치 손데 코콘 미조우노 오모이데와 덴시온 || || 경천동지[* [[라마즈P]]의 오리지널 곡 경천동지(驚天動地)로 추정된다. [[http://www.nicovideo.jp/watch/sm28691788]]], 그리고 예로부터 지금까지 전혀 없었던 추억은 [[해피 신디사이저|전자음]][* 하치의 곡 [[http://www.nicovideo.jp/watch/sm7095753|아가씨는 전자음으로 잠든다]]라는 해석도 있다.] || || || || {{{#ffffff 戸惑い憂い怒り狂い たどり着いた祈り}}} || || 토마도이 우레이 이카리 쿠루이 타도리츠이타 이노리 || || [[축복의 메시아와 슬픔의 탑|망설임, 근심, 분노, 미침 겨우 다다른 기도]] || || {{{#ffffff 君の心死なずいるなら 応答せよ早急に}}} || || 키미노 코코로 시나즈 이루나라 오-토-세요 소-큐-니 || || 네 마음이 죽지 않은 채 있다면 응답해줘, 빨리 || || || || {{{#ffffff イェイきっとまだボーイズドントクライ}}} || || 예이 킷토 마다 보-이즈 돈토 쿠라이 || || 예이 분명 아직 Boys don't cry[* 메구리네 루카의 오리지널 곡 Boys don't cry로 추정된다.] || || {{{#ffffff つまり仲直りまでバイバイバイ}}} || || 츠마리 나카나오리마데 바이바이바이 || || 요컨대 화해할 때까지 바이바이바이 || || {{{#ffffff 思い出したら教えてくれ}}} || || 오모이다시타라 오시에테 쿠레 || || 문득 떠올렸다면 가르쳐줘 || || {{{#ffffff あの混沌の夢みたいな歌}}} || || 아노 콘톤노 유메미타이나 우타 || || 그 혼돈의 꿈과 같은 노래를 || || {{{#ffffff イェイ宙を舞うレイザービーム}}} || || 예이 츄-오 마우 레이자-비-무 || || 예이 공중에서 흩날리는 레이저 빔 || || {{{#ffffff 遠方指し示せばバイバイバイ}}} || || 엔포- 사시시메세바 바이바이바이 || || 먼 곳을 가리키면 바이바이바이 || || {{{#ffffff 天空の城まで僕らを導いてくれ}}} || || 텐쿠-노 시로마데 보쿠라오 미치비이테 쿠레 || || [[생명의 유스티티아|천공의 성]]까지 우리들을 이끌어 줘 || || || || {{{#ffffff 歌って踊ろうハッピーバースデイ}}} || || 우탓테 오도로- 핫피-바-스-데이 || || 노래하고 춤추자 Happy Birthday || || {{{#ffffff 砂漠に林檎の木を植えよう}}} || || 사바쿠니 링고노 키오 우에요- || || [[사과팔이 물거품 소녀|사막에 사과나무를 심자]] || || {{{#ffffff でんぐり返りそんじゃバイバイ}}} || || 덴구리가에리 손쟈 바이바이 || || [[롤링 걸|공중제비를 돌고 그럼 바이바이]] || || {{{#ffffff あとは誰かが勝手にどうぞ}}} || || 아토와 다레카가 캇테니 도-조 || || 이 뒤는 누군가 마음대로 하시길 || || {{{#ffffff 歌って踊ろうハッピーバースデイ}}} || || 우탓테 오도로- 핫피-바-스-데이 || || 노래하고 춤추자 Happy Birthday || || {{{#ffffff 砂漠に林檎の木を植えよう}}} || || 사바쿠니 링고노 키오 우에요- || || 사막에 사과나무를 심자 || || {{{#ffffff でんぐり返りそんじゃバイバイ}}} || || 덴구리가에리 손쟈 바이바이 || || [[롤링 걸|공중제비를 돌고 그럼 바이바이]] || || {{{#ffffff あとは誰かが勝手にどうぞ}}} || || 아토와 다레카가 캇테니 도-조 || || 이 뒤는 누군가 마음대로 하시길 || || {{{#ffffff Back to the history remember when I was bor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9em" {{{#39c5bb '''X8'''}}}}}}}}} [*참고] || || 과거로 돌아가 내가 태어났던 때를 기억하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5bb; font-size: .9em" {{{#ffffff '''X8'''}}}}}} || || || || {{{#ffffff イェイ今日の日はサンゴーズダウン}}} || || 예이 쿄-노 히와 산 고-즈 다운 || || 예이 오늘은 Sun goes down || || {{{#ffffff つまり元どおりまでバイバイバイ}}} || || 츠마리 모토도-리마데 바이바이바이 || || 요컨대 원래대로 돌아갈 때까지 바이바이바이 || || {{{#ffffff 思いついたら歩いていけ}}} || || 오모이츠이타라 아루이테 이케 || || 문득 떠올랐다면 나아가 || || {{{#ffffff 心残り残さないように}}} || || 코코로노코리 노코사나이 요-니 || || 미련을 남기지 않도록 || || {{{#ffffff イェイ空を切るサンダーストーム}}} || || 예이 쿠-오 키루 산다-스토-무 || || 예이 하늘을 가르는 Thunderstorm || || {{{#ffffff 鳴動響かせてはバイバイバイ}}} || || 메이도- 히비카세테와 바이바이바이 || || 땅이 울리게 진동하고는 바이바이바이 || || {{{#ffffff もう少しだけ友達でいようぜ今回は}}} || || 모- 스코시다케 토모다치데 이요-제 콘카이와 || || 앞으로 조금만 더 친구로 지내자고, 이번에는 || || {{{#ffffff 風が吹き曝しなお進む砂の惑星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9em" {{{#39c5bb '''X2'''}}}}}} [*A] || || 카제가 후키 사라시 나오 스스무 스나노 와쿠세이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5bb; font-size: .9em" {{{#ffffff '''X2'''}}}}}} || || 바람이 불어 바래면서도 한층 더 나아가는 모래의 행성이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5bb; font-size: .9em" {{{#ffffff '''X2'''}}}}}} || [[http://twinkle-candle.tistory.com/130|번역 출처]] == 여담 == 유일하게 한국 노래방에 수록된 매지컬 미라이 테마곡이다.[* 금영, Tj 둘다 수록되어 있다.]--미쿠 노래가 아니라 요네즈 켄시 신곡이라고 수록했다는게 학계의 정설-- 요네즈 켄시 셀프 커버 버전에서는 요네즈 켄시의 보컬만 들어간 것이 아닌 하츠네 미쿠의 목소리도 원래 음정에서 2도 낮추어 희미하게 들어가 있다. 전체적으로 들어가 있지만 하이라이트 부분과 '노래하며 춤추자 happy birthday~'에서 명확히 들린다. 멜론에선 요네즈 켄시 셀프 커버 버전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스포티파이에선 미쿠 버전도 들을 수 있다. 한편 유튜브 등지에서는 2022년 공개된 [[요네즈 켄시]]의 신곡 [[KICK BACK]]과 코드 진행이 비슷해서 매쉬업되고 있다. --모래의 행성에서 킥백-- 모래의 행성 발표 이후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들은 답가를 내며 요네즈 켄시와 이 노래를 비판하며 반박하거나 혹은 받아들이고는 새로운 이야기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syudou]]의 [[잭팟 새드 걸]]. 2023년 매지컬 미라이 메인 테마곡인 [[Ayase]]의 [[HERO(Ayase)|HERO]]의 가사에도 모래의 행성을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 한편 현재는 양쪽 모두 J-POP계의 거물급 가수가 되었다. 양쪽 모두 보컬로이드 판에 있었던 반면 하치는 떠났고 아야세는 [[YOASOBI]] 활동을 하면서 아직도 종종 곡을 투고하는 점이 대조된다.] 2023년 미쿠 16주년 기념곡인 [[DECO*27]]의 [[블루 플래닛]]도 모래의 행성을 암시하는 가사가 있다. 모래의 행성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반발하는 곡이 많았지만, 시간이 흐른 뒤에는 반발하는 곡보단 모래의 행성에서 새롭게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느낌의 곡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그만큼 이 노래가 보컬로이드판에 끼친 영향은 무척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관련 문서 == * [[하츠네 미쿠]] * [[요네즈 켄시]] * [[매지컬 미라이]] [include(틀:요네즈 켄시)]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7년]][[분류:VOCALOID 신화입성]][[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수록곡]][[분류: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수록곡]][[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분류:요네즈 켄시/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