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모리타니)] ||<-7>
[[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20]]''' {{{#000 모리타니 외교 관련 틀}}}''' [[파일:모리타니 국장.svg|width=20]]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서아프리카의 외교)] [Include(틀:모리타니의 대외관계)] [Include(틀:모리타니 관련 문서)] }}} || [목차] == 개요 == [[모리타니]]의 외교에 관한 문서. 모리타니는 종교적으로 [[이슬람]]문화권, [[아랍]]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 [[이슬람 협력기구]], [[아랍 연맹]]에 가입되어 있지만, 동시에 [[아프리카 연합]]에도 가입되어 있다. 하지만 주변국과는 갈등이 존재한다. 특히, 모로코와 세네갈과는 영토분쟁이 일어난 적도 있었고 모로코와는 서사하라를 두고 갈등이 있었다. 모리타니도 예전에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의 회원국이었지만, 탈퇴했다. == [[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모리타니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출력=, 크기=40)] [[북한]]과의 관계 === [[북한]]과는 1964년에 수교하였는데 [[북한]]이 '[[서사하라|폴리사리오]] 지원' 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단교하였다가 1980년에 재수교하였다. 북한의 정부 수립 70주년 행사에 '''아지즈 대통령이 직접 방북하여''' 국가원수인 대통령을 보낸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모리타니 관계)] [[중국]]과는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그리고 중국과는 [[냉전]]시절에 수교했다. 다른 아프리카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중국-아프리카 관계|중국과의 관계]]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교류, 협력이 매우 활발한 편이다. === [[서아시아]]국가들과의 관계 === 서아시아의 [[아랍]]국가들과는 언어, 종교, 문화에서 공통점이 존재하며 이슬람문화권, 아랍문화권에 속해있다. 모리타니는 아랍어가 공용어이고 [[이슬람 협력기구]], [[아랍 연맹]]에 가입되어 있다. 다만, 모리타니는 아랍어가 공용어라고 해도 [[아랍어 방언]]이 널리 쓰이고 있어서 차이점도 있는 편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출력=, 크기=40)]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우디아라비아-모리타니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크기=40)] [[이스라엘]]과의 관계 ==== 모리타니와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과 관련된 문제로 갈등이 존재한다. 1999년에서 2009년까지는 외교관계가 존재했지만,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습으로 관계가 단절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482612?sid=104|#]] 1999년에 양국은 외교관계를 맺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558578?sid=104|#]] 2005년 10월 9일에 이스라엘 외무부가 주최한 라마단 행사에 이집트, 모리타니, 요르단 대사관의 직원들과 대사가 참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119158?sid=104|#]] 2008년에 주 모리타니 이스라엘 대사관이 총격을 받아 3명이 부상당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947780?sid=104|#]] 2009년에 카타르와 모리타니는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습에 대한 항의로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단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484682?sid=104|#]] 모리타니는 주 이스라엘 대사를 귀국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464203?sid=104|#]] 2010년 6월 2일에 요르단과 모리타니, 쿠웨이트, 시리아 등 124명의 아랍권 국가 출신 인권운동가들이 요르단과 이스라엘의 합의로 석방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269591?sid=104|#]] 2021년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인도네시아, 모리타니의 관계 정상화를 중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304382?sid=104|#]] == [[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크기=40)] [[프랑스]]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랑스-모리타니 관계)] 19세기에 모리타니는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모리타니는 [[프랑스어]]가 주요 외국어이고 [[프랑코포니]]에도 가입되어 있다. 하지만 프랑스와는 종교, 정치적인 면에서 갈등이 존재한다.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크기=40)] [[러시아]]와의 관계 === [[러시아]]와는 [[친러|매우 우호적인 편]]이다. 모리타니가 독립한 이후에 소련과 외교관계를 맺었고 소련 해체 이후에도 모리타니는 러시아와 협력하고 있다. == [[아프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모로코, 출력=, 크기=40)] [[모로코]]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로코-모리타니 관계)] [[모로코]]와는 [[서사하라]]문제로 영토갈등이 존재한다. === [include(틀:국기, 국명=세네갈, 출력=, 크기=40)] [[세네갈]]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네갈-모리타니 관계)] [[세네갈]]과는 사이가 좋지 못한 편이다. 양국간에 [[https://en.wikipedia.org/wiki/Mauritania%E2%80%93Senegal_Border_War|국경분쟁]]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그럼에도 양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무역 파트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말리, 출력=, 크기=40)] [[말리]]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리타니-말리 관계)] [[말리]]와는 종교, 문화, 언어에서 가까운 편이다. 말리와 모리타니는 19세기에 프랑스의 지배를 받다가 20세기에 독립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알제리, 출력=, 크기=40)] [[알제리]]와의 관계 === 알제리와는 정치적으로 갈등이 있는 편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모리타니는 알제리와 함께 아랍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include(틀:국기, 국명=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출력=, 크기=40)]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리타니-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관계)] 모리타니는 서사하라를 국가로 승인한 41개국 중 한 나라이다. == [[아메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과의 관계 === 모리타니가 [[중국]], [[러시아]]와 매우 가깝게 친하다보니 [[미국]]과는 사이가 좋지 못한 편이다. 미국측은 모리타니를 제재하기도 한다. == 지역별 관계 == * [[한국-모리타니 관계]] * [[중국-모리타니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모리타니 관계]] * [[프랑스-모리타니 관계]] * [[모로코-모리타니 관계]] * [[모리타니-말리 관계]] * [[세네갈-모리타니 관계]] * [[모리타니-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관계]] == 관련 문서 == * [[아프리카 연합]] * [[아랍 연맹]] * [[프랑코포니]] * [[이슬람 협력기구]] * [[아랍 마그레브 연합]]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서아프리카 국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모리타니, version=328, paragraph=9)] [[분류:모리타니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