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스라엘 국방장관)] [include(틀:역대 이스라엘군 총참모장)] ||<-2> {{{#fff '''이스라엘 제4대 국방부장관'''}}}[br]{{{#fff {{{+2 '''모셰 다얀''' }}} }}}[br]{{{#fff '''משה דיין | Moshe Dayan'''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n dayan.jpg |width=100%]]}}} || ||<|2> '''출생''' ||[[1915년]] [[5월 20일]] || ||[[오스만 제국]] 데가냐[* 현 이스라엘 데가냐알레프.] || ||<|2> '''사망''' ||[[1981년]] [[10월 16일]] (66세) || ||[[이스라엘]] [[텔아비브]] || ||<|8> '''임기''' ||[[이스라엘군]] 제4대 총참모장 || ||[[1953년]] [[12월 6일]] ~ [[1958년]] [[1월 29일]] || ||[[이스라엘]] 제7대 농업부장관 || ||[[1959년]] [[12월 17일]] ~ [[1964년]] [[11월 17일]] || ||[[이스라엘]] 제4대 국방부장관 || ||[[1967년]] [[6월 5일]] ~ [[1974년]] [[7월 3일]] || ||[[이스라엘]] 제5대 외무부장관 || ||[[1977년]] [[6월 20일]] ~ [[1979년]] [[10월 2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시무엘 다얀, 어머니 데보라 다얀 || || '''소속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f1a22; font-size: .9em" [[이스라엘 노동당|{{{#fff '''이스라엘 노동당'''}}}]]}}} || || '''종교''' ||[[무종교]]([[무신론]]) || || '''최종 계급''' ||'''[[원수(계급)|원수]]''' || || '''참전''' ||1936년 팔레스타인 봉기[br][[제2차 세계대전]][br][[제1차 중동전쟁]][br][[제2차 중동전쟁]][br][[제3차 중동전쟁]][br][[제4차 중동전쟁]] || || '''복무''' ||[[하가나]] ,,(1929 - 1948),,[br][[영국군]] ,,(1939 - 1945),,[br][[이스라엘군]] ,,(1948 - 1959),,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스라엘]]의 군인, 정치가. 건국 초기 이스라엘의 여러 군사적 승리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던 주인공. 특히 전격적인 기습, 기동으로 유명했다. 이외에 [[안대]]를 한 [[애꾸눈]]의 [[폭풍간지]] [[명장]]이란 점도 유명한 이유. == 생애 == [[파일:external/templeofreason.org/moshe-dayan-noter-ghaffir-sm.jpg]] [[팔레스타인]] [[갈릴리]] 근방의 ‘데가냐’ 키부츠[* 매우 초기에 설립된 키부츠로서 유대인 정착촌 역사에서 의미가 깊으며 근처에 움주니(أم جوني, Umm Junieh)라는 무슬림 마을이 있어서 키부츠 유대인들과의 불화가 있었다고 한다.]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러시아 제국]] 자시코프[* 현 [[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 우만군 자시키우.] 출신의 유대인 이민자였다. 1929년 농민 자위대에 들어가 반영 운동에 참가하고, 1939년 지하 활동 중에 체포되어 약 2년간 옥살이를 하였다. 1941년에 석방되어 [[비시 프랑스]] 정부 때 [[시리아]] 진공 작전에 참가하였으나, 이때 한쪽 눈을 잃었다. 그가 [[쌍안경]]으로 적장을 살피고 있을 때 총탄이 날아와 쌍안경을 치면서 깨진 유리조각과 철제 파편이 왼쪽 눈 속을 뚫고 들어가 의안을 넣을 뼈대조차 없는 중상을 입혔던 것이다. 이후 왼쪽 눈을 감싼 검은 안대는 모셰 다얀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 1948년 5월 마침내 영국군이 철수하고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했을 때, 모셰 다얀은 [[소령]]으로 진급했다. 그는 요르단 계곡을 방어하는 임무를 받아 수적으로 우세한 [[시리아]] 군을 물리치고 자신의 고향 데가냐를 사수했다. 석 달 뒤 [[중령]]으로 진급한 그는 [[휴전협정]] 조인을 위한 협상에 참여해 군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정치가로서의 자질도 발휘한다. [[제1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이스라엘]]이었지만 국가의 기틀, 특히 저마다 출신 배경이 각양각색인 [[이스라엘군]]을 재정비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이었다. 그는 1953년 이스라엘군 총참모장직에 올랐다. 오를 당시 38세로 이스라엘 역사상 최연소 총참모장이 된 그는 대대적인 군 개혁을 단행했다. 특히 젊고 공격적인 장교들을 파격적으로 고위 지휘관에 임명하였다. 또한 기갑부대와 공수부대 등 실제 전투를 치루는 공세적 성격의 부대들을 강화해 나가는 반면, 행정과 지원부대 등의 군살은 빼나간다. [[파일:external/farm9.staticflickr.com/8137847088_b7eaffa3bd_b.jpg]] 생애 최고의 순간. 1967년 [[6일 전쟁]]의 전격적인 승리로 점령한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다얀. 오른쪽은 당시 이스라엘군 총참모장이었던 [[이츠하크 라빈]]. [[https://www.flickr.com/photos/idfonline/8137847088|출처]] 그리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는 바로 나타나는데, 1967년 6월 5일 [[6일 전쟁]] 당시 [[이스라엘]]의 승리로 입증이 되었다. 전쟁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다얀은 총참모장 [[이츠하크 라빈]] 등과 함께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등의 압도적인 병력 포위를 공군력과 기갑 전력을 동원한 선제 기습으로 분쇄했고, [[시나이 반도]]와 [[골란고원]], 요르단강 [[서안]] 등을 점령하여 기존 영토에 대한 [[완충지대]]를 확보했다. 1969년 레비 에슈콜 [[총리]]가 급사하자 유력한 총리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이스라엘 노동당]]의 반대를 받았고 [[부총리]] 겸 이민장관 이갈 아론과의 갈등으로 인해 [[골다 메이어]]에게 총리 자리를 넘겨줘야 했다. 허나 [[국방장관]]으로 누구보다도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골다 메이어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음에도 국방장관에 유임되었다. 그러나 6일 전쟁의 최고 영웅은 엄밀히 말해서 [[이츠하크 라빈]]이었고 국방장관에 임명된 지 4일밖에 되지 않았던 다얀은 솔직히 말해서 숟가락 얹은 면이 강했다. 그리고 다얀은 자신의 군사적 업적과 [[모사드|이스라엘 정보기구]]의 능력에 도취되어 아랍 국가들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군 일선의 모든 경고를 무시했다. 그 결과, 1973년 [[제4차 중동전쟁]](10월 전쟁/욤 키푸르 전쟁)에서는 이집트, 시리아의 침공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지만, 적 기습에 대한 초기 대처의 실패와 전세 회복 지연의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1977년엔 [[메나헴 베긴]] 내각의 외무부 장관이 되었는데, 이때 [[이집트]]와의 평화 협상 작업에 착수,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의 이스라엘 방문과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 그 뒤 1980년에 수상 베긴과 심하게 대립하다가 [[대장암]]에 걸려 건강이 악화되어 사임하였고, 1981년 66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 가족 == 가족으로는 첫째 부인 루트 다얀에게서 낳은 2남 1녀와[* 아씨, 야엘, 에후드로 모두 이스라엘의 유명한 영화 감독, 정치인, 조각가다.] 두 번째 부인 라헬 다얀이 있다. 모셰 다얀은 여성을 좋아하여 여성 편력이 심했다. 그래서 첫째 부인 루스 다얀과 이것 때문에 불화가 커져서 이혼까지 했고 두 번째 부인과 결혼해서도 바람피우곤 했다. 자식들과의 사이도 좋지 못했다. 특히 라헬과의 결혼식은 자식들이 매우 싫어하여 참석하지 않았고 막내인 에후드는 아버지의 좋지못한 사생활을 폭로하고 비난하는 책을 쓸 정도로 아버지와 관계가 나빴다. 그의 사후 재산분배 때문에 전처와 전처의 자식들 후처 라헬 간의 소송문제가 터졌다. [각주] [[분류:이스라엘의 군인]][[분류:이스라엘의 정치인]][[분류:1915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북부 관구(이스라엘) 출신 인물]][[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분류:이스라엘의 무종교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우크라이나계 유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