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설정 변경 이후의 모터헤드, rd1=고딕메이드(파이브 스타 스토리))] [[파일:FEMC.jpg|width=800]] モーターヘッド. Mortar Headd > '''"모터헤드란건 [[살육]]과 [[파괴]]! 단지 그것만을 위해 태어난 살육병기다. 이 [[조커 성단|조커]]가 낳은 완벽하기 그지없는 궁극의 [[생명체]]다!" - 검성 [[더글라스 카이엔]]''' [목차] == 개요 == [[파이브 스타 스토리]]에 등장하는 [[휴머노이드|인간형]] 거대 전투병기(탑승형 [[거대로봇]]). 약칭 MH. '모터헤드(モーターヘッド. Mortar Headd)'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모터헤드의 [[머리]] 모양이 절구(mortar, 막자사발) 모양이라서 저런 이름이 되었다는 설과, [[나가노 마모루]]가 [[영어]] 스펠링을 착각해서 저렇게 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1권 뒤의 설정집에 보면 'Motor Head가 아니다!'라고 쓰여있다. 저명한 [[음악]] 매니아로서 [[록 음악|락]]과 [[헤비메탈]]의 팬으로도 유명한 작가의 취향을 보면 동명의 [[밴드]] '[[모터헤드]]'에서 따왔을 가능성도 있다. [[파이브 스타 스토리|FSS]]가 [[중전기 엘가임]]의 후속작이 원래 목적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중전기(重戦機) [[헤비메탈(중전기 엘가임)|헤비메탈]]의 약자 HM을 뒤집은 MH에 이것저것 갖다붙인 이름일 가능성도 높다. == 해설 == [[파일:MH Siren.jpg|width=300]] 성단력 이전 [[초제국]]의 [[머신 메사이어]] 혹은 머신 메이스라 불렸던 [[병기]]를 기반으로 개발된 병기. [[조종사]]인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의 움직임을 몇배에서 수십배까지 증폭하는 병기로서 그 전투력은 [[조커 성단]]에서 일반 병기들에 비하면 절대적으로 강하다. 게다가 강한 것 뿐 아니라 정확한 [[사격]] 및 [[공격]]까지 가능해서 모터헤드에 비하면 다른 모든 병기는 그 존재의미를 상실할 정도. 자가수복능력을 지닌 특수 소재인 [[네오 키틴]]으로 만들어진 [[장갑(무기)|장갑]]을 갖추고 있어 [[방어력]]도 높은 편이고, 상기한 네오 키틴의 자가수복능력 덕분에 장갑의 자잘한 손상은 스스로 치유할 수 있다. 그 대신 가격과 유지비도 천문학적이고, 의외로 연약한 구석이 있어서 단지 넘어지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수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 등이 있어서 모터헤드를 여러 대 장비한 [[기사단]]을 꾸릴 수 있는 재정을 가진 [[국가]]는 [[강대국]] 취급하며, 그나마 그 강대국들도 장비하는 MH의 대부분은 다양한 종류의 저가, 저성능 MH다. [[조커 성단]]의 [[기술]]이 점차 퇴보하고 있는 상황이라, 오래된 MH임에도 최근 개발된 것에 비해 강한 것들도 많이 있으며 모터헤드 이전의 [[머신 메사이어]]는 더욱 강하다. [[파일:schpeltor.jpg|width=300]] 오랜 세월을 거쳐 개발되면서 현용의 어깨높이 15미터 정도로 규격화된 듯하지만 간혹 규격외의 MH도 존재한다. 주 무장은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와 마찬가지로 [[메트로데카크롬]]제 실검(스파이드) 혹은 [[광검]](스패드)이고 그 외에도 다수의 대인&대물 [[지뢰|마인]], [[레이저포]], [[미사일]] 등을 장비하고 있다. 일부 MH는 궁극의 파괴병기인 '[[버스터 런처#s-2]]'나 [[화염방사기]] '[[플레임 런처]]'를 장비하기도 하고 그 외에 특화된 무기를 지닌 MH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A.K.D]]의 모터헤드에는 호밍 [[부메랑]]이라든가 죽방울 플레일(...)을 장비할 수 있다. 모터헤드를 설계, 제작할 수 있는 수준의 [[과학자]] 겸 [[장인]]은 [[마이트#s-2|마이트]]라 불리며 그야말로 초[[천재]]급의 인재이므로 [[헤드라이너]]와 마찬가지로 우대받는다. 정비와 [[튜닝]] 또한 [[장인#s-4.1|마이스터]]라고 하는 고급 [[엔지니어]]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모터헤드의 동력원은 [[이레이져 엔진|이레이저 엔진]]이라고 불리우는 [[영구기관|반영구기관]]으로, [[광합성]] 비슷한 원리로 [[에너지]]를 발생한다고 한다. 현용의 일반적인 [[엔진]]들이 [[내연기관]]인데 반해서 '[[외연기관]]'이라서 그 효율이 엄청나다는 설정이다. 일반적인 구동만 상정하면 영구히 가동이 가능하지만, [[전투]] 등 많은 에너지 소모가 일어날 시에는 소비되는 에너지를 감당하지 못해서 일정 시간후 활동이 불가능하다. 이레이저 엔진은 내구성 또한 비상히 높아서 [[태양]]의 중심부 정도의 온도로도 융해되지 않는다. 모터헤드는 [[휴머노이드|인간형]] [[이족보행병기]]이기에 기본적으로는 [[다리(신체)|다리]]를 사용한 보행으로 움직이지만, 비전투 상황에서는 [[이레이져 엔진|이레이저 엔진]]을 원동력으로 하여 지표면 위에서의 호버 주행에 의한 고속이동을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호버 주행은 주로 전장으로의 신속한 이동이나 전장에서의 신속한 후퇴를 위해 행하여 진다(이는 모터헤드가 굳이 호버 주행을 하지 않아도 다리를 사용한 보행만으로도 [[아광속]]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전장으로의 신속한 이동과 전선에의 신속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텔레포트]]를 구사할 수 있으며(다만 이러한 텔레포트는 모터헤드의 에너지를 대량으로 소모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터헤드의 성능을 크게 반감시키는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비행]]도 할 수 있지만 [[땅]] 위에서는 무적인 것과는 달리 [[하늘]]에서의 이동능력과 [[전투력|전투능력]]에는 상당한 제한이 있어 [[전투기]]와 같은 [[공중전]]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기동력은 발휘할 수 없다(이렇듯 공중전 능력이 없기 때문에 모터헤드의 비행 능력은 기본적으로 비전투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모터헤드의 비행 능력은 상기한 대로 공중전을 할 수 있는 수준인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단순히 별도의 수송차량([[모터 도리]] 등)의 도움 없이도 단독으로 전선에의 신속전개를 실시할 수 있도록 비행 능력을 통해 장거리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레이저 엔진을 탑재한 [[탈것]]이기 때문에 광의적으로는 '[[디그#s-3]]'[* [[이레이져 엔진|이레이저 엔진]]을 이용해 호버 주행과 [[비행]]을 실시하는 [[탈것]]의 총칭. 공중 [[자동차]]인 '에어카'나 공중 [[바이크]]인 '[[에어바이크]]'가 대표적이며, 광의적으로는 공중 [[전차]]인 '[[에어 배럴]]' 및 공중 [[장갑차]]인 '장갑 디그'나 [[모터 도리]](에어 도리 포함), [[우주전함]]을 비롯한 각종 [[우주선]], 우주[[전투기]] 및 우주[[공격기]], 모터헤드 등도 포함된다(모터헤드도 비전투 상황에서는 호버 주행과 비행에 의한 고속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역시 디그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레이저 엔진을 탑재한 탈것 전반이 [[디그#s-3]]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결론적으로 이레이저 엔진을 탑재한 탈것은 뭐든지 디그라고 부를 수 있다. 덧붙여 [[조커 성단]]에서는 이레이저 엔진을 탑재해 날아다닐 수 있는 [[보병]]용 [[강화복]](파워드 슈트)도 군의 제식 병기로서 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강화복도 디그의 범주에 포함되는 지는 불명.]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파일:bangdoll.jpg|width=300]] 모터헤드는 일단 자체적으로 기계적인 연산[[컴퓨터]]를 모터헤드 자신의 [[두뇌]]로서 갖추고 있으며, 동시에 [[바이오 컴퓨터|생체 컴퓨터]]인 [[파티마(파이브 스타 스토리)|파티마]]의 도움을 받아 컨트롤된다. 모터헤드의 연산컴퓨터는 [[AI]]([[인공지능]]) 컴퓨터이기에 약간의 [[자아]]와 [[인격]]을 가지고 있으며, [[파티마(파이브 스타 스토리)|파티마]]는 이를 헤드콘덴서를 통해 파악하고 전달할 수 있다. 갓 완성된 모터헤드의 자아와 인격은 갓난아기와 비슷하다고 하며, 따라서 초기에 파티마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전투]]에서 제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풍부한 전투 경험을 쌓은 [[베테랑]] 모터헤드라 해도 그 자아와 인격의 정신연령은 5살 [[어린이|어린아이]]와 비슷한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모터헤드가 단순한 기계가 아닌 스스로의 자아와 인격을 소유한 하나의 인격체이자 지성체임에도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와 파티마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것은 이렇듯 그 자아와 인격의 수준이 너무나도 어려서 혼자서는 제대로 된 [[판단]] 같은 것을 그다지 잘 할 수 없기 때문이다(작품의 주역 로봇인 [[나이트 오브 골드|더 나이트 오브 골드(데스니티 미라쥬)]]만 해도 이러한 사실을 [[루미너스 미라쥬|아주 처량하게 보여주는 신세]]이기도 하다.). 물론 전투병기임에도 [[인간]]에게 한없이 온순한 일반적인 모터헤드와는 달리 '[[파괴]]와 [[살육]]'의 [[본능]]을 가지고 있는 [[맹수]]와도 같은 존재인 [[레드 미라쥬]] 같은 예외도 있긴 하지만. 초기의 모터헤드는 [[파티마(파이브 스타 스토리)|파티마]] 없이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와 모터헤드 자체의 기계적인 연산[[컴퓨터]]만으로 조작하였지만 기사의 반응 속도를 따라가기엔 연산속도가 너무 느려서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하지만 모터헤드 조작을 위한 [[바이오 컴퓨터|생체 컴퓨터]] 파티마의 탄생으로 모터헤드의 성능은 비약적으로 상승하게 되었다. 파티마가 없던 시대와 파티마 이후의 시대의 모터헤드 전투력은 수백배 정도 차이가 나고, 파티마가 '''마스터'''로 고른 기사와 그렇지 않은 기사 사이에서도 모터헤드의 출력은 3배 차이가 난다. [[파일:MH_Atoll.jpg|width=300]]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가 모터헤드의 움직임을 조종하는 데에 쓰이는 조종장치는 [[강화복]](파워드 슈트)에 가까운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어 [[조종사]]인 기사의 [[모빌 트레이스 시스템|사지(四肢)의 움직임을 증폭하여 확대복사하는 방식]]으로 기체를 조종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조커 성단]]에서는 탑승형 [[거대로봇]]인 모터헤드와는 별개로 [[보병]]용 [[강화복]](파워드 슈트)도 군의 제식 병기로서 운용되고 있다. 일반 보병부대에서는 운용되지 않지만, '장갑보병' 또는 '돌격보병'이라 불리는 [[엘리트|정예]] 보병부대에서 운용하고 있다.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중화기와 사람이 갖추기 어려운 무거운 중장갑을 가볍게 장비할 수 있어 공격력과 [[방어력]]이 일반 보병보다 우수하며 [[이레이져 엔진|이레이저 엔진]]을 탑재해 날아다니는 등 기동력도 뛰어나 [[전투력]]은 일반 보병부대보다 당연히 훨씬 위이지만,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에게는 허무하게 발린다…] 쉽게 말하자면 [[풀 메탈 패닉!]]의 [[암 슬레이브]]나 [[천공의 에스카플로네]]의 [[가이메레프]]에 가까운 조종방식이다.[* 또한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가 모터헤드에 탑승할 때 착용하는 장구류 중에는 [[HMS#s-2|HMS]] 기능이 갖추어져 모터헤드의 [[머리]]와 [[목]]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데 사용되는 전용 [[헬멧]]도 존재한다. 그러나 작중에서는 이 헬멧을 사용하지 않는 기사들도 많다.] 이런 방식의 조종장치를 사용하여 조작하기에 고도의 [[자동화]]가 요구되는 것도 모터헤드의 조작에 [[파티마(파이브 스타 스토리)|파티마]]를 필요로 하는 이유 중 하나라는 모양. 단순히 기체의 [[팔]]과 [[다리(신체)|다리]]를 움직이는 것을 넘어선 범위의 작업인 센서 전환, 기체 설정 제어, [[대미지 컨트롤|대미지 관리]] 등의 복잡한 제어관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조작을 자동화해서 조종을 보조해줄 필요가 있고, 파티마의 도움을 통해서 복잡한 제어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 조종사인 기사가 [[계기판]]이나 콘솔 패널의 스위치들을 조작하면서 일일이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동으로 기체의 각 장치들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없앤다는 것이다. 본래 이런 자동화 작업은 모터헤드의 [[두뇌]]라고 할 수 있는 모터헤드 자체의 기계적인 연산[[컴퓨터]]가 해야 하는 일이겠지만, 상술한 설명에서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듯이 유감스럽게도 그 성능이 부족해서 결과적으로는 파티마의 도움이 필요해졌다고 한다. 한편 [[AD세기]] 최강의 [[머신 메사이어]] '[[옌싱 페이디]]'로 대표되는 [[초제국]] 시대의 머신 메사이어는 [[조종사]]인 [[기사(파이브 스타 스토리)|기사]]의 [[모빌 트레이스 시스템|사지(四肢)의 움직임을 증폭하여 확대복사하는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기술을 이용하여 조종사인 기사의 [[뇌파]]를 감지함으로서 [[에반게리온|조종사인 기사의 사고를 기체의 조작에 직접 반영하는]] 뇌파 컨트롤 방식으로 움직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머신 메사이어 [[AUGE]] 등의 초제국 시대의 유물들의 분석을 통해 사실로 증명되었는데, 이러한 뇌파 컨트롤 방식의 조종장치는 점진적으로 퇴보하고 있는 성단력 시대의 [[조커 성단]]의 기술 수준으로는 원래대로 재현할 수 없음이 밝혀졌다. [[아뢰야식 시스템|기사와 기체가 혼연일체가 되어 움직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유니콘 건담|오직 생각만으로 기체를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초제국 시대의 뇌파 컨트롤 시스템의 잔재는 상기한 머신 메사이어 AUGE 등의 일부 유물들에게 남아 있다. 후대로 갈수록 [[자원]]의 고갈과 함께 능력있는 [[마이트#s-2|마이트]]가 줄어들어서 새로 만들어지는 기체가 줄어든 것으로 보이며, 계속된 [[전쟁]]에서 대부분 파괴되어 남은 개체수가 거의 없다. 특히 [[아마테라스(파이브 스타 스토리)|아마테라스]]의 [[성단 대침공|성단 통일전쟁]] 이후에는 [[A.K.D]]의 것들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성단의 거의 모든 모터헤드가 파괴되어 이후 시대에는 모터헤드의 존재 자체가 잊혀질 정도가 되어버린다. [[파일:MH Speed Mirage.jpg|width=600]] [[파일:1968311168b15e2783f3de51bfb3caf1be06c7e7.jpg|width=600]] 연재 초기의 모터헤드는 [[비행]]은 못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마도대전]]에 들어가면서 [[공중전]]은 할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 비행이 가능한 것으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덕분에 [[쥬논#s-2.2]] 전기형에 [[랜드 부스터]]를 장착하여 비행기능을 넣었던 [[콜러스 3세]]는 바보가 되었고, 랜드 부스터는 통상 비행용이 아닌 격렬한 전투시에도 사용가능한 고성능 비행장치로, 비행전용 미라쥬 머신인 [[운더 스캇츠]]나 [[클라우드 스캇츠]]의 비행 모듈은 [[우주]]공간에서의 전투를 상정한 고고도 초고속 비행용이라는 땜빵 설정이 붙었다. 작가 [[나가노 마모루]]가 대충 둘러대기로는 랜드 부스터의 개발은 공중 기동 능력의 극적인 향상이 목적으로서 [[옌싱 페이디]]로 대표되는 [[초제국]] 시대의 [[머신 메사이어]]가 보여주었던 마치 [[전투기]]와도 같은 [[공중전]] 능력을 모터헤드에게도 부여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고, 단행본 12권에서 묘사된 것처럼 아무런 부가 장비가 없이 자체적인 비행 능력만으로 [[하늘]]을 비행하고 있는 모터헤드는 과거의 머신 메사이어와는 달리 공중전을 실시할 수 있을 만한 공중 기동 능력이 없어 지대공 공격에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는 설정을 덧붙였다. 항간에는 그만큼 시대(100여년)가 흘렀으니 모터헤드들도 진보되지 않았냐? 라는 의견도 있으나, 성단력의 기술력은 정체, 아니 퇴보되고 있다는 설정이므로 맞지 않는 의견이다. 실제 성단력 이전의 [[머신 메사이어]]([[AUGE|머신 메이스 오제]]가 대표적)가 모터헤드 이상의 대단한 취급을 받는다는 것이 성단력의 기술력 퇴보의 증거이다. [[조커 성단]]의 [[마이트#s-2|마이트]]들과 [[장인#s-4.1|마이스터]]들은 모터헤드를 진보시키기 위해 나름대로 신기술을 개발하려 노력하고 있고([[코넬라]] 제국의 [[K.A.N]]이나 [[필모어]] 제국의 [[MH 팬텀]] 및 아르카나 사이렌 등이 그 예이다.) 더불어 기존의 기술을 유지하거나 [[로스트 테크놀러지]]가 되어버린 [[초제국]] 시대의 옛 기술을 [[리버스 엔지니어링|발굴하여 복원하기 위해서도]] 여러모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조차도 별 소용이 없을 정도로 기술력 퇴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조커 성단의 슬픈 현실. 나가노는 이 구멍을 메꾸기 위해, 모터헤드는 원래 날 수 있지만 단순 [[비행]] 정도여서 [[전투기]]와 같은 [[공중전]]은 불가능하고, [[콜러스 3세]]가 [[쥬논#s-2.2]]으로 구현시키려던 비행 기능은 앞서 말했듯 [[옌싱 페이디]]로 대표되는 [[초제국]] 시대의 [[머신 메사이어]]처럼(9권 참조) [[육전#s-2|지상전]]과 동일한 기동력을 발휘하는 공중 전투 기능이라는 새로운 설정을 만들었다. 그러나 정작 쥬논의 설정이 '''[[마이트#s-2|마이트]]도 아닌 콜러스 3세가 [[근성]]으로 개발한 것'''에서 '''[[콜러스]] 왕가 대대로 물려내려오는 모터헤드를 기본으로 한 것'''이라는 설정이 덧붙었으니… 초중반에는 콜러스-하구다 전에서 초반의 [[부레이]], 후반에 [[사이렌 시리즈|사이렌]]들과 [[나이트 오브 골드]], 아슈라템플전에서 [[파열의 인형]]이 전송을 사용하는 장면 등 모터헤드들이 [[텔레포트]]로 전송되는 장면들이 꽤 있었는데, [[비행]] 이야기가 나오더니 요샌 텔레포트 장면이 잘 안나오게 되었다. 단행본 11권에서 [[필모어|필모어 제국]]이 모터헤드 부대를 [[우주선]]에서 하스하로 집단 텔레포트시키는 장면이 등장한다. [[텔레포트]] 이후 부대사열을 이루는 장면이 상당히 장관. 뒤에 말하기를 이 부대를 텔레포트시키는 데 필모어 제국 3개월분의 예산이 날라갔다고 하며, 더불어 우주선의 에너지도 순식간에 바닥나 버렸다고 한다. 텔레포트 장면이 줄어든 것은 이렇게 설명하려는 듯. 한편 [[비행]] 이야기가 나오기 이전부터, 모터헤드는 비전투 상황에 한정되긴 하지만 고속이동이 필요할 때에는 지표면 위에서의 호버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는 설정이 있었다고 한다. 모터헤드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중전기 엘가임]]의 [[헤비메탈(중전기 엘가임)|헤비메탈]]부터가 지표면 위에서의 호버 주행에 의한 고속이동을 기본 사양으로 하고 있었던 만큼 당연히 붙을 만한 설정. 다만 헤비메탈이 전투 상황에서도 호버 주행을 활발히 사용했었던 것과는 달리, 모터헤드의 경우에는 비전투 상황에서만 전장으로의 신속한 이동이나 전장에서의 신속한 후퇴를 위해서 호버 주행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모터헤드는 굳이 호버 주행을 하지 않아도 다리를 사용한 보행만으로도 [[아광속]]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설정이 있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생긴 듯. 이렇게 호버 주행을 한다는 설정이 없으면 안 되는 이유가 또 있는데, 대부분의 모터헤드가 지닌 하이힐 모양 또는 날렵한 세 발가락의 발 형상으로는 단단한 암반 같은 바닥이 아니고서는 본체 중량에 의해 발이 바닥에 박히기 때문이다. === 메인 프레임 === [[파일:FSS_MH_internal_frame_001_20181004.jpg|width=600]] [[파일:FSS_MH_Frame_1438093538506.jpg|width=600]] 모터헤드의 기본 뼈대가 되는 구조물로, 소위 주요 골격이라 불리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척추]]와 거기서 뻗어나온 한쌍의 척주 및 거기에 설치된 부대 골격, 그리고 사지([[팔]][[다리(신체)|다리]])와 [[머리]]의 골격을 모두 합하여 이와 같이 부른다. [[척추]]와 [[경추]], [[골반]], 그리고 팔다리의 뼈대가 메인 프레임으로 분류된다. 간단하게 [[프레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작중에서는 그 크기와 구조에 따라 각 유형을 분류하고 있으며, [[라이온 프레임]], [[치타 프레임]], [[판터 프레임]]과 같이 [[고양이]]과 [[동물]]의 이름을 부여하고 있다. * [[라이온 프레임]] * [[판터 프레임]] * [[티거 프레임]] * [[스미로 프레임]] * [[치타 프레임]] == 흑역사화? == [[파이브 스타 스토리]]의 [[프리퀄]] 스토리를 다룬 [[극장판]] [[애니메이션]]인 [[꽃의 시녀 고딕메이드]]의 개봉 이후, 뜬금없이 [[2013년]]에 '''모터헤드 설정을 없앤다'''라는 발표를 했다. 이후 작중 등장하는 메카닉의 명칭은 모터헤드에서 [[고딕메이드(파이브 스타 스토리)|고딕메이드]]로 변경, 그리고 기존 디자인까지 완전히 다 갈아엎는 수준의 리뉴얼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는 루머가 퍼져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작가가 그런 발표를 한 적은 없다. 비록 메카닉의 명칭이 고딕 메이드로 바뀌고 디자인 또한 대대적으로 바뀌긴 했지만 작가 측에서 이와 관련된 공식적인 입장은 내놓은 적이 없고, 그냥 연재가 재개되었더니 수많은 것들이 작가의 [[리부트]] 선언과 함께 바뀌어 있었던 것. 작가의 이런 애매한 태도 때문에 한때는 [[저작권]] 분쟁으로 인해 그렇게 된 것이라는 루머가 돌기도 했다. [[게이트 시온 마크2|GTM MK.2 No.3]]이 [[엘가임 MK2|엘가임 MKII]]의 고딕메이드판 리뉴얼 디자인이라서 [[중전기 엘가임]]의 디자인과 관련 없다는 것도 카더라 통신이다. [[2017년]] [[11월]]에 드디어 작가 측에서 공식 지면을 통해 모터헤드 제품들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계속 판매될 것이라고 [[http://bbs.ruliweb.com/family/232/board/300016/read/2144435|발언]], 모터헤드의 존속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모터헤드는 작품 밖에서 지금까지와 마찬가지의 상업적 전개가 이어질 것이며, 특별히 [[저작권]] 분쟁이 존재하는 것도 아닌 이상 작가의 마음이 변하면 언제든지 작품 내에 다시 편입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2020년 10월 연재분에서 작중 인물들의 입을 빌어서 모터헤드를 기억하는 인물들이 소수 남아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현실 조작]]을 구사하여 모터헤드를 고딕메이드로 수정한 것으로 밝혀진 신적 존재도 이걸 다시 되돌리면 문제가 생기는 것도 있지만 오래전 언급된 44분간의 기적에도 영향이 생긴다고 한다. 즉,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GTM이 다시 MH로 돌아갈 가능성을 언급한 것. == 작품에 등장한 MH == === [[A.K.D]] === * [[나이트 오브 골드|K.O.G]] → GTM [[마그나 팔레스]] * [[슈펠터]] → GTM [[뎀잔바라]] * [[오제 알스큘]] * [[파트락쉐 미라쥬]] * [[루미너스 미라쥬]] * [[미라쥬 머신]] → [[브링어 시리즈]] * [[레드 미라쥬]] → GTM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 * [[크로스 미라쥬#s-2|크로스 미라쥬]] → GTM [[그릿트 브링어]] * [[야크트 미라쥬]] → J형 구축전투병기 * [[테롤 미라쥬]] → GTM [[하이파 브링어]] * [[루즈 미라쥬]] * 루거 미라쥬 - 형식명 Mirage R. [[테롤 미라쥬]]의 자매기로 [[야크트 미라쥬]]의 행어 장면에서 단 한번만 등장. * [[커버드 미라쥬]] → GTM [[콜드 아이 브링어]] * [[플레임 미라쥬]] * [[혼드 미라쥬]] * [[스피드 미라쥬]] * [[클라우드 스캇츠]] → 가변 GTM S-2 우라소닉(ウーラソニック) * [[운더 스캇츠]] → 가변 GTM S-1 스카이아깁트(スカイアギフト) * [[벨게 미라쥬]] * [[쥬논#s-2|저지먼트 미라쥬]] 그 정체는 [[부레이]]와의 전투에서 대파된 후 개수된 후기형 [[쥬논#s-2|쥬논]]이다. 개수될 때에 [[레드 미라쥬]]의 [[이레이져 엔진|슈퍼 이레이저 엔진]]을 장비했기에 [[미라쥬 머신]]의 하나가 되었고, '저지먼트 미라쥬'라는 별칭이 붙었다. 따라서 순수한 파워만으로는 레드 미라쥬와 동급. 게다가 [[파티마(파이브 스타 스토리)|파티마]]가 [[클로소]]라 그 힘은 더욱 강해졌다. 사실 쥬논은 2부의 시점에서 O.D.K.라는 이름으로 다시 한번 개수된다. * [[마이티 미라쥬]] * [[크루츠 미라쥬]] * [[코우트 미라쥬]] * 그 외 * [[AUGE]] → GTM [[모르포 술탄]] * [[블러드 템플#s-2|블러드 템플]] * [[임페리얼 고즈]] * [[블러드 고즈]] * 그란 오제 === [[콜러스]] 왕조 === * [[쥬논#s-2.2]] * [[인게이지#s-3|인게이지]] 시리즈 → GTM [[하이레온]] * [[베를린(파이브 스타 스토리)|베를린]] → GTM [[바이마르(파이브 스타 스토리)|바이마르]] * [[카라라(파이브 스타 스토리)|카라라]] * [[아마론]] * [[킬라우라]] * 쿠루루 : 성단 통일 후 반아마테라스군이 사용하는 모터헤드 === [[필모어]] 제국 === * [[사이렌 시리즈]] → GTM [[홀다]] 시리즈 * [[MH 팬텀]] → GTM [[라미아스]] === [[하스하]] 연합공화국 === * [[엠프레스]] → [[디 카이제린]] * [[A-Toll]] → [[바가 하리]] * [[로랑 부트]] * 바츠아콘(バツアコーン) - 하스하 연합기사단의 2선급 모터헤드 === [[크발칸]] 법국 === * [[파열의 인형]] → BANG DOLL → BANG → GTM [[리터 제트]] * [[카디널 뱅]] → GTM [[리터 제트|마하 샤르토마]] * [[스틸코어]] → GTM [[루센프리드]] === [[메요요]] 조정 === * [[아슈라 모르샤]] * [[아슈라 템플]] → GTM [[호우라이]] * [[다이아몬드 뉴|플람베르쥬 템플]](희심금강) → GTM 아그님(アグニム) === [[바하트마]] 마법제국 === * [[밧슈 더 블랙나이트]] → GTM [[다카스 더 블랙 나이트]] * [[거스트 템플]] → GTM [[카바켄|카바겐]] * [[아웨켄]] * 바르브갓트 - (バルブガット) : [[바하트마]] 제국의 2선급 MH === 기타 MH === * [[그룬 엘다그라인]] → GTM 오스카드(オスカード) * [[샤크타]] → GTM 바이글론(バイグロン) * [[데본샤]] → GTM [[라이몬다]] * [[마그로]] → GTM [[칼스도라]] * [[바룬샤]] → GTM [[바야데르카]] * [[부레이]] → GTM [[졸다트]] * [[아파치#s-4|아파치]] * [[이차트]] * [[누벨 이차트]] * [[MH 자카]] * [[MH 빌드]] * [[청기사#s-1|청기사]] → [[보르독스]] * [[로테 카발리]] * [[라인샬 휴메트리]] → GTM 보이스오버 GA2 (글로앗슈 K형) * [[K.A.N]] → GTM SBB-1 데모르 조로 * 칸 얼리 - [[K.A.N]]의 선행 양산형. → GTM SBB-0 데모르 * [[MH 크로마]] * [[크루마르스]] * [[비브로스]] → GTM [[호자이로]] I * [[바이오라]] → GTM [[호자이로]] II * [[바이론]] → GTM [[호자이로]] III * [[헬마이네]] → GTM [[글로앗슈]] * [[루미너스 미라쥬|포코짱 1호]] * [[페드라]] → GTM [[알타이]] * 라칸드 템플 * [[MH 차이트]] → GTM [[샴라]] * [[MH 루비콘]] → GTM [[수코타이(파이브 스타 스토리)|수코타이]] * [[MH 플루토]] * 발리크라 * [[싱커]] → GTM [[에크페라하]] * [[갈]] * [[엘레시스]] * [[캇셀]] * [[하푼 템플]] → GTM [[데하빌랜드]] * [[제트 아르케나]] - [[우모스]] 공화국의 2선급 MH * 코르자라 - (コルサール) : [[가마샨]] 공화국의 하라라 공화기사단(ハララ共和騎士団)의 주력 MH로, [[독일어]]의 [[해적]](korsar)에서 따온 이름이다. → GTM 스이센(スイセン) === [[초제국]]의 [[머신 메사이어]] === * [[AUGE]] → GTM [[모르포 술탄]] * [[옌싱 페이디]] → GTM 염제(焰帝) 슈티엔 == 제품화 == 일단 FSS 의 정식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판매하고 있는 회사는 [[보크스]]이다. 그외 [[카이요도]] 등에서 레진 킷을 발매하고 있다. 보크스에서는 초기에는 1/100 과 1/144 의 [[레진]]캐스트만 판매했었다. [[21세기]]에 들어와서는 IMS라는 브랜드 네임으로 [[인젝션 키트]]로 된 [[프라모델]] 키트도 발매하였다. 리부트 이전의 구 모델을 기준으로 하는 제품도 있으며, 리부트 이후의 신 모델을 기준으로 하는 제품도 있다. === 보크스 === ==== 1/100 IMS ==== * [[나이트 오브 골드]] 데스티니 미라쥬 (델타 벨룬) * 나이트 오브 골드 [[슈펠터]] * [[레드 미라쥬]] 인페르노 네이팜 버전 * 레드 미라주 * [[바이오라]] 크루마르스 2 * [[테롤 미라쥬]] * [[사이렌 시리즈|V 사이렌]] (프로미넌스) * V 사이렌 (넵튠) * [[밧슈 더 블랙나이트]] * the BANG [[파열의 인형]] ==== 1/144 IMS ==== * V 사이렌 (넵튠) * [[A-Toll|아톨(A-Toll)]] * 바슈 더 블랙나이트 * the BANG 파열의 인형 ==== 1/100 레진 ==== * [[혼드 미라쥬]] * 아톨 BS 코브라 * [[다카스 더 블랙 나이트]] (리부트 이후) == 관련 문서 == * [[파이브 스타 스토리]] * [[성단 3대 모터헤드]] * [[이레이져 엔진|이레이저 엔진]] * [[고딕메이드(파이브 스타 스토리)|고딕메이드]] * [[로봇보행병기]] [[분류:파이브 스타 스토리/모터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