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모토키 가쓰야 [br] 本木克弥 / Motoki Katsuya}}}''' || ||<-2> [[파일:wetrfwerfwefw.jpg|width=300]] || || '''{{{#white 직업}}}''' || [[바둑기사]] || || ''' {{{#white 소속}}}''' || [[일본기원]] 도쿄본원 || || ''' {{{#white 생년월일}}}''' || [[1995년]] [[8월 2일]] ([age(1995-08-02)]세) || || '''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 {{{#white 출신지}}}''' || [[군마현]] [[후지오카시]] || || ''' {{{#white 입단}}}''' || [[2011년]] || || ''' {{{#white 단급}}}''' || 八단 || || ''' {{{#white 누적우승경력}}}''' || 1회 || || '''{{{#white [[한큐바둑]] 닉네임}}}''' || otowa(P) || ||<-2> [[https://www.nihonkiin.or.jp/player/htm/ki000441.html|일본기원 모토키 가쓰야 소개 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바둑)|기사]]. 후지사와 가즈나리 八단 문하이다. == 경력 == 1995년 출생으로 2011년에 입단했다. 2014년에는 입단 이후 처음으로 공식 기전인 [[히로시마알루미늄배 약리전]]에서 우승했다. 2015년에 [[혼인보전]] 본선 리그에 진출하며 七단으로 승단했고, 2017년에 혼인보전 도전권을 획득하며 八단으로 승단했다. 하지만 혼인보전에서는 [[이야마 유타]]에게 종합 전적 0-4로 패배하며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6년 [[제1회 신아오배 세계바둑오픈]]에 일본 [[시드]]를 받아 출전했지만 1회전에서 중국 [[쉬자양]]에게 패해 탈락했다. 2018년 [[제12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도 일본 시드를 받아 출전했는데 [[이세돌]]과의 24강전에서 의외의 승리를 거둬 일본 기사 중 유일하게 16강에 진출했다. 대국 초중반에는 포석에서 모토키 측이 약간 편한 정도였고 이세돌의 중반 공격력을 감안했을 때 결국 패배할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이세돌이 지나치게 무리해서 모토키 측의 중앙 대마를 공격하러 온 것을 모토키가 잘 찔러 '''이세돌의 중앙 대마를 역으로 다 잡고 통째로 접수'''했다. 이세돌의 대마를 한 번에 잡는 바둑은 정말 드문데, 모토키가 이걸 해냈다(...). 이세돌은 중앙 대마가 다 잡힌 이후로 [[멘탈붕괴|멘붕]] 상태에 빠졌는지 승리 가능성이 없는 걸 알면서도 바둑을 막 두어갔는데, 모토키가 잘 막아서 3집 반 차이를 유지하여 승리를 따냈다. [[파일:werwerwerfd-1.png]] 이틀 뒤 [[구쯔하오]]와의 16강전에서는 패했다. 2018년 7월 2일부터 시작된 [[제23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예선에 출전했다. 예선 1회전에서는 윤예성에게 승리했지만 예선 2회전에서 박종훈에게 패했다.[* 2012년에도 삼성화재배 예선에 출전한 바 있다. 그때는 예선 1회전에서 박승현에게 패했다.] 2018년 9월 21일 천부배 A조 16강전에서 중국 펑리야오에게 패했다. 2018년 10월 19일 농심배 4차전에 일본 대표팀 2번째 주자로 출전했지만, 중국 [[판팅위]]에게 패했다. 2020년 7월 29일 춘란배 24강전에서 [[강동윤]]에게 패했다. 2023년 8월 4일 몽백합배 32강전에서 [[위즈잉]]에게 패했다. 11월 16일 삼성배 32강전에서 김누리에게 패했다. [[분류:1995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바둑 기사/일본]][[분류:후지오카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