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별자리)] ||<-2><:> {{{#FFFFFF {{{+3 '''목동자리'''}}}[br]Boötes / B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boo.gif|width=100%]]}}} || || {{{#FFFFFF '''학명'''}}} ||Boötes|| || {{{#FFFFFF '''약자'''}}} ||Boo|| || {{{#FFFFFF '''주요 별 수'''}}} ||7, 15|| || {{{#FFFFFF '''가장 밝은 별'''}}} ||[[아크투루스]] (α Boo, '''−0.04 등급''')|| || {{{#FFFFFF '''가장 가까운 별'''}}} ||ξ Boo (22.01 광년)|| || {{{#FFFFFF '''인접 별자리'''}}} ||[[용자리]], [[큰곰자리]], [[머리털자리]], [[처녀자리]], [[뱀자리]], [[북쪽왕관자리]], [[헤라클레스자리]]|| || {{{#FFFFFF '''관측 가능 여부'''}}} ||O|| [목차] [clearfix] == 개요 == '''Boötes, Boo''' 대한민국에서는 봄~여름의 밤하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 상세 == 아주 오랜 고대부터 있었던 매우 오래 된 별자리로 알려져 있다. 일설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전부터 있었던 가장 오래된 별자리라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 흔히 바로 서쪽에 있는 [[사냥개자리]]와 묶어서 많이 이야기 된다. 이 목동이 신화에서 정확히 어떤 사람인지는 알 수 없어 여러 이야기들이 있는데, 한 신화는 [[디오니소스]]로부터 [[포도주]] 농사 방법을 배운 이카리우스(Icarius)의 별자리라는 이야기가 있고, 한 목동이 쟁기를 발명한 공로로 곡물의 여신인 [[케레스#s-1|케레스]]를 기쁘게 하여 [[제우스]]가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알파별 [[아크투루스]]는 밤하늘에서 [[시리우스]], [[카노푸스]]에 이어 세번째로 밝은 별[* [[알파 센타우리]]가 더 밝지만 두 개의 별이 합쳐진 밝기이기 때문에 [[아크투루스]]가 더 밝은 별이 맞다.]이다. [[북두칠성]] 손잡이 끝에서부터 [[아크투루스]]-[[스피카]]로 이어지는 곡선은 [[봄의 대곡선]]이라고 부르며, [[아크투루스]]-[[스피카]]-[[데네볼라]](사자자리 베타)의 [[봄의 대삼각형]]과 함께 봄철의 대표적인 길잡이별로 꼽힌다. 또한 엡실론별 [[이자르]]는 밤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중성으로 알려져 있다. 75mm 이상의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오렌지색 주성과 청백색 동반성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μ(뮤) 별 은 '''사중성'''계로, 이중 3개의 별을 분리해 볼 수 있다. --몇몇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암기시켜주기 위해 처녀가 사냥개와 [[목동(서울)|목동]]에 가서 사자하고 바다뱀을 봤다고 설명해준다 [[카더라통신|카더라]].-- == 발견된 천체 == 목동자리는 밤하늘에서 세 번째로 밝은 [[아크투루스]]를 비롯하여 3등급 이하의 밝은 별을 6개나 가지고 있다. 하지만 어두운 은하나 성단은 근처의 [[처녀자리]]나 [[사냥개자리]]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다. === 항성 === 바이어 지정에 의해 α(알파)별부터 ω(오메가)별까지 모든 [[그리스 문자]]가 28개의 별에 붙여졌다.[* 그리스 문자가 24개인데 28개에 별에 붙은 이유는, κ(카파), μ(뮤), ν(뉴), π(파이) 별은 첨자 1과 2가 붙어 2개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이다.] 10개의 별에서 [[외계행성]]이 발견되었다. * '''α Boo(Arcturus, [[아크투루스]])''': [[겉보기 등급]] '''-0.05등급'''의 매우 밝은 [[항성]]으로, 봄철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이다.[* [[금성]], [[화성]], [[목성]] 등이 봄철 별자리를 통과할 때이거나 위도가 더 낮은 곳이라면 해당 [[행성]]이나 [[알파 센타우리]] 쌍성계가 더 밝게 보일 수도 있다.] K1.5형의 오렌지색 [[거성]]인데, 지구와의 거리가 36.7광년에 불과하여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적색거성]]이기도 하다. 가까이 있는 거성이다 보니 고유운동 속도가 1년에 2"([[초(단위)#s-2|초]])가 넘는데, 이는 밝은 별들 중에서는 [[알파 센타우리]] 다음으로 빠른 속도이다. * ε Boo(Izar/Pulcherrima, [[이자르]]/풀케리마): 2.37등급의 쌍성계로, K0형의 밝은 거성~거성(II~III)의 주성과 [[A형 주계열성|A2형 주계열성]]인 동반성이 185[[천문단위|AU]] 거리를 두고 약 1,000년을 주기로 공전한다. 일반 망원경으로 보면 2.9초 정도 떨어져 있어서 작은 망원경은 분리해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동반성 밝기가 5.12등급으로 주성에 비해 어두워서 주성의 빛에 묻혀 보기 힘든 부분도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36광년이다. * η Boo(Muphrid, 무프리드): 2.68등급의 항성으로, [[쌍성#s-4.3|분광쌍성]]으로 추정된다. 분광형은 G0형의 준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37.2광년으로, [[아크투루스]]와 비슷하다. * γ Boo(Seginus, 세기누스): 3.03등급의 항성으로, A7형의 준거성~거성(IV~II)이다. 빠른 회전으로 인해 생긴 약한 변광성을 가지고 있는데, 변광 주기는 6시간 정도이고 3.02~3.07등급으로 밝기가 변하기도 한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86.8광년이다. * δ Boo(Princeps, 프린셉스): 3.48등급의 쌍성으로, G8형의 거성과 [[G형 주계열성|G0형의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졌다. 두 별과의 거리는 약 3,800[[천문단위|AU]]이며, 공전하는 데에는 약 12만 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망원경으로 보면 1[[분#s-2.2|분]]이 넘게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121.8광년이다. * β Boo(Nekkar, 네카르): 3.49등급의 항성으로, G8형의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25광년이다. * ρ Boo: 3.59등급의 항성으로, K4형의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60광년이다. * ζ Boo: 합산 밝기 3.78등급의 쌍성계로, 4.46등급과 4.55등급의 A2형 거성 2개가 매우 높은 [[이심률]]로[* 무려 0.9977의 이심률을 가진다.] 서로를 공전한다. 124.5년을 주기로 서로를 공전하는데, 2023년 8월경 근일점에 도달하여 당분간은 분리해 보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80광년이다. * υ Boo: 4.02등급의 항성으로, K5.5형의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63광년이다. * θ Boo(Asellus Primus, 아셀루스 프리무스): 4.05등급의 쌍성계로, 11등급의 [[적색왜성]] 동반성을[* 분광형은 M2.5다.] 가지고 있다. 주성과 약 1,000AU 정도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성은 F7형의 주계열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47.39광년이다. * λ Boo(Xuange, 슈안거[* 중국 천문학에서 '玄戈'라고 불리는 이 별의 이름이며, 2017년 6월 이 이름은 [[IAU]]의 승인을 받아 공식 이름이 되었다.]): 4.18등급의 항성으로, 금속성이 매우 낮다. [[A형 주계열성|A0형의 주계열성]]이다. * μ Boo(Alkalurops, 알칼루로프스[* μ^^1^^별에만 적용되는 이름이다.]): 사중성계로, Aa별과 Ab별이 속한 μ^^1^^별과 B, C별이 속한 μ^^2^^별로 나누어진다. μ^^1^^별은 4.31등급의 분광 쌍성이며, 동반성의 정보는 알려진 바 없다. [[F형 주계열성|F0형 주계열성]]이다. μ^^2^^별은 도합 밝기 6.5등급의 쌍성으로,[* 각각 7.2와 7.8등급이다.] A별과 107초 떨어져 있으며, 쌍성계를 이루는 두 별은 2.2초 정도 떨어져 있어 일반 망원경으로 간신히 분리해 볼 수 있다. 분광형은 [[G형 주계열성|G0형의 주계열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21광년이다. * σ Boo: 4.46등급의 항성으로, [[이자르]]와 ρ Boo 사이에 위치한다. [[F형 주계열성|F4형의 주계열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51.1광년이다. * ξ Boo: 4.7등급의 변광성, 쌍성으로, [[G형 주계열성|G8형의 주계열성]]과 [[K형 주계열성|K4형의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151년을 주기로 서로를 공전하며, 각거리는 5" 정도로 일반 망원경으로 충분히 분리해 볼 수 있다. 쌍성 중에 주성은 용자리 DY형 변광성이어서 4.52~4.67등급으로 약 10일을 주기로 변광한다. 지구와의 거리는 22.03광년으로 목동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다. * 34 Boo(W Boo): 4.49~5.4등급 사이로 빛나는 준규칙변광성이다. 주기는 대략 25일 정도지만 주기와 밝기의 편차가 들쭉날쪽하다. M3형의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700광년이다. [[이자르]]에서 남서쪽으로 1도 이하로 떨어져 있다. * BY Boo: 4.98~5.33등급 사이로 빛나는 느린 불규칙 변광성이다. M4.5형의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510광년이다. * HD 122563: 6.2등급의 항성으로, 금속성이 가장 낮은 항성 중 하나이다. G8형의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950광년이다. * HD 141399: 7.2등급의 항성으로, [[외계행성]]이 4개나 발견되었다. [[K형 주계열성|K0형의 주계열성]]이다. 네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0.45~1.33배[* b, c, d, e행성의 질량은 각각 목성의 0.45, 1.33, 1.08, 0.66배다.] 정도라 모두 목성형 행성으로 추정되고, 모항성과의 거리는 0.4~5AU 사이에 존재한다. 지구와의 거리는 120.85광년이다. * R Boo: 223.11일을 주기로 6.0~13.3등급으로 밝기가 변하는 [[미라(항성)|미라]]형 장주기 변광성이다. M4~8형 항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150광년이다. * LHS 2924: 19.35등급의 초저질량 [[적색왜성]]이다. '''질량이 태양의 0.08배에 불과하다.'''[[적색왜성|'''M9형'''의 주계열성]]으로, M9형 주계열성의 표준 별이기도 하다. 지구와의 거리는 35.845광년이다. === 심원천체 === 목동자리는 근처에 은하가 미친듯이 많은 바로 옆 별자리들[* [[처녀자리]], [[머리털자리]], [[큰곰자리]] 등.]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밝은 은하의 개수가 적다. 하지만 어두운 은하들은 여느 별자리들과 다름없이 많다. NGC 5466이라는 구상성단이 하나 존재한다. * NGC 5466: 9.7등급의 구상성단으로, 목동자리에 있는 유일한 구상성단이다. 흐리고 느슨해서 마치 밀도 높은 [[산개성단]]처럼 보이기도 한다.[*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에 의하면 무려 XII로, 가장 느슨한 단계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51,800광년이다. * [[NGC 5248]] : '''10.97'''등급의 [[중간나선은하]]로[* SAB(rs)bc형이다.], 88개 별자리 중 '''13번째로 큰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은하다.''' 처녀자리 III 은하군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NGC 5248 은하군이라는 더 작은 은하단에서 가장 밝은 은하이기도 하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5900만 광년이다. [[콜드웰 목록]]의 45번이다. * [[목동자리 왜소은하]](목동자리 I 왜소은하): 2006년 발견된 지구와의 거리가 197,000광년인 [[은하/분류#s-2.4|왜소구형은하]]다. 총 광도는 태양의 100,000배 정도다.[* 많은 초소형 왜소은하들이 그렇듯 [[리겔]] 별의 밝기보다도 어둡다.] 이 은하의 거의 모든 별은 모두 133~134억 년 전에 만들어졌으며, 지금은 항성 생성이 끝난지 오래라고 한다. * 목동자리 II 왜소은하: 2007년 발견된 지구와의 거리가 136,000광년인 [[은하/분류#s-2.4|왜소구형은하]]다. 지름이 300~400광년에 불과하며, 광도는 태양의 1,000배 정도에 불과하다. 별들의 나이는 모두 100~120억 년 사이로 추정된다. * 목동자리 III 왜소은하: 2009년 발견된 지구와의 거리가 150,000광년인 [[은하/분류#s-2.4|왜소구형은하]]다. 광도는 태양의 18,000배이며, 대부분의 별들은 나이가 약 120억 년이다. * 목동자리 공동: 지름이 3억 3천만 광년에 이르는 거대한 빈 영역으로, 이 보이드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약 7억 광년이다. *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의 일부: 우주에서 가장 큰 구조물인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의 일부분이 목동자리에 속해 있다. * CEERS 1019: 2023년 8월 시점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블랙홀[* 초대질량블랙홀이다.]인 CEERS 1019가 목동자리에 있다. 기존에 발견된 은하 EGSY8p7에서 발견되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발견.] 빅뱅 이후 약 5억 7천만 년 후에 존재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분류:별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