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목포시청 축구단이라는 이름을 2020년까지 사용한 K3리그 참가 축구단, rd1=FC 목포)] [include(틀: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 [include(틀:목포시의 관내 기관)] ---- ||<-4>
[[파일:목포시 CI.svg|width=50]][br] {{{#000 {{{+2 '''목포시청'''}}}[br]木浦市廳 | Mokpo City Hall}}} || ||<-4>{{{#!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목포시청.jpg|width=100%]]}}} || ||<-4>{{{#!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목포시청, 너비=100%, 높이=200%)]}}} || ||<|2> '''주소''' || '''본청''' ||<-2> 전라남도 목포시 [[양을로]] 203 ([[용당동(목포)|용당동]]) || || '''남교동 트윈스타''' ||<-2> 전라남도 목포시 [[수문로]] 32 ([[남교동]]) || || '''국가''' ||<-3>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관할 구역''' ||<-3> [[전라남도]] [[목포시]] || || '''개청''' ||<-3> [[1910년]] [[10월 1일]] (목포부청) [br] [[1949년]] [[8월 15일]] (목포시청) || || '''직원 수''' ||<-3> 1,295명 || || '''예산''' ||<-3> 6,711억 원 (2023년) || || '''시장''' ||<-2> [[박홍률]] || [include(틀:무소속)] || || '''부시장''' ||<-3> 소영호 || || '''상급 기관''' ||<-3> [[전라남도청]] || || '''웹 사이트''' ||<-3> [[http://www.mokpo.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목포시]]의 시청사로 [[용당동(목포)|용당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동으로는 용당1동이다. == 연혁 == 1910년에 무안부에서 목포부로 개칭되면서 목포시청의 역사는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부 승격은 이보다 이전인 1906년에 마쳤다. [[경술국치]] 이후인 [[1914년]]에 [[구 목포 일본영사관|기존의 일본 영사관]] (현재의 [[대의동2가]])의 영사 업무가 쓸모 없어지자, 이곳을 목포부청을 쓰이게 함과 동시에 첫번째 청사가 되었다. 그러나 부내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각각 [[무안군]], [[함평군]]으로 분할함에 따라서 부내면만을 목포부의 관할 구역으로 설정하였다. [[1949년]]에 목포시로 개칭되어 목포시청으로 개칭되었고, [[1974년]]에 [[명륜동(목포)|명륜동]]의 현재 한국은행 부지로 이전하였다. 그 후, [[1980년대]]에 용당동으로 이전하였고 지금에 이른다. [[2014년]]에 일부 조직을 남교동 소재의 남교 트윈스타 행정타운으로 이전하였다. == 청사 == === 본관 === ||지하1층||보일러실, 구내매점, 여성가족과, 기록물관리실, 화장실, 인사작업실, 기록물실, 문서고|| ||지상1층||승강기, 노인장애인과, 화장실, 사회복지과, 전산실, 전산실, 공보과, 교통행정과, 숙직실, 자치행정과, 서고, 회계과, 서고|| ||지상2층||승강기, 상황실, 화장실, 일자리청년정책과, 경제산업국장실, 기업유치실, 영상회의실, 전국체전준비기획단(TF), 해양항만과, 기업유치실장실, 수산진흥과, 편집실, 안전도시건설국장실, 관광문화체육국장실, 자치행정복지국장실, 기획관리국장실, 부속실, 부시장실, 부속실, 소회의실, 시장실, 기계실, 사실|| ||지상3층||교육체육과, 시민소통실, 문화예술과, 화장실, 농업정책과, 도시계획과, 평통사무실, 옥상, 관광과, 기획예산과, 지역경제과|| ||지상4층||정보통신과, 건설2과, 통신실, 화장실, 회의실, 옥상, 감사장, 감사실, 건설과|| === 민원동 === ||지상1층||승강기, 민원봉사실|| ||지상2층||승강기, 건축행정과, 세정과|| ||지상3층||승강기, 재난안전상황실, 안전총괄과,CCTV 통합관제센터|| === 의회동 === ||지상1층||본회의장(방송실, 기자석, 방청석), 승강기, 현관, 시민의방, 화장실, 소회의실|| ||지상2층||의장실, 부의장실, 문서고, 의원사무실, 운영위원장 사무실, 의회사무국, 사무국장실, 화장실|| ||지상3층||전문위원실, 관광경제위원장사무실, 관광경제위원회 회의실, 기획복지위원장 사무실, 기획복지위원회 회의실, 도시건설위원회 회의실, 도시건설위원장 사무실, 의원사무실, 도서자료실|| === 트윈스타 행정타운 === ||지상3층||치매예방안심센터, 화장실, 보건교육실, 도시문화재과, 문서고, 공원녹지과, 화장실, 승강기|| ||지상4층||환경보호과, 관광거점도시추진단(T/F), 자원순환과, 화장실, 목원동주민센터, 장학재단, 문서고, 목포시 체육회, 목포시 장애인 체육회, 문화재단, 화장실, 승강기|| ||지상5층||상하수도사업단장실, 수도과, 하수과, 화장실, 도시문화재과도시발전사업단장실, , 도시재생과, 회의실, 문서고, 화장실, 승강기|| == 교통 == === 본청 (용당동) === ||<-2>
{{{+1 {{{#373A3C,#dddddd '''목포시청 (26015)'''}}}}}} {{{#!wiki style="text-align:left" 시청 민원동 바로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ffffff 2번(산정동주민센터, 목포여고, 목포역, 유달산우체국, 여객선터미널, 구. 제일은행)}}}]]}}}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ffffff 10번(목포고등학교, 구. 자유시장, 목포역, 목포여고, 신안비치팔레스, 연산주공후문)}}}]]}}}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3|{{{#ffffff 3번(연산주공, 서부초등학교, 목포세무서, 목포역,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7|{{{#ffffff 7번(보건소사거리, 양동우체국, '''트윈스타''', 유달산우체국, 여객선터미널, 삼학도우체국, 삼학도)}}}]]}}} || ||<-2> '''타지자체 시내/농어촌버스''' || || [[농어촌버스|{{{#ffffff 신안군 농어촌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신안 버스 150|{{{#ffffff 150번(대연초등학교, 금호장례식장, 신안군청, 압해중앙, 분재공원, 송공항)}}}]]}}} || ||<-2>
{{{+1 {{{#373A3C,#dddddd '''목포시청 (26013)'''}}}}}} {{{#!wiki style="text-align:left" 위의 정류장 건너편 격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ffffff 2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항도여중, 석현동)}}}]]}}}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ffffff 10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이마트, 부영1차, 제일여고, 하당보건지소, 석현동)}}}]]}}}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3|{{{#ffffff 3번(대연초등학교, 포미4단지, (양을산터널), 항도여중, 버스터미널, 홈플러스, 공업고,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7|{{{#ffffff 7번(홈플러스, 한국전력, 영흥중고입구, 고용노동부, 자연사박물관, 삼학도)}}}]]}}} || ||<-2> '''타지자체 시내/농어촌버스''' || || [[농어촌버스|{{{#ffffff 신안군 농어촌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신안 버스 150|{{{#ffffff 150번(동부시장, 구.자유시장, 여객선터미널, 해양대)}}}]]}}} || === [[남교동 트윈스타]] === ||<-2>
{{{+1 {{{#373A3C,#dddddd '''목포남교트윈스타 (14008)'''}}}}}} {{{#!wiki style="text-align:left" 트윈스타 바로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3|{{{#ffffff 13번(북교초등학교, 홍일중고, 신안비치1차아파트, 보건소사거리, 삼일로)}}}]]}}}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ffffff 6번(북교초등학교, 홍일중고, 신안비치1차아파트, 보건소사거리, 삼일로)}}}]]}}}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7|{{{#ffffff 7번(양동우체국, 연산주공, 목포시청, 홈플러스, 한국전력, 고용노동부, 자연사박물관, 삼학도 )}}}]]}}} || || [[외곽연계|{{{#ffffff 외곽연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5b1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30|{{{#ffffff 130번(홍일중고, 종합사회복지관, 신안군청, 압해중앙, 송공항)}}}]]}}} || ||<-2>
{{{+1 {{{#373A3C,#dddddd '''목포남교트윈스타 (14012)'''}}}}}} {{{#!wiki style="text-align:left" 위의 정류장의 건너편 격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3|{{{#ffffff 13번(목포역, 유달경기장, 우성아파트, 제일여고, 이마트, 버스터미널후문, 석현동)}}}]]}}}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ffffff 6번(목포역, 산정초등학교후문, 동부시장, 문태중고, 삼학하이츠, 제일중, 버스터미널, 항도여중, 석현동)}}}]]}}}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7|{{{#ffffff 7번(목포극장, 유달산우체국, 여객선터미널, 삼학도우체국, 삼학도 )}}}]]}}} || || [[외곽연계|{{{#ffffff 외곽연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5b1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30|{{{#ffffff 130번(원광한의원, 동명동사거리(물양장), 삼학도)}}}]]}}} || == 사건 사고 == [youtube(Qifh28UA1Sc)] 목포시의회 고경욱 시의원이 밤 늦은 시간인 22시경 의회사무국 김명x 팀장(6급)으로부터 각종 욕설이 담긴 협박문자를 여러 차례 받았으며[* 너 이 xx 밤길 조심해, 니가 만약 내 이름 거론한 즉시 명예훼손 건다, 영업장을 폭파하겠다, 전화받아. 삽들고 쳐들어간다 등 내용] 전화도 계속 걸려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2023년 3월 21일 목포시의회 임시회 시정질의 연설을 통해 "입에 담을 수 없는 폭탄 문자에 떨어야 했던 새벽의 그 시간을 생각하면 온몸이 절로 떨렸다" 밝혔다. MBC에서 김 팀장에게 해당 사건에 대해 질문하자 김 팀장은 당시 상황이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술에 취해있었고 행위 자체에 대해선 반성하나 뒤틀린 감정은 지속적으로 고 의원으로부터 행해진 갑질때문이라 주장했다. 시와 시의회에선 후속 대응 방향을 두고 고민에 빠진 상태고 공무원노조 측에선 전후 사실관계 파악에 나섰다고 한다. 뉴시스 기사에 따르면 시에서 김 팀장을 직무배제하고 자치행정과로 인사조치했다고 되어있고 광주MBC 기사에는 시에서 시의회와 협의를 통해 김 팀장을 대기발령 조치 후 재발방지 약속했다고 나와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758859?sid=102|뉴시스]], [[https://kjmbc.co.kr/article/pmyafYJmm4kDzJM2uc|광주MBC]] 고 의원은 김 팀장이 꺼낸 의원이 갑질했다는 발언에 대해 "갑질을 했다는 건 말이 안된다. 당시 팀장과 함께 주무관도 있었는데 (언론사에서) 취재하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밝혔으며[[https://www.nbntv.kr/news/articleView.html?idxno=68939|#]] 임시회 마지막날인 3월 23일 박효상 의원이 "고경욱 의원의 떨리는 목소리로 고백한 사연을 듣고 시의원 일동이 참담함을 금할 수 없었으며 공무원이 시의원을 협박한 것은 민주주의 근간을 흔들고 시민의 권리를 위협한 중대한 침해행위"라며 시의회의 실추된 명예에 대한 사과 및 즉각적 회복을 요구했고 [[박홍률]] 시장은 "해당 공무원에게 인사조치를 단행했으며 재발방지를 위한 직무교육을 강화하겠다" 짧게 유감을 표명했다.[[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323000711|#]] 고 의원 및 일부 의원들은 "시의회 집행부는 이번 사태를 봉합만 하려는 데 급급하며 시장 또한 사안에 대한 책임성 언급은 없이 짧게 유감 발언만 했다" 며 문제를 제기하며 고 의원의 경우 동료 의원들과 협의 후 별도의 법적 검토에 나서겠다 밝혔다.[[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160267684629423|#]]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목포시, version=1243)] [[분류: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분류:목포시 소재 관공서]][[분류:1910년 건설]][[분류:1945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