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호접몽전의 등장인물 목홍, rd1=목홍(호접몽전))] [include(틀:수호전 108성)] [include(틀:팔호기)] ||||<-5><#dcdcdc> 몰차란 목홍 || || [[파일:24mokhong.jpg|width=250]] || [[파일:24목홍.jpg|width=250]] || ||||<-5><#dcdcdc> [[수호전]]의 등장인물 || ||이름|| 목홍(穆弘) || ||별호|| 몰차란(沒遮欄) || ||수호성|| 36 천강성 중 천구성(天究星) || ||무기|| 박도 || ||특이사항|| 게양진 목가패거리 두목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호전]]의 등장인물. 별호는 몰차란(沒遮欄). 沒이 접두사로 쓰이면 '전혀 없음'이라는 의미이고, 遮欄은 가로막는다는 뜻인데, 이를 해석하면 가로막는 것이 없다는 뜻. 즉 의역하면 '''못말리는 놈'''이라는 의미쯤 된다. --[[짱구는 못말려|목홍은 못말려]]-- '게양진 삼패(揭陽鎭 三覇)'는 [[장강]] 유역 게양령(揭陽嶺) 부근은 [[이준(수호전)|이준]]과 [[이립(수호전)|이립]]의 구역이고, 게양진 심양강 일대는 [[장횡(수호전)|장횡]], [[장순(수호전)|장순]]의 구역이다. 그리고 게양진의 저잣거리는 목가 패거리의 구역인데 이 목가 패거리의 우두머리가 목홍이고, 목홍은 [[목춘]]의 형이다. == 작중 행적 == [[주장시|강주]]로 유배를 가던 [[송강]]과 [[설영(수호전)|설영]]에게 [[목춘]]이 시비를 걸다가 망신을 당한뒤, 목춘이 앙갚음을 하기 위해 형인 목홍을 찾으면서 이름이 나온다. 그후 송강 일행을 죽이고자 그들을 쫓지만, [[이준(수호전)|이준]]에게서 그 유명한 [[송강]]임을 안 뒤 극진히 모신다. 송강 구출 이후에 [[양산박]]에 합류한다. 양산박에서의 직책은 마군 팔호기(八虎騎) 겸 선봉사. [[방랍]] 토벌 도중 [[항저우시|항주]]성에서 병에 걸려 사망한다. == 여담 == 천강성 36인에 속한 두령이지만 그 활약이 극히 미비하며, 동생 목춘과 함께 위의 에피소드가 등장장면의 거의 전부라고 봐도 된다. 그나마도 위의 에피소드를 통해 알 수 있는건 그저 성격 더러운 놈이라는 사실 뿐이다. 수호전 팬덤 층에서는 "왜 이 놈이 천강성인 거지?", "지살성의 [[손립]]과 체인지해야할 녀석"이라는 등의 소리도 많이 나오는 듯. 게양진의 재산가였던 것을 감안하면 재력적인 면에서 양산박의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정작 목홍과 목춘은 양산박으로 들어올 때 소지할 수 있는 재물만 대충 꾸리고 전답 등 부동산은 죄다 버리고 왔다(...). 사실 굵직한 일기토 장면이 드물어서 그렇지[* 목홍의 일기토 장면들은 대부분 무승부거나 퇴각하는 경우다.(...)] 마군 팔호기의 일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무력이 상당히 높을 것이라 추정해도 무리가 없어 보인다. 저 팔호기란 집단의 구성원만 봐도 [[양지(수호전)|양지]], [[색초]], [[서녕]], [[화영]], [[사진(수호전)|사진]], [[주동(수호전)|주동]], [[장청(몰우전)]] 등 오호대장에 필적할 강자들이 쟁쟁한데, 본인의 무력이 낮았다면 과연 저 틈에 낄 수 있었을까?[* 이 부분을 간접적으로 짐작해볼 수 있는 장면이 하나 있는데, 연청과 함께 씨름대회에 참가하고 돌아오는 길이었던 이규는 연청과 달리 바로 양산박에 돌아가지 않고 동네 서당에서 관복을 입고 재판관 행세를 하면서 아이들과 어울려 놀고 있었다. 송강이 이규가 안 보이니 찾아서 데리고 돌아오라는 지시에 여러 두령이 마을 근처를 돌아다니며 이규를 찾는데, 서당에서 놀고 있는 이규를 발견한 목홍이 대뜸 다가가 뒷덜미를 잡으면서 너 안 와서 형님이 걱정하고 다른 사람들도 다 흩어져서 찾는 중인데 여기서 뭐 하냐, 빨리 안 돌아가냐라고 호통을 친다. 송강이나 대종 같은 큰 형님급 두령들의 지시가 아니면 제대로 말도 안 듣는 이규가 여기서 목홍의 지시에 순순히 따른다. 송강의 명령이란 것도 있고, 이규가 실컷 놀고 나서 기분이 좋기도 했겠지만 어쨌든 그 이규를 틀어잡고 큰소리를 쳤다는 점에서 배짱 두둑한 인물이었다는 점은 짐작할 수가 있다.] 행적은 딱히 없었으나 같은 마군 팔호기(八虎騎)인 [[사진(수호전)|사진]]과 엮이는 경우가 많다. == 기타 창작물 == [[수호전 천도 108성]]에서는 [[이준(수호전)|이준]]으로 플레이하면 그럭저럭 쓸만한 무뢰한. 75/69/65의 나름 만능형 능력치를 갖고 있다. 완력이 그럭저럭 봐줄만은 하고, 팔호기를 맡은 게 반영되어 '''기마대 특성이 적합'''이라 전장에서의 이동력이 좋다. 이준이 워낙 수군 특화 세력이다 보니 기마특성이 적합인 무뢰한은 목홍밖에 없다. 더구나 직업도 농부라서 농장에서 완력 올리기도 좋다. [[삼국지 11]]에서는 66/79/38/59/72 극,노,공성을 제외한 나머지는 A이상이다. 수군만 S. 특기는 [[부호]] [[분류:수호전/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