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X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목차] || [[파일:몬스터 X LE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몬스터XLE_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파일:시즌패스 시즌2.jpg]] > '''''''''야성의 라이딩, 몬스터 X LE''' == 개요 == 2020년 10월 15일 [[몬스터 X(카트라이더)|몬스터 X]], [[골든 페가수스-R]]과 같이 출시된 몬스터 X의 상위형 모델이자 이전 [[몬스터 9]]의 강화형 모델인 [[몬스터 9 W]]의 X 엔진 버전 카트바디. 별칭은 몬엑리로 불린다.[* ‘몬’스터 ‘엑’스 ‘LE = 리’] 중국 카트라이더 2021년 2월 4일자 패치로 출시, 대만 카트라이더 동년 2월 26일자 패치로 출시 == 상세 == === 한국 === || '''카트 명칭''' || 몬스터 X LE || || '''획득 방법''' || PC방 프리미엄 혜택, 시즌 패스 상자, 레전드 카트 선택권, 바람개비 상자, 마술 모자, 포트마리드 찻잔, 무제한 카트 카드 || 2020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11월 11일까지 시행되는 시즌 패스 시즌2 또는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몬스터 X(카트라이더)|몬스터 X]]와 몬스터 X 보석을 조합해서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몬스터 X 보석은 시즌 패스 2의 프리미엄 패스로만 얻을 수 있기에 실질적으로 봤을 때는 그냥 시즌 패스 카트바디라고 보면 된다. 역시나 6,900캐시를 주면 프리미엄 패스를 얻을 수 있고, 좀더 현질해서 19,800 캐시의 프리미엄 패키지 구성품을 산다면 300개의 패스 티켓도 덤으로 딸려온다.[* 패키지를 구입하면 바로 프리미엄 패스가 10 레벨로 올라간다.] 이후에는 퀘스트만 잘 수행하면 끝. 물론 퀘스트 따위 아예 하고 싶지 않고 재빨리 얻고 싶다면 전처럼 30만 캐시 정도는 질러야 한다.[* 참고로 6,900원으로 시즌 패스를 사서 하루에 퀘스트를 다 완료하면 15일정도 만에 얻을 수 있으며 마지막 미션인 배틀 모드 클리어를 하지 않더라도 20일 정도가 걸려서 충분히 기간 내에 얻을 수 있다. 더군다나 일일마다 별도의 퀘스트를 완료하면 프리미엄 패스 티켓 최대 18개를 보상으로 지급하기에 더욱 빠른 시일 내로 얻을 수도 있으니 인내심을 갖고 하자. 어차피 다 얻을 수 있으므로 굳이 프리미엄 패키지를 살 필요는 없다. 다만 빨리 얻고 싶어하거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프리미엄 서비스|프리미엄 점수]]를 올리고 싶다면야 프리미엄 패키지를 구매하는 것도 그렇게 나쁘진 않다. 당연히 과금을 하여 하루만에 얻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선택지기 때문이다.] 이번 획득 방법은 헤비과금과 무과금이 아닌, '''소과금 유저'''를 배려하는 획득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헤비과금만 얻을 수 있는 히페리온과 잘하면 무과금으로도 얻을 수 있는 파라곤과는 전혀 다른 획득 방법이다. --비싸게 내면 비싸게 낸다고 뭐라하고 싸게 내면 싸게 낸다고 뭐라하고 어떻게 하라는 거야-- 소수의 유저들은 겨우 6,900원짜리 시즌패스 카트바디가 1대장을 차지한다는 비판을 하고 있다. 피시방 플레이타임 60시간을 채워 얻은 유저들이나 혹은 빙고로 얻은 유저들의 경우, 지나친 가격차이가 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히페리온을 약 60만원에 뽑았다고 가정할 때, 똑같은 급의 1대장 카트바디를 뽑기 위해 쓴 돈은 약 100배 차이난다. 다만 위와 같은 비교는 부적절하다. 히페리온을 60만원 정도에 뽑았다는 것은 대부분 반복퀘를 하지 않고 현금박치기를 한 경우고, 몬스터를 6,900원에 뽑았다는 것은 퀘스트를 적어도 11일간 열심히 한 것이다. ~~그러는 사람은 거의 없었겠지만~~ 몬스터 X LE도 퀘스트를 전혀 하지 않고 현금박치기로만 한다면 약 30만원이라는, 결코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 이전 시즌 패스 때는 오히려 비판의 목소리가 적었다. 이는 종목을 불문하고 시즌 패스 그 자체의 가성비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옹호적 여론도 있다. ~~물론 [[골든 파라곤 SR-R/비판 및 논란|최근 조재윤의 행보 때문에]] 비판은 피하기 힘들다.~~ 시즌 패스가 늘 그렇듯 프리미엄 레벨 25에 레전드 카트 선택권이 있고,[* 몬스터 X LE, 이클립스 X, 플라즈마 X EXT, 파라곤 X, 볼트 X, 골든 코튼 X, 홍련 X, 스팅레이 X를 제외한 몬스터 X LE 이전 레전드 카트바디들 중에 1종을 선택해서 얻을 수 있었다.] 일반 패스에도 [[우니(크레이지 파크)|트로트 스타 우니]][* 개인전 완주: 루찌 +150%, 팀전 승리: RP +100%, 루찌 +300%. 보너스 효과만 보자면 아이돌 디지니보다는 한참 떨어지지만 팀전에서 루찌를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에 그나마 유용한 캐릭터라 할 수 있다.]를 포함한 레어 카트 선택권과 [[레전드 파츠 X]]가 보상에 포함되어 있어 몬스터 X LE까지 못 얻었다 셈 치더라도 큰 손해는 아니다. 시즌패스 시즌 2 기간이 종료되어 한동안 획득할 수 없었다가 2021년 4월 15일 시즌 패스 상자에서 기간제와 무제한을 획득할 수 있으며, 리뉴얼된 레전드 카트 선택권에서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2020년 10월에 출시된 이후 마침내 '''6개월''' 만에 다시 풀리게 되었다. 2021년 6월 3일 패치로 바람개비 상자에서도 나오지만, 시즌 패스 상자로 얻는 것이 확률이 더 높다. 바람개비 상자의 구성품인 [[미술 붓 X]], [[골든 스톰 블레이드 X]], [[흰 소 X]] 등을 노리다가 어쩌다 나오는 정도. 2021년 7월 8일 패치로 프리미엄 서비스 보상이 리뉴얼됨과 동시에 골드 등급을 달성하면 얻을 수 있는 무제한 카트 카드의 구성품 목록으로 추가되었다. 이로써 프리미엄 점수 60000점을 넘겨 골드 등급을 달성하면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7월 22일, 코리아 테마가 나오면서 PC방 프리미엄 혜택 카트바디로 새롭게 선정되었다. === 중국 === || '''카트 명칭''' ||魔傀 X LE || || '''획득 방법''' ||시간의 상점 || 시간의 상점에 나왔다. === 대만 === || '''카트 명칭''' ||- || || '''획득 방법''' ||미출시 ||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 1015 || - || - || || '''가속력''' || 1009 || - || - || || '''코너링''' || 1030 || - || - || || '''부스터 시간''' || 1005 || - || - || || '''부스터 충전량''' || 590 || - || - || ||<-4> '''속도 {{{-3 (통합속도)}}}''' || || '''직선 속도''' ||<-3> 208km/h || || '''부스터 속도''' ||<-3> 294km/h[* 팀전 부스터 기준] || || '''스타트 부스터''' ||<-3> 306km/h[* 더욱 강력한 출발 부스터 착용시 최대치] || || '''헤어핀 감속''' ||<-3> 131~137km/h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중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하 || || '''무게중심''' ||<-3> 조금 앞 || || '''드립감''' ||<-3> 언더스티어 || ||<-5> '''카트 바디 특징''' || ||<-5>{{{#!wiki style="text-align:left; margin-left:-12px" * 상당한 직선가속 * 준수한 게이지 충전량 * 최상급 헤어핀 감속}}} || 전체적으로 최고 수준의 속도 스펙을 자랑하는데, 최고 속도는 305km/h까지 나오며 감속은 매우빠름 채널 기준 [[흑기사 X]]에 준하는 130대 후반 ~ 140대 초반을 찍는다. 통합속도로 패치된 이후에도 130대를 유지하는 모습을 여전히 보이고 있을정도니...[* [[파라곤 X]]나 [[크로노스 X]]는 통합속도로 패치 이후에는 120대 후반까지 찍히는거를 볼 수 있다. 즉, 속도패치 이후에도 130대 이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카트바디가 [[흑기사 X]], [[심판 배찌 X]] 말고는 찾아보기가 매우 힘들다. 심지어 [[심판 배찌 X]]는 패치 이후에도 140대의 감속을 보여준다.] 매우빠름 채널 기준으로 130km 초중반을 찍는 [[몬스터 X(카트라이더)|몬스터 X]]보다도 5km/h 가량 감속이 좋다. 우수한 감속과 유니크 바퀴가 만난다면, 매우빠름 채널 기준 '''톡톡이 340km/h'''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즌 패스 시즌 1에 나온 [[플라즈마 X EXT]]가 [[이클립스 X]]와 마찬가지로 헤어핀 감속이 120~127km/h 정도로 최하위권이라 그야말로 혹평 일색이었던 걸 생각해봤을 때 이번 카트바디는 시즌 제로 때 등장한 [[홍련 X]]처럼 가성비가 매우 뛰어나다. 차체 크기도 앞이 살짝 튀어나온 편이지만 옆쪽으로는 상당히 작은 편이라 한계까지 인코스를 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심지어 [[파라곤 X]]의 최대장점인 감속과 탄력 마저도 몬스터 X LE가 더 좋다. 게이지 충전량도 파라곤보다 10 높아서 살짝 앞서는 감속과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체감 게이지 충전량은 매우 높다.[* 오히려 몬스터 X LE보다 게이지 충전량이 20 높은 [[이클립스 X]]가 감속이 최하위권이라 게이지 충전량이 훨씬 좋은 정도다. 일각에서는 플라즈마 X EXT보다 게이지가 더 잘 찬다고 말할 정도다.] 안정성은 포레스트 아찔한 다운힐이나 비치 해변 드라이브 같은 구간에서 조금 흔들리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다만 어지간한 구간에선 크게 문제되지 않을 정도며, 접지력은 훌륭한 수준이라 감속 대비 매우 좋은 수준의 안정성·접지력이라고 볼 수 있다. 출시 초기에는 '''[[파라곤 X]]와 [[히페리온 X]]를 능가하는 카트바디가 드디어 등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X 엔진 특유의 파츠 시스템 때문에 카트바디의 특징들이 평준화 된 상황에서 차별점이 되는 감속, 안정성·접지력, 최고속도 등등이 모두 최상위의 스펙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입수 난이도도 시간과 노력만 들일 수 있다면 6,900원 만에 업그레이드 보석을 얻을 수 있는 만큼 매우 낮으며, 따라서 가성비마저 높은 역대급 혜자급 카트바디라는 평가도 받았다. [[긍정인|이중대]], [[이중선]], [[한상현]] 등의 카트 유튜버들은 몬스터 X LE 출시 첫 날 리뷰 영상에서 몬스터 X LE를 파라곤 X보다 더 높은 레벨에 두고 봐야 한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멘티스 9|전례]][[황금기사 9|처럼]] 멘티스나 기사 시리즈가 파라곤을 제치고 1대장을 탈환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몬스터 시리즈가 1대장 탈환한 것은 의외였다는 반응 또한 있다. [[뉴 몬스터]]의 전례로 인해 서민 카트바디 혹은 순방 카트바디 라는 인식이 깊게 박힌 몬스터 시리즈의 틀을 깨는 카트바디가 되겠다.[* 물론 일각에서는 뉴 몬스터를 대장급 최하층으로 보기도 한다. 과거 뉴 몬스터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프로게이머, 방송인별로 뉴 몬스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현재 파라곤 X와의 비교로는 몬스터 X LE가 '''근소 우위'''로 평가를 받는다. 포지션적으로는 좋은 감속으로 인해 '''러너형 카트바디''' 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리고 전혀 다른 운용법을 가진 [[골든 파라곤 SR-R]], [[골든 스톰 블레이드 X]]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다만 파라곤 X와 몬스터 X LE와 비교했을 때 몸싸움은 근소하게 파라곤 X가 앞선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안정성 및 운용법의 차이로 인해 [[히페리온 X]]와 [[골든 파라곤 SR-R]]이 더 우위인 트랙들이 있고, 아직은 유저들 사이에서 타기 편한 기존의 파라곤 X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성능상으로 근소 우위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으며, 시간이 지나고 몬스터의 드립감에 적응한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입지는 뒤바뀔 수 있다. 크로노스 X 출시 이후 크로노스 X가 1대장으로서 자리를 잡았지만 [[한상현]]이 핸들을 제외한 올 유니크 파츠를 단 몬스터 X LE와 크로노스 X를 비교 리뷰하며 몬스터는 컨트롤이 힘들지만 크로노스X보다 잠재력이 높고 빠르다고 평가했으며 유니크 파츠를 장착한 몬스터가 있다면 크로노스를 굳이 뽑지 않아도 된다고 결론내렸다. [[이중대]] 역시 유니크파츠를 장착한 몬스터가 더 좋을 것 같다는 암시를 했다. == 여담 == * 일반 [[몬스터 X(카트라이더)|몬스터 X]]는 중국 카트라이더에서 먼저 출시했지만 상위 버전의 이 카트바디는 한국 카트라이더에서 먼저 출시했다는 특징이 있다. * LE 버전 역시 이전 지우 엔진인 [[몬스터 9 W]]의 디자인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였다. [[몬스터 9 W]]에 X엔진 듀얼 부스터 노즐만 추가 시켰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 몬스터 시리즈 중 2번째로 LE가 붙었다. 첫번째는 중국서버에 마괴 HT+LE(뉴 몬스터 LE)가 이미 존재한다. 보통 순정 몬스터의 상위 모델은 W와 골든 시리즈인데, 이상하게 몬스터 X W나 골든 몬스터 X로 나오지 않고 몬스터 X LE로 나왔다. 이는 전에 나온 세이버 시리즈와 비슷한 행보를 걸은 셈인데, 세이버 카트바디의 상위 모델도 이전 엔진의 경우 [[뉴 골든 세이버 LE]], [[골든 세이버 9]]처럼 명칭에 LE, 골든 시리즈가 붙는 게 보통이었지만 X엔진에서는 [[드래곤 세이버 X]]라는 명칭으로 바뀌어 나왔기 때문. == 둘러보기 == [include(틀:몬스터 시리즈)] [include(틀:카트라이더 시즌패스 최종 보상)] == 관련 문서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 [[몬스터 9]] * [[몬스터 9 W]]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20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