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사성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비마니 시리즈의 수록곡, rd1=夢幻泡影)]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夢]]'''}}} || {{{+5 '''[[幻]]'''}}} || {{{+5 '''[[泡]]'''}}} || {{{+5 '''[[影]]'''}}} || || 꿈 몽 || 헛보일 환 || 거품 포 || 그림자 영 || [목차] == 개요 == [[사자성어]]. 꿈과 허깨비, 거품과 그림자와 같다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나타낸다. [[금강경]]의 마지막 사구게에서 사용된 문구로, 주로 불교 쪽에서 쓰인다. == 미디어에서 == * [[금강경]]의 마지막 사구게에서 등장한다. >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 > 일체의 삼라만상은 꿈이며 환상이고 물거품이며 그림자이니, 이슬과 같고 또 번개와 같다. 마땅히 이렇게 봐야 할 것이다. > - 금강경의 마지막 사구게 중. * [[유희왕]]에서는 발음이 같은 무한과 엮어서 [[무한포영]]이란 함정이 있다. 몽환포영의 덧없음을 무효화 효과로 표현했다. * [[동방영야초]]에서는 [[야쿠모 유카리]]의 [[야쿠모 유카리/스펠카드|라스트 워드로 등장]]한다. *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G]]의 퀘스트 중 '몽환포영'이라는 이름의, 키린 2마리를 결전장에서 때려잡아야 하는 퀘스트가 있다. 도망칠 곳이 없기에 난전이 강요되는 고난도의 퀘스트. * [[헤븐 번즈 레드]]의 주인공 [[카야모리 루카]]의 전용기 이름이다. *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 [[夢幻泡影]]. * [[제8일의 밤]]에서 감독이 주제로 채용하였으며, 영화 마지막에 상단의 사구게가 인용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금강경, version=191, title2=무한포영, version2=49, title3=야쿠모 유카리/스펠카드, version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