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붕괴3rd/플레이어블 캐릭터/기계]][[분류:붕괴3rd/플레이어블 캐릭터/십자가]][[분류:붕괴3rd/플레이어블 캐릭터/태생 S급]]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뫼비우스(붕괴3rd))] [include(틀:붕괴3rd 플레이어블 캐릭터/발키리 슈트)] [[파일:무한 우로보로스.png|width=600&align=center]] ||
'''{{{#fff 이름}}}''' || '''무한·우로보로스'''(无限·噬界之蛇) || || '''{{{#fff 속성}}}'''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px; vertical-align: middle" [[파일:기계속성.png|width=35]][br]'''{{{#00D8FF 기계}}}'''}}} || || '''{{{#fff 특성}}}'''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px; vertical-align: middle" [[파일:붕괴3rd_뇌전 대미지.png|width=30]][br]뇌전 대미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px; vertical-align: middle" [[파일:붕괴3rd_시공.png|width=30]][br]시공}}}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px; vertical-align: middle" [[파일:붕괴3rd_대공.png|width=30]][br]대공}}} || || '''{{{#fff 최초[br]등급}}}''' || [[파일:태생S.png|width=40]] || ||<|2> '''{{{#fff 리더[br]스킬}}}''' || '''무한을 초월한 운명''' [br] 파티원 원거리 공격의 모든 대미지가 '''{{{#00c3ff 27.0%}}}''' 증가하고, 전장에 소환물 생성 시, 파티원 캐릭터들의 뇌전 원소 대미지가 '''{{{#00c3ff 30.0%}}}'''증가한다. 지속 시간 : 25초(갱신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8b89b556a2fe34a3ce7d38a3c3cf95b51b0832b6.jpg|width=6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BsHUXSQE-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MHq-wTT3lM)]}}}||{{{#!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CKBvdCQIlQ)]}}} || || '''공식 캐릭터 가이드[br]{{{-1 나레이터: [[엘리시아(붕괴3rd)|{{{#fff,#000 엘리시아}}}]] {{{#fff,#000 (CV.[[이노우에 마리나|{{{#fff,#ddd 이노우에 마리나}}}]])}}}}}}''' || '''공식 캐릭터 프리뷰''' || '''공식 캐릭터 PV- 「숲속 산책」''' || [[뫼비우스(붕괴3rd)|뫼비우스]]의 태생 S랭크 발키리 슈트. [[과거의 낙원]] 제1장 막바지에 등장했으며, 과거의 낙원 컨텐츠에서 최상층 히든 보스로도 등장한다. 인게임에는 5.2버전 [무한한 운명]에서 [[한밤의 압생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약칭은 그냥 캐릭터 이름인 뫼비우스,뫼비로 불린다.[* 무한 우로보로스라는 명칭 자체가 줄이기 애매하다는 점도 있고, 뫼비우스의 유일한 플레이블 캐릭터이기 때문에 굳이 다른 줄임말을 찾지 않아도 충분히 구분이 가능하다.] 불을 쫓는 나방 소속의 연구자이자 융합 전사 서열 10위로, '''무한(无限)''' 각인의 주인. '''심판급 붕괴수 셰샤'''[* 인도신화에서 세상의 시작과 멸망에만 나타나는 나가의 왕 아난타의 본명이며, 그 뜻은 '''무한'''이다. 구 문명에서는 제3율자와 함께 탄생한 뱀 형태의 붕괴수로, 뫼비우스는 이를 직접 제압해 유전자를 이식하는 것으로 번개 속성과 부활 능력을 얻었다. 하지만 빠른 재생을 위해서는 막대한 붕괴능이 요구되며, 부활 능력을 사용할 때마다 나이가 감소하고 기억이 소실되는 패널티가 있다.]의 유전자를 이식했다. 현 문명의 최대 조직의 하나인 요르간문드의 실질적인 주인이기도 하며, 요르간문드의 설립부터 성흔 계획의 전승까지 그 모든 것이 뫼비우스의 창조물이라고 언급된다.[* 이때문에 낙원 속의 기억체 케빈은, 요르간문드의 실질적인 주인이 뫼비우스이기 때문에 과거의 낙원의 현재 주인 역시 뫼비우스이며, 과거의 낙원에서의 모든 정보는 뫼비우스에게 들어간다고 언급한다.] 본래는 연구자 출신이라서 다른 영웅들에 비해 직접적인 전투 능력은 떨어지지만, 퓨전 솔저 중 유일하게 '''인공 붕괴'''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전투에서는 [[율자]]에 버금가는 막강한 힘을 지니고 있다. 과거의 낙원 제2장 막바지에는 인공 붕괴를 사용해 [[번개의 율자]]의 힘을 사용하는 메이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메이 본인 스스로도 엘리시아의 도움이 없었다면 뫼비우스의 계획대로 흘러갔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인게임 상에서는 원거리 뇌전 원소 딜러 포지션으로, 인공 붕괴를 자유자재로 사용한다는 설정을 반영해서인지 필살기 사용 시에는 인공 붕괴 상태로 변신해 전투한다. 화려한 모델링과 막강한 성능으로 출시 직후 곧바로 다양한 컨텐츠에서 티어권 캐릭터로 크게 활약했으며, 뫼비우스의 독특한 캐릭터성으로 플레이어들에게 인기도 높은 편이다. == 스킬 == * 모든 스킬은 스킬 레벨 '''{{{#FFC741 MAX}}}'''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ffffff 기술}}}''' || '''{{{#ffffff 이름}}}''' || '''{{{#ffffff 발동 조건}}}''' || '''{{{#ffffff 효과}}}''' || ||<|3> '''{{{#fff 기본 공격}}}''' || 세계를 삼키는 어둠 || 공격 버튼 || [세계를 삼키는 그림자]를 발동해 응집된 가시로 원거리 공격하고, 소량의 마비 게이지를 누적한다.[br] {{{#00c3ff 기본공격:[br]제1격 : 공격력 80%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 [br]제2격: 공격력 40%*3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br]제3격: 공격력 100%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br]제4격: 공격력 12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br][br]기본 공격 앞3격 도중 회피해도 다음 단계 공격을 이어갈 수 있다.}}} || || 그림자에 깃든 메마른 마음 || [*S S해금스킬][*SS2 SS2해금스킬] || [탐식자의 영역] 미활성화 시, 분기 공격과 연계되는 강화 기본 공격이 적에게 적중하면 SP를 '''{{{#00c3ff 7.0}}}'''pt 회복한다. || || 불사의 그림자 의복 || - || 기본 공격 제3,4격의 경직 저항력이 증가하고, 그 기간 받는 모든 대미지가 '''{{{#00c3ff 30.0%}}}''' 감소한다. || || '''{{{#fff QTE}}}''' || 세계를 포식하는 이빨 || ON/OFF[br]교대 버튼 || 적이 시공 감속 또는 3초 이내 '''{{{#00c3ff 15}}}'''회 피격 시 발동해 2*('''{{{#00c3ff 400.0%}}}'''+'''{{{#00c3ff 10.0%}}}'''*1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고, [기원의 씨앗]을 1개 회복하며, [X]의 창조물을 1개 생성한다. [br]QTE가 적에게 적중하면, 자신이 가하는 뇌전 원소 대미지가 45% 증가하고, 전장의 적이 자신에게 받는 뇌전 원소 대미지가 16% 증가한다(해당 효과는 독립적으로 부여된다). 지속 시간: 16초. 중복 발동 시 지속 시간이 갱신된다. || ||<|4> '''{{{#fff 특수 공격}}}''' || 분기-파멸의 비늘 || 필살기 버튼 || [우로보로스]의 신체 일부를 방출해 공격한다.[br] {{{#00c3ff 분기 공격:[br]제1격: 공격력 150%+17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고, 발동 후 공격 버튼을 누르면 강화 기본 공격을 이어서 발동해 공격력 17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br]제2격: 공격력 37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고, 발동 후 공격 버튼을 누르면 이어서 강화 기본 공격을 발동해 공격력 17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br]제3격: 공격력 42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고, 발동 후 공격 버튼을 누르면 강화 기본 공격을 이어서 발동해 공격력 17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br]분기 공격 발동 후 5초 이내 다음 분기 공격을 이어서 발동할 수 있다. 5초를 초과할 경우 다음 분기 공격이 제1격으로 초기화된다.[br][br]분기 공격은 회피 후에 짧은 시간 동안 강화 기본 공격을 이어서 발동할 수 있다.[br][br]강화 기본 공격 기간, 캐릭터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실드를 획득해 공격을 1회 막아낸다.[br][br]분기 공격 제1격은 20초간 [X]의 창조물[소환물]을 1개를 생성해 주변 적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며, 천천히 주변 적을 끌어당긴다. 중복 발동 시 [X]의 창조물의 지속 시간이 갱신된다.}}} || || 무형의 검은 가시 || - || 분기 공격의 모든 대미지가 '''{{{#00c3ff 25.0%}}}''' 증가하고, 그 기간 받는 모든 대미지가 '''{{{#00c3ff 60.0%}}}''' 감소한다. || || 독의 입맞춤 || [*SS SS해금스킬] || 분기 공격의 모든 대미지가 '''{{{#00c3ff 15.0%}}}''' 증가하고, 공격이 적에게 적중할 때마다 SP를 '''{{{#00c3ff 0.8}}}'''pt 회복한다. || || 응시하는 검은 눈동자 || [*S][*S1 S1해금스킬] || 분기 공격이 적에게 적중 시 '''{{{#00c3ff 3.5초}}}''' 동안 분기 공격이 가하는 뇌전 원소 대미지가 '''{{{#00c3ff 25.0%}}}''' 증가한다. '''{{{#00c3ff 2}}}'''스택 중첩 가능. 중복 발동 시 지속 시간이 갱신되며, 필살기 발동 후 최대 스택을 획득한다. || ||<|4> '''{{{#fff 필살기}}}''' || 무너져 사라진 마음 || SP 100[br]필살기 버튼 길게 누르기 || 완전한 [우로보로스] 형태로 변해, 넓은 범위의 강력한 공격을 발동한다.[br]{{{#00c3ff SP 소모:100, 재사용 대기시간: 20초[br]우로보로스 형태가 되어 넓은 범위의 낙뢰 공격을 발동해 공격력 420%*5+50%*3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고, [기원의 씨앗]을 최대로 회복하며, [탐식자의 영역]을 전개한다. 지속 시간: 12초.[br][탐식자의 영역] 지속 기간, 캐릭터의 뇌전 원소 대미지가 25% 증가하고, 분기 공격과 연계되는 강화 기본 공격이 분출 공격으로 변경되어 공격력 110%*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며, 적 적중 시 [기원의 씨앗]을 1개 회복한다.[br][br]필살기 발동 시 캐릭터가 정체 영역 효과를 발동해 캐릭터와 적의 스킬 효과 및 스테이지의 카운트가 정지한다.}}} || || 무너진 진리 || - || [탐식자의 영역] 지속 기간, 필살기 또는 분기 공격에 적중한 최대 5명의 적이 링크된다. 그 기간 해당 캐릭터의 분기 공격, 필살기 또는 강화 기본 공격의 대미지가 '''{{{#00c3ff 16.0%}}}'''의 비율로 링크된 적에게 전이된다.(HP 감소 효과). [탐식자의 영역] 지속 기간, 캐릭터의 분기 공격 배율이 '''{{{#00c3ff 360.0%}}}''' 증가한다. || || 망자의 고집 || [*S2 S2해금스킬] || [탐식자의 영역] 지속 기간, 분기 공격과 연계되는 강화 기본 공격 및 분출 공격의 뇌전 원소 대미지 배율이 '''{{{#00c3ff 50.0%}}}'''*5 증가한다. || || 산 자의 조소 || [*S][*SS1 SS1해금스킬] || 필살기의 모든 대미지가 '''{{{#00c3ff 40.0%}}}''' 증가하고, [탐식자의 영역] 내 적의 공격 속도가 '''{{{#00c3ff 20.0%}}}''' 감소한다. || ||<|3> '''{{{#fff 회피}}}''' || 유화에 숨은 그림자 || 회피 버튼 || 빠르게 공격을 회피한다. 2번 연속 회피할 수 있다.[br]{{{#00c3ff 극한 회피 성공 시 3초 동안 전체 시공 단열을 발동한다. 재사용 대기시간: 10초. 동시에 캐릭터는 잠행 상태에 진입한다. 잠행 상태에서 공격 버튼을 누르면 분출 공격을 발동해 공격력 110%*5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 적 적중 시 [기원의 씨앗] 1개를 회복하며, 잠행 상태는 최대 2.5초간 지속된다.}}} || || 대제의 위신 || [*SSS SSS해금스킬] || [X]의 창조물 지속 기간, 전장의 적이 받는 모든 대미지가 '''{{{#00c3ff 5.0%}}}''' 증가하고, [X]의 창조물의 생성, 갱신 및 지속 시간 종료 시, 주변 적에게 '''{{{#00c3ff 150.0%}}}''' 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 || || 조용한 살의 || - || [X]의 창조물 지속 기간, 캐릭터 공격 속도가 '''{{{#00c3ff 30.0%}}}''' 증가하고, 전장의 적이 받는 뇌전 원소 대미지가 '''{{{#00c3ff 25.0%}}}''' 증가한다. || ||<|4> '''{{{#fff 패시브 스킬}}}''' || 영생불멸의 저주 || - || {{{#00c3ff [기원의 씨앗] : 최대 3개이며, 분기 공격을 발동할 때마다 1개를 소모하고, 기본 공격 제4격이 적에게 적중 시 1개를 회복한다.}}} || || 진화의 기원 || - || 전투 중 초기 SP가 '''{{{#00c3ff 36.0}}}''' 증가하며, 오픈 월드에서는 10분에 한 번씩 발동한다. || || 재앙의 순환 || - || 적 처치 시 HP를 '''{{{#00c3ff 80.0}}}''' 회복하고, [기원의 씨앗]을 1개 회복한다. || || 익사의 심연 || - || [탐식자의 영역] 내 적이 해당 캐릭터에게 받는 뇌전 원소 대미지가 '''{{{#00c3ff 20.0%}}}''' 증가한다(해당 효과는 독립적으로 부여된다). || || '''{{{#fff 리더 스킬}}}''' || 무한의 무덤 || [*S][*S3 S3해금스킬][*SS3 SS3해금스킬] || 파티원 원거리 공격의 모든 대미지가 '''{{{#00c3ff 27.0%}}}''' 증가하고, 전장에 소환물 생성 시, 파티원 캐릭터의 뇌전 원소 대미지가 '''{{{#00c3ff 30.0%}}}''' 증가한다. 지속 시간: 25초(갱신 가능) || || '''{{{#fff 파티 스킬}}}''' || 무한의 운명 || - || 파티원이 가하는 뇌전 원소 대미지가 25% 증가한다. 지속 시간 : 10초 || == 성능 == [[제레 발레리/염야성연|염야성연]] 이후 두번째로 '''전이 피해''' 효과를 들고나온 캐릭터로, '''[기원의 씨앗]'''이라는 특수 스택을 사용하는 분기 공격과 분기 공격에서 연계되는 강화 기본 공격을 주력으로 전투한다. [기원의 씨앗]은 평타4격,QTE,회피스킬,필살기,적 처치 시 회복이 가능하며, '''분기 공격은 [기원의 씨앗]을 1개 소모해야지만 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용에 있어 [기원의 씨앗]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필살기는 발동 시 정체 영역 효과(타임 스탑)을 발동해 '''2,250%'''의 뇌전 원소 피해를 입히고, 우로보로스(인공 붕괴) 형태로 변신해 12초 동안 '''[탐식자의 영역]'''을 전개한다. [탐식자의 영역] 전개 기간 동안 각종 버프 효과를 받아 공격 능력이 대폭 상승하며, '''특히 필살기나 분기 공격이 적중한 적을 링크시켜 전이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탐식자의 영역] 전개 상태에서는 강화 기본 공격이 분출 공격으로 변경되어 공격 적중 시 [기원의 씨앗]을 1개 수급하기 때문에 필살기 지속 시간 동안 계속해서 분기 공격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QTE 등장 → 필살기로 [탐식자의 영역] 전개 → 분기 공격(B)+강화 기본 공격(A)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식으로 운용한다. 공격 사이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등장 시 반드시 QTE로 나와줘야 한다는 점으로, QTE는 계수도 1,100%로 매우 높을 뿐만이 아니라 사용 시 자신의 뇌전 대미지 증가 45%+적이 받는 뇌전 대미지 증가 16%의 강력한 강화 효과까지 제공해주기 때문에 등장 시에는 반드시 QTE로 나와주는 편이 좋다. QTE+필살기 사용만으로도 3,350%의 피해를 주는데다가, 이어지는 분기 공격+강화 기본 공격은 전이 피해 효과까지 있기 때문에 1:1이든 다수전이든 매우 높은 DPS를 보여줄 수 있다. 약점은 공격 성능이 전적으로 필살기에 몰려있다는 점으로, 전이 피해 효과를 포함한 대부분의 강화 효과가 [탐식자의 영역] 전개 상태에서만 적용되기 때문에 SP의 순환이 운용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문제는 SP를 빠르게 수급하기 위해서는 분기 공격을 계속 사용해줘야 하는데, 기본 상태에서는 [기원의 씨앗] 획득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분기 공격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약점이 있어[* 처음 시작 시 제공되는 3개와 QTE 사용으로 제공되는 1개를 제외하면 평타 또는 회피 스킬로 수급해야 하는데, 평타 성능이 낮은 편이라서 평타로 수급하기에는 타임 손실이 지나치게 크다.] 실전에서는 SP 압박을 상당히 크게 받는 편이다.[* 이때문에 다른 의미로 서포터에 대한 의존도 매우 높은데, 다른 캐릭터들은 화력 보조적인 의미에서 서포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면 뫼비우스의 경우는 SP의 수급에 있어 서포터의 보조를 많이 받는다.] 높은 피해량+전이 피해 효과를 바탕으로 출시되자마자 기존의 뇌전 1티어 딜러인 [[번개의 율자]]와 먼저 출시된 [[염야성연]] 모두를 밀어내고 기억 전장,심연,과거의 낙원 컨텐츠를 석권했으며, 게임 환경 역시 뫼비우스에게 매우 유리했기 때문에 다른 티어권 캐릭터들을 압도하는 막강한 성능을 선보였다.[* 신규 보스인 [[안드리우스|울프의 영주]]가 뫼비우스 이외에는 처리 불가능할 정도로 굉장히 까다로운 보스였던데다가, 메인 컨텐츠의 하나로 떠오른 과거의 낙원은 집단전을 메인으로 하는 컨텐츠라서 뫼비우스에게 매우 유리했다.] 다만, 사이클 순환상의 약점이 매우 뚜렷한 캐릭터이기 때문에 이후 사이클 회전력이 매우 높은 딜러들이 여럿 출시되면서 상위 티어에서는 밀려나게 되었다. 출전 가능한 전장에서는 여전히 높은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지만, 사용처가 많이 줄었기 때문에 현재는 우선도가 많이 낮다. === 기억 전장 === ||
'''{{{#fff 출전 BOSS}}}''' || || [[파일:ff073ed77eb.png|width=300&align=center]] [br] '''SSS 북풍의 왕랑''' || 낮은 시공 능력과 높은 필살기 의존도 때문에 기억 전장에서 활약하기 어려울 것 같지만, 의외로 SS기억 전장은 뫼비우스의 주요 활약처이다. 자체 패시브로 초기 SP를 36이나 제공받을 수 있어 [[뇌전 여왕의 귀신 갑주]](귀메이)의 리더 스킬 지원을 받으면 빠르게 SP 100을 수급할 수 있고, 높은 계수의 QTE와 필살기 사용 시에 정체 영역 효과(타임 스탑)를 받고 2,250%의 피해를 입힐 수 있어 서포터 버프 → 뫼비우스 QTE 필살기 B... 만으로도 SS기억 전장의 보스를 잡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뇌전 캐릭터라서 귀메이의 리더 스킬 효과를 받음과 동시에 서포터로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슷한 타입의 다른 딜러들과 비교해서 활용성이 높다.[* 기억 전장에서 필살기 의존도가 높은 캐릭터가 활약하기 어려운 이유중 하나가 귀메이 리더 스킬을 활용할 경우 서포터 1칸을 비워놓는 것이나 다름 없다는 패널티 때문인데, 뇌전 딜러인 뫼비우스는 이러한 패널티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다른 필살기(폭발) 타입 캐릭터들보다 높은 딜량을 보이는 것이 가능하다.] SSS랭크 기억 전장에서는 활용성이 많이 떨어진다. 아무래도 기억 전장은 컨텐츠 특성상 SP 수급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데, 필살기 1사이클로도 끝낼 수 있었던 SS기억 전장과 달리 SSS기억 전장은 필살기를 여러번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사이클 순환에 약점이 있는 뫼비우스가 활약하기 어렵다. 출전 가능한 SSS보스는 [[안드리우스|북풍의 왕랑]] 하나 뿐이며, 그마저도 패턴이 지나치게 까다로운 보스라서 뫼비우스가 있더라도 고점을 뽑기가 쉽지 않다. 이후 [[번개의 율자]](속죄의 칠뢰)와 [[종언의 율자]]가 북풍의 왕랑 최고점을 갱신하면서 SSS기억 전장에서는 사실상 출전하지 않는다. === 무한의 심연 === ||<-3>
'''{{{#fff 출전 BOSS}}}''' || || [[파일:ff073ed77eb.png|width=200&align=center]] [br] '''뇌전 - 북풍의 왕랑''' || [[파일:ff073ed77eb.png|width=200&align=center]] [br] '''상성 - 북풍의 왕랑''' || [[파일:0a654585971.png|width=200&align=center]] [br] '''전쟁광 - 호무 마법사''' || || [[파일:20044080694.png|width=200&align=center]] [br] '''전쟁광 - 군괴(망자&타이탄)''' || 초끈공간에서는 뇌전 테마 - 북풍의 왕랑, 상성 테마 - 북풍의 왕랑, 전쟁광 테마 - 호무 마법사,군괴(망자&타이탄)를 상대로 출전할 수 있다. 뇌전 테마 북풍의 왕랑은 사실상 경쟁자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뫼비우스의 독주 테마이며, 전이 피해 효과가 있어 전쟁광 테마에서 다른 경쟁 캐릭터들보다 유리한 부분이 있다. 전반적으로 심연 컨텐츠에서는 활약하기 좋은 편으로, 심연에서는 시작시 SP 90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SP 부담이 비교적 덜하며, 전이 피해 효과로 집단 섬멸 능력이 높아 일반 층계에서도 매우 유리한 전투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DPS 자체가 매우 높기 때문에 뇌전 반감만 아니라면 다른 테마에서도 활약하기 나쁘지 않은 편이다. 다만, 보스전은 대부분 1:1이기 때문에 SP 수급량이 제한적이라서 상성상 유리한 뇌전 테마 - 북풍의 왕랑과 전쟁광 테마를 제외하면 그 외의 보스를 상대로는 고점 경쟁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이후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면서 뫼비우스의 DPS에 비견되면서도 높은 순환 능력을 지닌 캐릭터들이 많이 출시되었고, 보스의 숫자가 많이 늘어나면서 뫼비우스가 고점을 뽑을 수 있는 보스들의 등판률이 낮아졌기 때문에 현재는 입지가 많이 애매한 편이다.[* 기존의 전용 테마 취급이었던 전쟁광 테마에서도 [[종언의 율자]]와 경합하거나 살짝 밀리기 때문에 사실상 확실하게 출전하는 보스는 북풍의 왕랑 하나 뿐이다.] === 과거의 낙원 === ||<-2>
'''{{{#ffffff 특수 조정}}}''' || || '''{{{#fff 영웅의 운명}}}''' || 도전을 시작할 때마다 [진아]의 각인을 추가로 1개 선택할 수 있다. || || '''{{{#fff 회피 스킬 조정}}}''' || 일반 회피로 극한 회피 스킬을 발동할 수 있다. 잠행 출현 시, 대미지를 3회 막는 실드를 획득한다. || ||<-2> '''{{{#ffffff [진아]의 각인}}}''' || || '''{{{#ffffff 각인}}}''' || '''{{{#ffffff 효과}}}''' || || '''{{{#fff [암습]의 축복}}}''' || 기본 공격(분기와 차지 포함)의 뇌전 원소 대미지가 '''{{{#00c3ff 50%}}}''' 증가하고, 링크된 적이 받는 기본 공격(분기와 차지 포함) 대미지가 '''{{{#00c3ff 15%}}}'''의 비율로 링크 상태의 적에게 전이된다. || || '''{{{#fff [유영]의 축복}}}''' || 극한 회피 스킬로 발동한 잠행 기간, 0.25초마다 범위 내 적에게 '''{{{#00c3ff 250%}}}'''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고, 적이 받는 모든 대미지가 '''{{{#00c3ff 40%}}}''' 증가한다. 지속 시간: 8초 || || '''{{{#fff [식계]의 축복}}}''' || 극한 회피 스킬로 발동한 잠행 출현 시, 넓은 범위의 충격 대미지를 1회 발동해 '''{{{#00c3ff 2000%}}}'''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하고, 적중한 적은 5초간 받는 분기 공격 대미지가 '''{{{#00c3ff 35%}}}''' 증가한다(해당 효과는 독립적으로 부여된다). || || '''{{{#fff [악류]의 축복}}}''' || 필살기의 뇌전 원소 대미지가 '''{{{#00c3ff 300%}}}''' 증가한다. [기원의 씨앗]을 1개 소모할 때마다 필살기 재사용 대기시간이 '''{{{#00c3ff 1}}}'''초 감소한다. || || '''{{{#fff [득신]의 축복}}}''' || 탐식자의 영역이 존재하는 동안 모든 적에게 매초 낙뢰 공격을 1회 발동해 공격력 '''{{{#00c3ff 800%}}}'''의 뇌전 원소 대미지를 가한다. 해당 대미지는 기본 공격으로 간주한다. || 진아 각인은 '''「악류」'''+'''「득신」'''으로 시작한다. 보통은 여기에 추가적으로 '''「암습」'''까지 집어주는 것이 추천되지만, 악류+득신만으로도 기본적인 사이클이 완성되기 때문에 1층 이후 진아 각인 의존도는 낮은 편이다. 다만, 그렇다고 나머지 진아 각인 효과가 안좋은 건 아니라서, 진아 4성 증명 아이템(너로 인한 이야기)으로 7층에서 4진아를 맞추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일반 각인은 '''「무한」'''을 중심으로 「번성」,「오멸」,「부생」,「환몽」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공격 시 지속적으로 소환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무한 코어1 각인과의 시너지가 매우 좋으며, 액티브,필살기,극한 회피를 반복적으로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번성 각인과도 궁합이 좋다. 공격 도중에는 반쯤 무적 판정이라서 부생, 오멸 각인 역시 사용하기 나쁘지 않은 편. 그 외에 「구원」이나 「계율」 각인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은 무한 코어1 증폭+번성 증폭 각인을 우선적으로 집으면 이후에는 각인 여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증폭 각인까지 집어줘야 효율이 나오는 구원이나 계율은 잘 선택되지 않는다. 전이 피해 효과와 「득신」 각인의 높은 피해량을 바탕으로 집단 섬멸 능력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낙원 컨텐츠에서는 초창기부터 최상위권 강캐로 활약했다. 특히, 사용 조건이 난해한 무한 각인을 사실상 무조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캐릭터라서, 무한 각인의 높은 대미지 증가 버프를 받으면서도 각인 리트률은 낮은 편이다.[* 초반에 2진아로 시작하는만큼 1층 진아 리트의 필요성이 낮고, 무한 각인의 증폭 각인까지 모두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한 코어 각인 선택 이후로도 각인 선택지를 고민할 이유가 적다.] 덕분에 컨텐츠 초창기에는 뫼비우스의 압도적인 낙원 퍼포먼스를 따라올 수 있는 캐릭터가 없어 별명이 '''낙원의 주인'''[* 과거의 낙원 스토리 제1장에서 케빈의 기억체가 현재 과거의 낙원은 뫼비우스가 진짜 주인이라는 식으로 언급하면서 해당 명칭이 고착화되었다.]이었다. 이후 [[진아·인간의 율자]]가 단편 애니메이션+뫼비우스를 압도하는 낙원 퍼포먼스로[* 기본 피해량부터 진아가 더 높은데다가, 낙원 특수 조정 효과로 진아는 일반 각인을 +1레벨로 획득한다.] 낙원의 주인 타이틀을 가져가기는 했지만, 여전히 낙원에서는 사용하기 괜찮은 상위권의 캐릭터이다. == 추천 파티 == ||<-2>
'''{{{#fff 인게임 추천 파티}}}''' || || '''{{{#fff 추천 조합 1}}}''' || '''{{{#fff 추천 조합 2}}}''' || || [[리타 로스바이세/로스트 로즈마리|[[파일:로스트 로즈마리icon.png|width=50&align=center]]]] [[리타 로스바이세/로스트 로즈마리|'''로스트 로즈마리''']] [br] {{{#00c3ff 추천}}} {{{#ffc741 ★★★★★}}} [br] {{{#00c3ff 특수 공격 - 신을 삼킨 자}}} 파티원에게 원소 대미지 증가 효괴를 제공한다. || [[피슬(붕괴3rd)/단죄의 황녀!!|[[파일:404b3498085c5e2a6758a95c868ccf51c4f6b7623dd967f4cae6c4d1ae38abd7_T7bRIv3MwUniKKQS.png|width=45&align=center]]]] [[피슬(붕괴3rd)/단죄의 황녀!!|'''단죄의 황녀!!''']] [br] {{{#00c3ff 추천}}} {{{#ffc741 ★★★★★}}} [br] {{{#00c3ff 필살기 - 암야의 환상}}} 긴 시간의 보조 지원 효과를 제공한다. || == 추천 장비 == ||<-4>
'''{{{#fff 인게임 추천 장비}}}''' || || || '''{{{#fff 추천 (초급)}}}''' || '''{{{#fff 고급 추천}}}''' || '''{{{#fff 초급 추천}}}''' || || || '''{{{#fff ✦ 효율적인 초반 과도기 장비}}}''' || '''{{{#fff ✦ 레어 장비}}}''' || '''{{{#fff ✦ 중급 추천}}}''' || || '''{{{#ffffff 무기 추천}}}''' || [[붕괴3rd/십자가/베이스 3성#s-1.3|[[파일:낙뢰의 천사.png|height=150=center]]]] [[붕괴3rd/십자가/베이스 3성#s-1.3|[낙뢰의 천사]]] [br] 뇌전 원소 대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충 || [[붕괴3rd/십자가#s-6.3|[[파일:2ef2017cc96.png|height=150=center]]]] [[붕괴3rd/십자가#s-6.3|[과거의 뱀 그림자·죽음의 의복]]] [br] 뇌전 대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충, 분기 공격 대미지 증가 || [[붕괴3rd/십자가/베이스 4성#s-1.3|[[파일:은색 처단자.png|height=150=center]]]] [[붕괴3rd/십자가/베이스 4성#s-1.3|[은색 처단자]]] [br] 액티브 스킬이 강력해 더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다 || || '''{{{#ffffff 성흔(상) 추천}}}''' || [[붕괴3rd/성흔/3성/세트#s-1.7|[[파일:d0af8bd3430.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3성/세트#s-1.7|에디슨]] [br] {{{#00c3ff [성흔]}}} 뇌전 원소 대미지 증가 || [[붕괴3rd/성흔/4성/세트#s-2.31|[[파일:1656394920846.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4성/세트#s-2.31|린네]] [br] {{{#00c3ff [성흔]}}} 뇌전 원소 대미지 제공, SP 회복 || [[붕괴3rd/성흔/4성/세트/단조 성흔#s-2.13|[[파일:d86e60a4205.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4성/세트/단조 성흔#s-2.13|다윈]] [br] {{{#00c3ff [성흔]}}} 뇌전 원소 대미지 증가 || || '''{{{#ffffff 성흔(중) 추천}}}''' || [[붕괴3rd/성흔/3성/세트#s-1.7|[[파일:a908290eac5.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3성/세트#s-1.7|에디슨]] [br] {{{#00c3ff [성흔]}}} 모든 대미지 증가 || [[붕괴3rd/성흔/4성/세트#s-2.31|[[파일:1656394922756.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4성/세트#s-2.31|린네]] [br] {{{#00c3ff [성흔]}}} 뇌전 원소 대미지 증가, SP 회복 || [[붕괴3rd/성흔/4성/세트/단조 성흔#s-2.13|[[파일:b7ce36890d8.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4성/세트/단조 성흔#s-2.13|다윈]] [br] {{{#00c3ff [성흔]}}} 모든 대미지 증가 || || '''{{{#ffffff 성흔(하) 추천}}}''' || [[붕괴3rd/성흔/3성/세트#s-1.7|[[파일:4af2f713ad0.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3성/세트#s-1.7|에디슨]] [br] {{{#00c3ff [세트 효과]}}} 뇌전 원소 대미지 증가 || [[붕괴3rd/성흔/4성/세트#s-2.31|[[파일:1656394924153.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4성/세트#s-2.31|린네]] [br] {{{#00c3ff [세트 효과]}}} 원거리 대미지 증가, 소환물의 수량에 따라 추가 보너스 획득 || [[붕괴3rd/성흔/4성/세트/단조 성흔#s-2.13|[[파일:b277c611313.png|height=150=center]]]] [br] [[붕괴3rd/성흔/4성/세트/단조 성흔#s-2.13|다윈]] [br] {{{#00c3ff [세트 효과]}}} 뇌전 원소 대미지 증가 || *'''종결 성흔''' *'''린네''' : 무한·우로보로스와 함께 출시된 전용 성흔으로, 소환물에 따른 강화 효과를 제공한다. 공격 시 지속적으로 소환물을 생성하는 뫼비우스는 성흔의 강화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높은 피증 효과와 더불어 추가적인 SP 수급 효과까지 있어 여러모로 뫼비우스에게는 최적의 성흔이다. *'''준종결 성흔''' *헨델 : 만상허경 G4 단조 성흔. 본래는 [[에덴(붕괴3rd)/황금·찬란한 노래|에덴]]의 전용 성흔이지만, 범용성이 높은 성흔이라서 뫼비우스 역시 사용하기 괜찮다. 단순 DPS만 따지면 린네의 약 90% 정도 성능이 나오며, 추가적인 SP 수급 효과도 있어 린네의 대체 성흔으로 가장 적합한 편. *이시카와 고에몬 : 만상허경 G3 단조 성흔. 분기 공격 사용 시 강화 효과를 제공해준다. 다만, 지속 시간이 짧고 추가적인 SP 수급 효과가 없어 린네나 헨델과 비교해서는 성능이 많이 떨어진다. ---- *'''종결 무기''' *'''과거의 뱀 그림자'''&'''과거의 뱀 그림자·죽음의 의복''' : 무한·우로보로스와 함께 출시된 전용 무기. 높은 뇌전 대미지 증가 효과와 뫼비우스가 사용 시 [기원의 씨앗]을 추가적으로 수급해주는 효과가 있다. 전반적으로 전용 무기에 걸맞는 고성능 무기로, 특히 [기원의 씨앗]을 추가 수급하는 효과는 사이클에도 제법 영향을 주는 효과라서 전용 무기의 위상은 높은 편이다. 애초에 전용 무기를 제외하면 달리 사용할만한 초월 십자가 무기가 없기도 하고. *'''준종결 무기''' *유다의 서약 : 신의 열쇠 무기로, 공격 시 적에게 표식을 새겨 추가적인 뇌전 대미지를 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추가 대미지 소스 효과는 매우 강력한 편이지만, 대미지 증가 효과는 없고 초월 무기가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전용 무기와 비교해서 많이 밀린다. 다만, 초기에는 기억 전장 보스인 [[안드리우스|북풍의 왕랑]]을 상대로 대미지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들어가는 버그가 있어 SSS기억 전장 한정으로 종결 무기 취급이었다. 현재는 버그가 수정되기도 했고, SSS기억 전장에서 뫼비우스의 입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 캐릭터 코스튬 == ||<-2>
{{{#fff ★★★★★}}}[br]'''{{{#ffffff {{{+1 용궁 소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aughter_of_Corals_(Figure).png|width=100%]]}}} || || '''스토리''' || "백합 화환? 흑진주 흑진주 펜던트? 석화로 포인트를 준 타이트한 롱스커트? No, No, No! 그녀에겐 쓸데없는 물건일 뿐이다. 보아라, 그녀의 손짓 한번에 파도가 밀려와 여름을 흠뻑 적신다!" || || '''입수 방법''' || [바다의 노래] 코스튬 보급에서 획득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코스튬 소개 영상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h1TAjENBw0)]}}} ||}}}}}}}}} || ||<-2>
{{{#ffc741 ★★★★}}}[br]'''{{{#ffffff {{{+1 작열하는 사력}}}}}}'''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corching_Gravel_(Figure).png|width=100%]]}}} || || '''스토리''' || "타오르는 태양, 끝없는 사막..." "시원한 밤에만 들을 수 있는 소녀의 속삭임이 귓가에 들려온다..." "⸺어때? 지금 네 모습이랑 잘 어울리지 않아? 응, 뭐라고 했어? 잘 안 들려~" "몇 번을 말해야 하는 거야, 촬영 금지라고!" || || '''입수 방법''' || [천궁야행록] 이벤트 참여시 획득 가능 || == 기타 == *본래 모습은 정상적인 성인 여성의 체형이었지만, 융합 전사 시술의 부작용과 셰샤의 부활 능력을 과도하게 사용한 반동으로 어린 아이의 체형이 되었다. 이로인해 과거 구문명 시절에는 칼파스의 사생아 소문이 돌기도 했다.[* 칼파스의 방에서 뫼비우스를 닮은 어린 여자아이가 웃으면서 나왔다는 목격담에 얽힌 이야기로, 실제 진실은 뫼비우스 본인의 재생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서 칼파스를 도발하러 간거였다.] 본인 역시 이러한 유아 체형을 은근히 신경쓰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의외로 치장에 관심이 많다. 엘리시아 말로는 신체 나이에 따라 머리핀의 색이나 머리 스타일이 바뀐다고 하며, 회상에 의하면 제복도 에덴이 나이별로 여러벌 맞춰줬다고 한다. *등장 초기까지만 해도 과거의 낙원의 진정한 주인으로 불리는 등 흑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지만, 이후 낙원 스토리가 진행될 수록 과거부터 [[엘리시아(붕괴3rd)|엘리시아]]에게 이래저래 휘둘리는 모습을 보인다거나, 다른 영웅들과의 대화에서도 악인 취급을 받으며 말빨이 밀리는 등 묘하게 [[안습]] 취급이다. 이런 모습들로 인해 '''뫼찐이''','''뫼애앵''' 등의 별명이 붙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