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mmaculate inning''' == 개요 == 1이닝 9구 3삼진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무결점 이닝보다는 9구 3삼진이나 3연속 3구삼진이란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한다. == 달성자 == === [[KBO 리그]] === || 순번 || 팀 || 이름 || 날짜 || 이닝 || 상대팀 || 상대타자 || 비고 || || 1호 ||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1999~2009).svg|height=30]]]] || [[다니엘 리오스]] || 2007.06.16 || 8회 ||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height=50]]]] || [[이진영]][br][[박경완]][br][[최정]] || [* KBO 리그 1호 기록] || || 2호 ||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1999~2009).svg|height=30]]]] || [[금민철]] || 2009.05.27 || 9회 || [[서울 히어로즈|[[파일:서울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50]]]] || [[클리프 브룸바]][br][[김일경(야구)|김일경]][br][[송지만]] || - || || 3호 || [[넥센 히어로즈|[[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50]]]] || [[강리호|강윤구]] || 2012.04.11 || 4회 ||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height=50]]]] || [[안치용(야구)|안치용]][br][[박정권]][br][[조인성(야구)|조인성]] || - || || 4호 ||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50]]]] || [[김혁민]] || 2012.09.21 || 2회 || [[넥센 히어로즈|[[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50]]]] || [[이성열(1984)|이성열]][br][[조중근]][br][[문우람]] || - || || 5호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50]]]] || [[우규민]] || 2017.04.01 || 5회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7~2020).svg|height=50]]]] || [[이홍구(야구선수)|이홍구]][br][[김선빈]][br][[로저 버나디나]] || [* KBO리그 첫 단일 경기 4타자 연속 삼구삼진 VS [[노수광]]] || || 6호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height=50]]]] || [[강리호|강윤구]] || 2018.07.18 || 7회 ||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height=50]]]] || [[노수광]][br][[윤정우]][br][[제이미 로맥]] || [* KBO 유일한 2회 달성자] || || 7호 || [[두산 베어스|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height=55]]]] || [[라울 알칸타라]] || 2020.10.08 || 2회 || [[SK 와이번스|[[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svg|height=50]]]] || [[고종욱]][br][[김성현(1987)|김성현]][br][[박성한]] || - || || 8호 || [[롯데 자이언츠|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height=55]]]] || [[박세웅(1995)|박세웅]] || 2022.05.10 || 5회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50]]]] || [[이명기]][br][[노진혁]][br][[오영수(야구선수)|오영수]] || [* KBO 첫 파울 없는 9구 3K] || === [[NPB]] === === [[MLB]] === MLB에서는 2022년 6월까지 무결점 이닝이 103번 나왔는데, 이 중에는 2002년 5월 11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의 [[김병현]]이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원정 경기 8회말에 등판해 4번 [[스캇 롤렌]]-5번 마이크 리버설-6번 [[팻 버렐]]을 상대로 달성한 건도 있다. 2022년 6월 16일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텍사스 레인저스]]를 상대로 MLB 역사상 '''처음으로 한경기에서 무결점 이닝을 2번 달성'''했다. 주인공은 2회 선발투수인 [[루이스 가르시아(1996)|루이스 가르시아]], 7회 구원투수 [[필 메이튼]]. 공교롭게도 두번 모두 똑같은 타선[* 로우 - 듀란 - 밀러 6-7-8이다.]을 상대로 달성한 기록. == 기타 == * [[데드볼 시대]]부터 이어지는 야구사의 장기적인 추세로 투수들의 삼진율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투수들이 이닝 소화를 줄이는 대신 더 세게 던지고 타자들도 보다 장타를 추구하는 스윙을 하며 삼진이 많아지는 것이 눈에 띈다. 따라서 무결점 이닝도 증가 추세에 있다는 분석이 있다. [[https://www.sbnation.com/2017/10/25/16545300/2017-was-the-year-of-the-immaculate-inning-in-mlb-this-is-why|2017년 SBNation 기사(영문)]] * [[LG 트윈스]]의 [[케이시 켈리]]가 2019년 8월 29일 2회 [[한화 이글스]]를 [[김태균]], [[백창수]], [[송광민]]을 상대로 무결점 이닝을 기록했지만 3회말 비로 경기가 35분가량 중단되고 노게임이 선언됐다. 그리고 5분여 후 거짓말처럼 비가 그치면서 KBO 7호 기록이 될 뻔한 것이 허무하게 날아갔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30/2019083000407.html|기사]] * 비공식 기록이지만 박세웅은 KBO 통산 8호 무결점 이닝을 기록하기 2년 전인 2020년 4월 18일 청백전에서도 4회 [[민병헌]], [[전준우]], [[안치홍]]을 상대로 9구 3K로 무결점 이닝을 기록했으며, 이는 피칭닌자의 트위터에도 소개되어 극찬받은 바 있다.[[https://mobile.twitter.com/PitchingNinja/status/1251484173518372864?s=19|#]] * KBO리그 한정으로 강윤구(현 [[강리호]])는 유일하게 커리어에서 2회의 무결점 이닝을 기록했다.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대만전|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B조 2차전]]에서 [[박영현]]이 6회말 2아웃 2, 3루 상황에 등판해 대만의 9번타자 린자정을 삼구 삼진으로 돌려세워 이닝을 끝내고, 7회말 [[정쭝저]]와 [[린쯔웨이]]를 연속 삼구삼진으로 돌려세우며 9구 3K를 기록했다. 다만 이는 이닝이 끊겼으므로 무결점 이닝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7회에 린쯔웨이를 삼구삼진으로 잡아서 [[린리]]까지 삼구삼진을 잡으면 무결점이닝과 '''12구 4K'''를 기록할 수 있었으나 린리 상대로 던진 초구가 볼이 되면서 달성에 실패했다. 이후 린리를 삼구만에 플라이 아웃으로 잡아내면서 박영현은 12구로 1과1/3이닝 퍼펙트를 기록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삼진(야구),version=347)] [[분류: 야구 용어]][[분류:투수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