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B8ED, #00B8ED)" [[제3지대 정당|{{{#ffffff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2><:>[[신한국당]]||<|2><:>{{{+1 →}}}||<|2><:>{{{#FFFFFF '''무당파국민연합'''}}}||<|2><:>{{{+1 →}}}||<:>[[새정치국민회의]][br]{{{#!html
(개별 합류)}}}|| ||<:>[[자유민주연합]][br]{{{#!html
(개별 합류)}}}|| ||<-2><:>[[파일:무당파국민연합 로고.svg|width=200]]|| ||<-2><:>{{{#FFFFFF '''무당파국민연합'''}}}|| ||<:>'''영문 명칭'''||Non-partisan national association|| || '''한문명''' ||無黨派國民聯合 || ||<:>'''창당일'''||[[1996년]] [[2월 13일]]|| ||<:>'''해산일'''||[[1996년]] [[4월 13일]]|| ||<:>'''당 색'''|| {{{#FFFFFF 연파랑색 ,,(#0898D0),,}}} || ||<:>'''해산 전 대표'''||[[한병채]]|| ||<:>'''해산 전 주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49길 7[br]오성빌딩 601호 ([[서초동]])|| [목차] == 개요 == 무당파국민연합은 [[무소속]] 후보들의 연합 정당임을 표방하여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총선]] 기간 동안 존속했던 정당이다. == 역사 == [[1996년]] [[1월 26일]], [[한병채]], [[김중권]], [[이치호]] 등을 비롯한 구 [[민주정의당|민정당]] 출신 [[TK]] 기반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들이 [[15대 총선]]에 참가하기 위해 가칭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기존의 정당이 특정 [[정치인]]이나 [[계파]]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권위주의]], [[부패]] 정치로 이어진다는 점을 비판하고 무소속연합이 파벌이나 보스정치 제도를 타파하며 [[중앙당]]과 [[당수]]가 없는 정당임을 밝혔다.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선거관리위원회는 [[1996년]] [[1월 31일]]에 "특정 정당의 이름에 '무소속'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면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보자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국민들에게 혼란을 준다. 따라서 '민주무소속연합'이라는 [[당명]]은 선거 질서나 정치 질서에 중대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허용할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 이에 따라 민주무소속연합은 [[1996년]] [[2월 5일]]에 당명을 무당파국민연합으로 명칭을 변경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새 당명을 승인했다. 명칭을 새롭게 바꾸고 본격적인 창당 준비에 들어간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2월 13일]] 한병채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과 [[김옥선]], [[김동주(정치인)|김동주]], [[신하철]]을 비롯한 발기인 79명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무당파국민연합 창당을 선언하고 오늘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무당파국민연합이 특정 정당들만의 당리·당략, 지역 패권주의, 개인의 독단과 전횡을 청산하기 위하여 순수한 무계파, 무파벌, 무소속 정치인이 모인 정당임을 표방했다.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3월 14일]]에 서울 수운회관에서 창당대회를 열고 한병채를 대표위원으로 선출했다.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후보 56명[* [[서울]] 15명, [[부산]] 4명, [[대구광역시|대구]] 8명, [[인천]] 4명, [[광주광역시|광주]] 1명, [[대전광역시|대전]] 1명, [[경기]] 6명, [[강원]] 1명, [[충북]] 3명, [[충남]] 2명, [[전북]] 2명, [[경북]] 6명, [[경남]] 3명], [[전국구]]([[비례대표]]) 후보 6명[* 1번 윤영오, 2번 김옥선, 3번 김상명, 4번 진원규, 5번 김헌기, 6번 안재식]을 공천했다. 하지만 지역구 투표에서 후보자 전원이 낙선했으며 총 득표수 177,050표, 정당 득표율 0.9%를 기록하여 전국구 후보자 전원이 낙선하면서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그나마 지역 기반이라고 할만한 [[경상북도]]와 경남 일부 지역에서 이름있는 인사들이 어느 정도 표를 얻었지만, 당의 해체를 막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선거관리위원회는 1996년 [[4월 13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효 득표율 2%를 기록하지 못한 무당파국민연합, 대한민주당, 친민당, 21세기한독당의 정당 등록을 취소했다.[* 당시에는 총선에서 2% 이상의 득표율을 얻지 못한 정당을 해산하는 정당법 조항이 있었다. 이후 [[녹색당]] 등이 주도해 [[위헌법률심판]] 청구를 해 현재는 해당 조항이 사라진 상태.] 무당파국민연합의 해산 이후 주요 당직자들은 [[새정치국민회의]], [[자유민주연합]]에 합류하였다. == 당색 및 명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당파국민연합 로고 글씨 있는 버전.jpg|width=100%]]}}}|| || {{{#fff 선거 공보물 스캔 이미지 (무당파연합 버전)}}} || ||[[파일:무당파국민연합 로고 글씨 없는 버전.jpg|width=100%]] || || {{{#fff 선거 공보물 스캔 이미지 (로고 글씨가 없는 버전)}}} || 이미지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당색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신한국당]]의 상징색({{{#!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3990; border: 1px #00399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파란색 (#003990)}}}}}})과는 대조적으로 훗날 [[바른정당]]이나 [[한나라당]](2004~2012)과 유사한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898D0; border: 1px #0898D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연파랑색 (#0898D0)}}}}}})을 당색으로 사용했음을 확인할수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람할 수 있는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230302F45434D303132303036303230305F30303138532E706466|어느 후보의 벽보]] 외 여타 후보의 이미지에서도 유사한 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후보들의 공보물마다 무당파국민연합, 무소속국민연합 등 명칭이 통일되지 않았으며, 공보물 내의 색깔 및 로고도 후보마다 제 각각인 모습을 보였다.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모여 군소정당을 창당했다는 점은 4년 뒤 [[16대 총선]]의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이나, 16년 뒤 [[19대 총선]]의 [[국민생각]]과도 유사하다. === 역대 총선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지역구}}}''' || '''{{{#FFFFFF 비례대표}}}''' || '''{{{#FFFFFF 정원}}}''' || '''{{{#FFFFFF 당선 비율}}}''' || '''{{{#FFFFFF 비고}}}''' || || [[1996년]]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제15대 총선]] || 0/299 || 0/6 || 0/299 || 0.9% || || == 역대 당직자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대표)] == 유사정당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무정파전국연합]]이라는 무소속 정당을 표방한 정당이 하나 더 있었다. 이 당은 [[신한민주당]], [[평화민주당]] 국회의원을 지낸 [[임춘원(1938)|임춘원]]이 1995년 창당한 '''신민당'''이 시초로, [[15대 총선]]에는 참가하지 않았다가 지구당 법정 당원 수 미달로 1997년 정당등록이 취소되었다. == 소속 인물 == * [[김중권]] * [[김옥선]] * [[김동주(정치인)|김동주]] * [[한병채]] * [[이치호]] * [[신하철]] * [[임덕규]] * [[이원배]] * [[정동윤(정치인)|정동윤]] * [[윤영오]] == 참고 자료 == [[https://ko.m.wikipedia.org/wiki/%EB%AC%B4%EB%8B%B9%ED%8C%8C%EA%B5%AD%EB%AF%BC%EC%97%B0%ED%95%A9|한국어 위키백과 무당파국민연합 문서]] == 둘러보기 == [include(틀:제3지대/정당(제5공화국-국민의 정부))] [[분류: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분류:1996년 정당]][[분류:1996년 해체]][[분류:대한민국의 보수정당]][[분류:자유보수주의 정당]][[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