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무라카와 다이스케 [br] 村川大介 / Murakawa Daisuke}}}''' || ||<-2> [[파일:56jyudan0_1.jpg|width=300]] || || '''{{{#white 직업}}}''' ||[[바둑기사]] || || ''' {{{#white 소속}}}''' ||[[관서기원]] || || ''' {{{#white 생년월일}}}''' ||[[1990년]] [[12월 14일]]([age(1990-12-14)]세) || || ''' {{{#white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 || || ''' {{{#white 출신지}}}'''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 || ''' {{{#white 입단}}}''' ||[[2002년]] || || ''' {{{#white 단급}}}''' ||九단 || || ''' {{{#white 누적 우승 경력}}}''' ||9회 || || '''{{{#white [[한큐바둑]] 닉네임}}}''' ||mrbater(P) || || '''{{{#white [[홈페이지]]}}}''' ||[[http://kansaikiin.jp/kisi_prof/murakawadaisuke.html|관서기원 무라카와 다이스케 소개 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관서기원]] 소속 [[프로]] [[바둑]] [[기사(바둑)|기사]]. 모리야마 나오키 九단 문하. == 생애 == 1990년 출생으로 5살 때인 1995년부터 바둑 공부를 했고, 2002년에 관서기원을 통해 입단했다.[* 당시 관서기원 최연소 입단 기록(11세 10개월)을 세우며 입단했다. 참고로 무라카와의 관서기원 최연소 입단 기록은 2022년 후지타 레오(藤田怜央)가 9세 4개월의 나이로 입단하며 경신했다.] 2014년 [[왕좌전]]에서 당시 왕좌 타이틀 홀더였던 [[이야마 유타]]에게 도전해 종합 전적 3-2로 십단 타이틀을 탈취했다. 승단 규정에 따라 八단으로 승단. 하지만 바로 다음해에 이야마 유타에게 종합 전적 0-3으로 패해 타이틀을 상실했다. 2014년 [[왕좌전]] 이후 [[CCTV 하세배]]나 [[농심신라면배]] 등 국제 기전에 자주 출전하고 있다. 하지만 성적은 좋지 않다. 그래도 2014년 하세배에서는 [[이세돌]] 九단에게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2018년 1월 25일 시다 다쓰야를 꺾고 십단전 도전권을 획득했지만 타이틀전에서는 이야마 유타에게 종합 전적 0-3으로 패해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9월 21일 천부배 A조 16강전에서 [[구쯔하오]]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2019년 1월 31일 [[다카오 신지]]를 꺾고 십단전 도전권을 획득, 타이틀전에서는 이야마 유타를 종합 전적 3-1로 꺾고 십단 타이틀을 탈취했다. 그리고 승단 규정에 따라 九단으로 승단했다. 8월 3일 국수산맥배 16강전에서 [[김지석(바둑)|김지석]]에게 패했다. 10월 10일 몽백합배 64강전에서 타오신란에게 패했다. 15일 농심배에 일본 대표팀 선봉으로 나왔지만 [[원성진]]에게 패했다. 2020년 6월 1일 LG배 32강전에서 [[변상일]]에게 패해 탈락했다. 2020년 6월 26일 십단전 4국에서 도전자인 [[시바노 도라마루]]에게 불계패. 종합 전적 1-3으로 십단 타이틀을 상실했다. 7월 31일 춘란배 16강전에서 [[판팅위]]에게 패했다. 9월 8일 응씨배 28강전에서는 [[장웨이제]]에게 패했다. 11월 20일 농심배 5차전에서 중국 구쯔하오에게 패했다.[* 구쯔하오는 대회 3연승에 성공했다.] [[분류:바둑 기사/일본]][[분류:1990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