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무명'''}}} (2023)[br] 無名 | Hidden Bla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화 무명 국내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서스펜스]], [[드라마]], [[역사]] || || '''감독''' ||<|2>청얼 || || '''각본''' || || '''제작''' || || || '''촬영''' || || || '''편집''' || || || '''음악''' || || || '''미술''' || || || '''의상''' || || || '''출연''' ||[[양조위]], [[왕이보]], [[저우쉰]], [[장정의(1999)|장정의]] ,,외,, || || '''제작사''' ||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콘텐츠 판다|[[파일:콘텐츠 판다 로고.svg|height=25]]]]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콘텐츠 판다|[[파일:콘텐츠 판다 로고.svg|height=25]]]] || || '''스트리밍''' || || || '''촬영 기간''' || || || '''개봉일'''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월 22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4월 26일]] || || '''화면비''' || || || '''상영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height=20]]]] ^^(디지털)^^ || || '''상영 시간''' ||132분 || || '''제작비''' || || || '''중국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2,443명''' {{{-2 (2023년 5월 30일 기준)}}}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height=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fff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에 개봉한 중국의 서스펜스 영화. == 포스터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무명 국내포스터.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무명 국내포스터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무명 국내 티저포스터1.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무명 국내 티저포스터2.jpg|width=100%]]}}} || ||<-4> '''국내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무명 국내포스터3.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무명 중국포스터.jpg|width=100%]]}}} || ||<-2> '''국내 포스터''' ||<-2> '''중국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명 양조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명 왕이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명 저우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명 장정의.jpg|width=100%]]}}} || ||<-4> '''캐릭터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3AmOA0ulM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a5Eok4CN7o)]}}} || || '''▲ 티저 예고편''' ||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완벽히 숨기고, 끝까지 의심할 것''' >1941년 일본은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고, 상하이를 점령한다. > >이에 맞서 상하이에서는 비밀 결사가 결성되고, >정체를 감춘 채 일본 조직 내 침투한 요원들은 >비밀리에 첩보 작전을 펼치지만 >반역자들의 계속되는 방해로 인해 위험에 놓이는데… > >누가 누구의 적인지도 알 수 없고, >오늘의 동료마저 믿을 수 없는 혼란의 시대, >이름 없는 스파이들의 소리 없는 싸움이 시작된다.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63641|다음영화]] == 등장인물 == * 허주임: [[양조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무명.jpg|width=100%]]}}} || * 예선생: [[왕이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무명.jpg|width=100%]]}}} || * 미스 천: [[저우쉰]] * 미스 방: [[장정의(1999)|장정의]] == 설정 == === 배경 === 주요 배경은 1941년 [[중일전쟁]] 시기의 [[상하이시|상하이]]를 배경으로 한다. 극 중에서도 지나가는 말로 나오지만 공동조계가 있었는데[* [[제1차 상하이 사변]] 이후, [[송호정전협정]]에 의해 만들어진 외국인 조계이다.]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일본군이 조계를 점령하고 일본의 괴뢰 정권으로 [[왕징웨이 정권]][* 상하이는 [[상하이 전투|제2차 상하이 사변]] 이후 [[상하이 시 다다오 정부]]와 이를 흡수한 난징 수립 [[중화민국 유신정부]]를 거쳐 왕징웨이 정권으로 바뀐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이 들어서 있는 상태였다. 이러한 배경은 [[양조위]]가 출연했던 영화 [[색, 계]]의 배경과 같다. 한편 허주임의 상사로 나오는 일본군인 와타나베(모리 히로유키 분)는 [[이시와라 간지]]의 파벌로 나온다. == 줄거리 == 영화는 예 선생(왕이보 분)과 왕 대위가 식사를 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윽고 두 사람은 차를 타고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벌판에는 시신과 트럭만이 덩그러니 놓여있었다. 한편 허 주임(양조위 분)은 귀순의사를 밝힌 공산당원을 찾아가고 조사를 시작한다. 공산당원은 자신은 화평을 원하고 [[왕징웨이|왕 선생]]의 고충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연락책과 주소를 밝힌다. 공산당원은 연락책 천씨의 권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그 권총을 보여준다. 허 주임은 왜 천씨의 권총을 당신이 갖고 있냐고 묻고 장면은 전환되며 허 주임이 식사를 하는 모습으로 전환된다. 허주임은 식사 도중 자신의 팔에 묻은 핏자국을 닦는다. 시간은 1938년. 광저우 과거의 허 주임은 광저우 폭격에서 살아남는다. 이후 그는 국민당 정권에 회의를 느끼고 왕징웨이 정권에 발을 들이게 된 것이다. >선생이 말씀하시는 [[중국국민당|국민당]]은 [[국민혁명|20년대]]에 죽었어요. 지금은 [[중화민국 국민정부|그 시체]]가 [[인과응보|부패하고 있는 과정]]이고요. 전 광저우 폭격에서 살아남았어요. 그냥 운이 좋았던 거에요. 폭격은 1년 동안 계속되었는데 방공포는 말할 것도 없고 고사 기관총이라도 있었나요? 없었어요. 막으려는 사람이 있었고요? 없어요. 지금의 충칭은 그때의 광저우와 같아요. 충칭에 방공포가 있나요? 고사 기관총은요? 이대로라면 [[중화민국 국민정부|충칭]]에 무슨 희망이 있을까요? 없어요. [[장제스|장 선생]]은 [[국민당의 1차 북벌|1926년]]부터 [[군벌/중화민국|군벌]]과 싸웠지만 [[팩트 폭력|그도 결국 군벌일 뿐이에요.]] 아무리 많은 땅을 얻어도 [[티베트(1912~1951)|입김이]] [[몽골인민공화국|닿지]] [[만주국|않는 곳]]이 얼마 많지 않은 그냥 지역 군벌이죠. [[장제스|장 선생]]은 [[총통]]이 [[대원수|아니고]] 총통이 [[독재자|될 수도 없는데]] [[절대권력|총통이 되겠다는 욕망]]에 사로잡혀있잖아요. (...) [[왕징웨이 공작|왕 선생의 행보]]에 대해 오해하지 말아요. [[왕징웨이|왕 선생]]은 평화를 만들려고 노력한 거에요. 평화로우면 좋잖아요. 화친이 나쁜가요? >------ >-허 주임이 포로에게 자백을 요구하면서 이후 와타나베를 만나는 장면에서도 와타나베는 일본 음식을 잘 먹지않는 허 주임을 은근히 압박하며 왕징웨이 정권이 일본의 꼭두각시 노릇이 될 것임을 암시한다. 허 주임은 새로 잡혀온 천 씨를 심문하면서 아까와 같은 말로 설득을 시도하지만 천 씨는 그의 제안을 단칼에 거절한다. 그런 그녀에게 허 주임은 호감을 갖는다. 와타나베에게 허 주임은 천 씨를 죽이라고 [[왕징웨이|왕 선생]]의 결재를 받았고 이를 무르려면 왕 선생을 직접찾아가라고 말한다. 그러자 와타나베는 자신이 왕 선생을 만나지 못하는 걸 알고 탕 부장이 말하는 거라면서 분개한다. 허 주임은 천 씨를 죽이는 척 탈출시키고 그녀로부터 상하이 거주 주요 일본인이 적힌 의미심장한 쪽지를 받게된다. 시점은 1945년 일본군 무리들 우물을 발견하고 물을 마시려하나 그 물은 썪은 물이었고 우물을 보니 시체가 우물에 들어있었다. 그러자 일본군은 마을 주민들 한 명씩 죽이며 주동자를 찾으려하나 그게 안 되자 마을 주민들을 모두 시멘트로 [[공구리]]하는 만행을 저지른다. 그러면서 그날 밤에도 그들은 양고기를 먹고 위스키를 마신다. 1941년 와타나베 같은 [[만주파]]나 해군 조약파의 말을 무시한 채 일본은 [[진주만 공습]]을 감행.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다. 이에 허 주임같은 왕징웨이 정권 부역자들은 걱정이 앞서기 시작하고 와타나베도 상대가 항복해야 승리하는 전쟁이라면서 무책임한 [[고노에 후미마로]]와 전쟁광 [[도조 히데키]]를 냉소한다.[* 당시 만주파는 친중, 친미, 반소 성향이었는데 중국의 영토를 침공하고 중국과 동맹을 맺겠다는 그들의 어처구니 없는 주장이 와타나베한테서 여실히 드러난다.][* 만주파는 만주는 얻어내야하지만 중국 침공은 무모한 결정이라면서 반대했다. 황제의 친정과 사회주의를 주장한 [[황도파]]나 내각의 통제를 요구하면서 정작 내각에 간섭한 [[통제파]]처럼 일본 제국 군내 파벌들의 모순을 여실히 보여준다.] 예 선생은 부인인 방 부인을 보지만 방 부인의 곁으로 일본 장교가 나타나자 그녀 곁으로 가기를 포기한다. 그런데 방 부인은 사실 공산당 스파이로 일본군 간부를 유혹해 암살하는 임무를 수행 중에 있었다. 그리고 그 공산당 조직에 천 씨와 초반에 전향한 공산당원이 소속되어있었다. 이들은 파르티잔들을 트럭으로 보내 공격을 감행하려고 했다. 한편 마을을 학살한 일본군들은 자신이 [[도조 히데키|누구]]를 담지 않았느냐 내가 사실 공작의 아들이다 라며 농담을 하며 웃음짓는다. 그러나 얼마안가 아까 말한 공산당 파르티잔의 트럭이 들이닥치게되고 이 군인들은 트럭의 기관총 난사에 전부 죽고 이게 첫 장면에 시체들과 트럭이던 것. 그리고 농담삼아 자신이 공작의 아들이라 말했던 그 일본군 장병은 실제로 [[귀족원(일본)|귀족원]] 의원 오야마 공작의 아들이었고 심지어 그의 형은 1938년 광저우 폭격 때 추락사하며 대가 끊긴 것이었다.[* 이는 장병이 자신의 형이 광저우 폭격때 전사한 파일럿이었다는 말에 모두가 너가 그런 형이 있냐는 말에서부터 복선이 있었다. 당시에는 동서를 막론하고 파일럿은 귀족 자제들이 대부분이었다.] 사건이 이리 커져버리자 와타나베와 탕 부장은 온갖 수단을 동원해서 상하이의 공산당 조직을 파괴한다. 그리고 이 일을 성공시킨 예 선생을 와타나베는 신임하게 된다. 방 부인은 예 선생을 친일부역자라며 폭언을 내밷고 집을 나간다. 하지만 그녀를 오래전부터 탐내던 왕 대위는 그녀가 공산당임을 알아채고 그녀를 강간하고 살해한다. 천 씨와 같이 살던 공산당원은 사태가 위급해지자 그녀에게 청혼하며 귀순하자하지만 천 씨는 이미 그녀를 살려준 허 주임을 사랑하고 있었고 이에 그 공산당원은 천씨의 총을 뺏고 귀순했던 것. 그리고 그 공산당원의 정보로 와타나베와 탕 부장, 허 주임은 자신들 조직에 배신자가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이에 와타나베는 정보가 새어나갈 수 있으니 허 주임에게 직접 만날 것을 요구한다. 당연하겠지만 이 정보를 얻은 허 주임은 직접 공산당원을 찾아가고 질문인 척 그가 왼손잡이인지 물어보며 그렇다하자 그 방향으로 공산당원을 죽여 자살로 위장한다. 그리고 그 피가 한 방울 묻어서 닦아내던게 초반의 장면이었던 것이다. 1945년 7월 왕징웨이가 나고야 병원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이 들어오고 이전까지 왕징웨이 정권이 부역했던 허 주임, 탕 부장, 와타나베, 예 선생은 각자 생존할 궁리를 찾게된다. 탕 부장은 충칭의 국민정부와 협상하며 와타나베를 배신하고 공산당의 밀정인 허 주임 또한 와타나베를 냉대한다. 이에 와타나베는 자신이 신뢰한 예 선생에게 밀정으로 의심되는 허 주임을 잡아올 것을 시키고 둘 사이에 격렬한 난투극이 벌어진다. 결국 허 주임이 예 선생을 계단에 떨어트리며 이기는 듯했으나 예 선생은 살아있었고 지원병력을 요청하면서 천 씨는 죽고 탕 부장의 사촌이었던 허 주임만큼은 총살을 면한다. 얼마 뒤 탕 부장은 의문의 암살을 당하고 허 주임은 국부군에 의해 풀려나며 이전의 왕징웨이 정권 시절 기록은 묻히게 된다. 하지만 와타나베와 예 선생은 모든 걸 잃은 허 주임을 조롱하며 수용소로 가게된다. 와타나베는 자신이 국공내전에서 국부군의 장교로 임용될 거라며 즐거워하는데 예 선생은 이전까지 태도가 돌변하며 왜 [[소일전쟁]]에서 일본의 만주 요새가 뚫였는지 아냐며 나에게 그 지도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영화에 제목대로 무명(無名)의 조력자는 허 주임이 아니라 예 선생이었던 것. 와타나베는 자신이 일본의 패망을 앞당겼다는 자책감에 할복한다. 출소하는 예 선생의 모습을 끝으로 영화는 마무리된다.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hidden-blade, critic=60, user=)]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hidden_blade_2023, tomato=73, popcorn=98)] [include(틀:평가/IMDb, code=tt16565742,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hidden-blade, user=3.2)]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 presse=, spectateurs=)]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 user=)]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 user=)]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372742, user=6.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vqKVx, user=3.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21530, light=77.78)]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 expert=, audience=, user=)]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63641, user=8.1)] [include(틀:평가/CGV, code=86947, egg=88)]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19716, user=)] [include(틀:평가/MRQE, code=, user=)] [include(틀:평가/TMDB, code=855483, user=67)]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hidden-blade, user=)]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 user=)] >'''축축하고 어지럽고 멋들어진''' >---- > - [[박평식]] ([[씨네21]]) (★★★) == 흥행 == * 2023년 춘절에 [[우징]]과 [[유덕화]]가 주연한 [[유랑지구 2]]와 [[장예모]]감독이 연출하고 [[이양천새]]가 주연한 [[만강홍: 사라진 밀서]]와 함께 개봉하여 10억위안을 벌었다. == 기타 == 시점이 굉장히 빈번히 변경된다. 큰 시점만 나열해도 영화 초반에는 식사를 하는 예 선생과 왕대위. 공산당원을 조사하는 허 주임. 그리고 1938년 광저우 폭격과 허 주임의 왕징웨이 정권 부역 시절. 중반에는 일본군 무리들과 예 선생과 허 주임의 전향 그리고 후반 앞서 봤던 다섯 시점이 공산 게릴라의 습격으로 연결되는 플롯이다. 즉 초반에 메인이 되는 사건 전후를 보여주고 중반에 어떻게 인물들이 초반 시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를 보여주고 핵심 사건은 후반부에 푸는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시간 순으로 보면 광저우 폭격→허 주임의 전향→허주임의 공산당 합류→태평양 전쟁→예 선생의 전향→일본군 무리의 행적→공산 게릴라의 행동 게시→공산당 조직 일망타진→공산당원의 귀순→예 선생의 허 주임 체포→종전→탕 부장 의문사→와타나베의 할복 순인셈. 항일 영화 중 독특하게 국민당에 비판적인 영화다. 허 주임이 국민당을 철저히 비판하는 장면과 허 주임을 국부군이 구타하는 장면 등 국민당 정권의 부정적 모습을 부각한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공산당을 보여주고 있다. 마오쩌둥과 팔로군에 대한 찬양은 아니지만 작중에서 항일운동가는 전부 공산당원으로 등장한다. 탕 부장은 왕징웨이 정권에 부역하다 태평양 전쟁 전후로 일본을 배신하고 국민정부에 귀순한 [[저우포하이]]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왕징웨이 정권에 고위직에 있었고 이후 안전을 보장받고 귀순하다 훗날 국민정부에게 배신당하는 것까지 매우 흡사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스페셜 티켓)] [[분류:2023년 영화]][[분류:서스펜스 영화]][[분류:중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중국의 역사 영화]][[분류:전쟁 영화/제2차 세계 대전]][[분류:중일전쟁/창작물]][[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