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한의 황후]][[분류:기원전 91년 사망]][[분류:중국의 자살한 인물]][[분류:린펀시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한 황후)] [목차] == 개요 == 武思皇后 衛氏 (? ~ 기원전 91년) [[무제(전한)|한무제]]의 두 번째 [[황후]].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자(이름)|자]]는 자부(子夫)이다. 위황후 또는 성과 자를 합쳐서 위자부(衛子夫)로 불린다. 명장 [[위청]]이 그녀의 동생이고, [[곽거병]]이 그녀의 조카다. == 생애 == 그녀는 원래 [[무제(전한)|한무제]]의 누나 평양공주의 가녀였다. 그녀가 몹시 마음에 든 한무제는[* 기록을 보면 그녀를 만나고 화장실에서 정사(情事)를 벌인 듯한 묘사가 있다. 요즘 유행하는 전실, [[드레스룸]], [[파우더룸]]이라고 보면 된다.] 그녀를 궁정으로 데려와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여태자]] 유거를 낳았다. 이외에도 위장공주, 석읍공주, 제읍공주 등 딸이 3명 가량 더 있다. 이후 황후였던 [[효무황후 진씨|진씨]]가 무고 사건에 연루되어 폐위되어 장문궁으로 밀려나자 위자부가 새 황후의 자리에 올랐다. 그녀는 38년 가량에 달하는 장기간 동안 황후의 자리를 지키게 되는데 이 기록은 [[만력제]]의 황후인 효단현황후 왕씨에 이어 2번째로 긴 황후 재임 기간이다. 또한 《[[한서]]》에 따르면 조심성이 있는 성격으로, 나이가 들어 무제의 총애를 잃고 무제가 다른 후궁들을 찾게 된 후에도 여전히 존중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훗날 [[무고의 화]]에 연루되어 폐위당하고 감금되다가 목매어 [[자살]]하였다. 후에 증손자인 [[선제(전한)|선제]] 대에 복권이 되어서 사황후(思皇后)라는 시호를 받았다. 중국에선 이 시호와 남편 무제의 시호인 효무(孝武)를 합쳐서 효무사황후(孝武思皇后)라고 불리고, 한국에선 이 시호와 무제의 시호의 일부인 무(武)를 합쳐서 무사황후(武思皇后)라고 불린다. == 대중매체 == [[중국 드라마]] [[위황후전]]이 그녀의 일대기를 따와 만든 드라마이다. 그러나 실제 역사와는 좀 상이한 부분이 많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사기)] [include(틀:한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위황후, version=119,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