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크리보(유희왕/카드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RainbowKuriboh-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4>'''무지개 크리보'''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虹, ruby=にじ)]クリボー'''|| || 영어판 명칭 ||<-4>'''Rainbow Kuriboh'''||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악마족]] || 100 || 100 || ||<-5>상대 몬스터 엑시즈의 공격 선언시, 패의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상대 몬스터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이 효과에 의해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이 카드는 묘지에서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이 카드는 게임에서 제외된다.|| [[유희왕 ZEXAL]]에서 주인공 [[츠쿠모 유마]]의 아버지 [[츠쿠모 카즈마]]가 소지했다는 카드로 등장. 5기에서 [[아스트랄 세계]]로 찾아온 유마가 발견하면서 그의 길잡이가 되어주었으며, 이후 그의 덱에 들어가 [[엘리파스]]와의 듀얼에서부터 바로 사용되었다. 엘리파스의 [[NO(유희왕)#NO12 에테릭 마헤스|NO12 에테릭 마헤스]]가 공격을 선언하는 순간 효과로 장착 카드가 되면서 공격을 봉쇄했고, 이를 소재로 [[NO(유희왕)#NO13 에테릭 아멘|NO13 에테릭 아멘]]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며 또 공격을 막아주었다. 가끔 듀얼에서 도움을 주는 정도를 제외하면 시리즈 전통의 마스코트 정도였던 다른 크리보들과는 달리 탈것이 돼서 유마를 태워주거나 연막을 쳐서 엘리파스로부터 도망치는 등 '''역대 크리보 시리즈 중 가장 유능하고, 신에게 대들 정도의 당당함까지 갖추고 있다.''' 이후 [[Mr.하트랜드]]나 [[아리트]], 그리고 [[낫슈]]와의 듀얼에서도 공격을 막아주며 맹활약. 첫 등장 이후로 매우 자주 등장해서 다이렉트 어택에 실패한 상대가 "'''그럼 무지개 크리보를 파괴한다!'''"는 빠르게도 클리셰로 정착할 정도. 이렇듯 등장 시기는 늦었어도 이후 많은 듀얼에서 등장하며 유마를 지켜내는 활약을 보였다. 귀여운 외형이지만 [[크리보]]라 그런지 악마족이다. 또한 [[크리보(유희왕/카드군)|크리보 시리즈]] 중에서 처음으로 공격력 300, 수비력 200이 아닌 몬스터이기도 하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虹クリボ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무지개 크리보, 일어판명칭=(にじ)クリボー, 영어판명칭=Rainbow Kuriboh, 속성=빛,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1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그 공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등장한 하급 효과 몬스터. 원작 효과들에 각각 1턴에 1번 제약이 붙었고, ①의 장착 효과를 엑시즈 이외의 몬스터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상향을 받은 대신 ②의 특수 소환 효과를 썼을 때 파괴 이외의 방법으로 필드에서 벗어나도 제외되도록 변경되었다. ①의 효과는 상대의 공격 선언시 장착 카드가 되어 그 장착 몬스터의 공격을 봉쇄하는 [[유발효과]]. 몬스터, 플레이어 어느 쪽을 향한 공격이든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속공의 허수아비]] 같은 카드에 비해 방어 능력은 떨어지니 [[젠틀루파]]와 마찬가지로 몬스터 유지를 노리는 것이 기본이 되겠다. 장착 카드가 되므로 지속적으로 공격을 봉인할 수는 있으나, 각종 소재가 되는 등으로 장착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나거나 마법 / 함정 제거 계열에 처리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데먼즈 체인]] 같은 카드처럼 장기적인 구속력은 기대하지 않는 편이 나을 듯 하다. 그 효과 특성상 [[브레인 잭커]]나 [[령사]] 같은 컨트롤 탈취 몬스터와 상성이 어느 정도 있는 편이지만, 그대로 공격도 봉쇄되니 다른 커버해줄 카드가 필요해진다. 바운스 효과로 재활용은 되지만, 세트할 수 없는 특성과 조건으로 인해 [[안개 골짜기의 팔콘]]과는 상성이 좋지 않다. 공격 횟수를 제한하는 [[암흑의 문]]과 상성이 좋아서 잘만 하면 2턴 이상 상대의 공격을 막아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직접 공격시 자체적으로 부활하는 [[유발효과]]. 그냥 쓰자니 일회용 벽으로밖에 안 되겠지만, [[왕궁의 철벽]]이 있으면 주기적으로 직접 공격을 막아줄 수 있다. 다만 1턴에 1번밖에 못 쓰니 직접 공격도 1번밖에 막아주지 못 한다. ②의 효과에 체인해서 [[배틀 페이더]]나 [[고스트릭#고스트릭 프로스트|고스트릭 프로스트]], [[고스트릭#고스트릭 랜턴|고스트릭 랜턴]] 등의 [[패 트랩]]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렇게 전개한 몬스터로 각종 소재로 쓸 수 있으며, 엑시즈 소재로 쓰면 제외 디메리트도 없어지니 다시 특수 소환을 노릴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다수 채용할 수 있는 [[금화고양이]] 주축 덱이나 [[고스트릭]] 덱과 상성이 좋다고도 할 수 있다. 그밖에도 관련 몬스터가 악마족 비중이 높으니 [[암흑계의 문]]이나 [[다크니스 네오스피어]]와도 조합해보는 재미가 있겠다. 마법 / 함정 제거 효과에는 얄짤 없지만 발동 단계에서는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지 않으니 체인으로 막힐 우려는 없다. [[싸이크론]] 등의 프리 체인 제거 계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는 것은 이 카드의 효과 처리가 끝난 단계부터로, 그 시점에서 공격 중지는 성립되어있기 때문. 파괴되었어도 ②의 효과를 써먹을 수는 있으니 일반적인 공격 견제보다 신뢰성은 높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 LVAL-JP004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 LVAL-EN004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 LVAL-KR00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아스트랄 크리보]] === [각주][[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