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01년 출생]][[분류:1984년 사망]][[분류:이집트 대통령]][[분류:이집트의 군인]][[분류:이집트의 무슬림]][[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하르툼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이집트 대통령)] ||<-2> '''[[이집트|{{{#ffd700 이집트 초대 대통령}}}]][br]{{{+1 무함마드 나기브}}}[br] أنور السادات | Mohamed Naguib'''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1429BAA-B916-44F8-86D6-75AD13BC1A67.jpg|width=100%]]}}} || ||<|2> '''출생''' ||[[1901년]] [[2월 20일]] || ||[[파일:이집트 국기(1882-1922).svg.png|width=30]] [[앵글로-이집트 수단]] [[하르툼]][br](현 [[수단 공화국]] [[하르툼]]) || ||<|2> '''사망''' ||[[1984년]] [[8월 29일]] (향년 83세)||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 [[이집트]] [[카이로]] || ||<|2> '''재임기간''' ||초대 대통령 || ||1953년 6월 18일 ~ 1954년 11월 14일 || || '''배우자''' ||아이샤 나빕 || || '''국적'''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이집트]] || || '''종교''' ||[[이슬람]] [[수니파]] || || '''직업''' ||[[정치가]] || || '''학력''' ||고든 메모리얼 칼리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 생애 == === 초기 생애 === 무함마드 나기브는 [[1901년]] [[2월 20일]], [[앵글로-이집트 수단|수단]]에 주둔중이던 [[이집트군]] 하급 지휘관 유세프 나기브와 조라 아흐메드 오스만 사이에서 아홉명의 자녀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나기브는 카르툼에 있는 고든 메모리얼 칼리지에서 중등 및 육군 사관학교를 다녔고 1918년 졸업하게 된다. 그리고 1923년, 이집트 왕실 근위대에 입대하고 [[1927년]] 법률 면허를 취득한 이집트 최초의 군인이 된다. [[1929년]]에는 정치 경제학으로 대학원 학위를 수여받게되고 민법으로도 다른 학위를 수여받게 된다. 학창시절 나기브는 어학에 관심을 보여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히브리어를 배웠는데, 이는 먼 훗날 중동전쟁에서 나비효과로 돌아오게 된다. === 군인으로서 ===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중위로 임관한 나기브는 자신의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수단에서 군생활을 하다가, [[1919년 이집트 혁명]]이 발발하자 카이로의 모스크에 이집트 국기를 걸면서 영국군을 향해 총구를 돌린다.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도 군생활을 계속했고, 평소 [[어학]]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독립의 움직임이 보이는 [[이스라엘]]이 장차 적성국으로 급부상 할것으로 판단했다. 이때문에 이집트군 장교와 부사관들에게 [[히브리어]]를 배우도록 지시했는데, [[1차 중동전쟁]]이 발발하는 가운데 히브리어를 아는 이집트군 장병들이 이스라엘군 무전을 도감청해 격파하는 전공을 세우면서 이를 입안한 나기브는 영웅으로 부상해 이집트 국왕 [[파루크 1세]]의 아성을 위협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 쿠데타 === [[1952년]], 무함마드 나기브는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사다트]] 등의 '자유 장교단'(free officer movement)은 [[파루크 1세]]를 쿠데타로 축출하고 초대 대통령에 추대되었다. 하지만 그를 ~~바지사장~~대통령으로 내세운 나세르에 의해 [[1954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고 [[카이로]] 외곽 저택에 가택연금을 당하게 된다. 죽음을 면한 나기브는 그뒤로 30여 년을 더 살면서 [[1970년]]에는 자신을 몰아낸 나세르의 죽음도 지켜보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처하기도 했다. 나세르가 사망한 후 권력을 승계한 [[안와르 사다트]]가 반혁명파에 대한 유화책을 펼치며 [[1972년]] 사면되었고, 사다트의 암살마저 지켜본 후 1984년 간경화로 사망한다. 향년 83세. 당시 대통령이었던 [[호스니 무바라크]]는 그의 장례식을 국장으로 치러 그를 사실상 전직 대통령으로서 복권조치했다. === 기타 === * 저서로는1984년에 출판된 나는 이집트에 대통령이었다(I Was a President of Egypt)는 회고록이 있다. 이 책은 영어로 이집트의 운명(Egypt's Destiny)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 비슷한 인물로 [[5.16 군사정변]] 당시 육군참모총장이던 [[장도영]]이 있다. * [[무함마드 무르시]]를 제외하면 이집트 공화국의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짧은 임기를 지냈다. 둘 다 재임기간 도중 축출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