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경기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04ea2, #004ea2, #004ea2)" '''{{{#ffffff 더불어민주당 고양시 갑 지역위원장[br]{{{+1 문명순}}}[br] 文明順 | Moon Myung-so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문명순후보자.jpg|width=100%]]}}} || ||<|2> '''출생''' ||[[1962년]] [[10월 18일]] ([age(1962-10-18)]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동[*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문성유]]도 이 마을 출신이다.][* [[http://www.jnuri.net/news/articleView.html?idxno=27294|#]]] || || '''현직''' ||[[더불어민주당]] [[고양시 갑]] 지역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 '''본관''' ||[[남평 문씨]][* [[https://jgmoon11.blog.me/221903128768|#]]] || || '''가족''' ||슬하 2명(쌍둥이) || || '''학력''' ||[[서울봉래초등학교]] {{{-1 (졸업) }}} [br] 마포여자중학교 {{{-1 (수석졸업)}}} [br][[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1 (수석졸업)}}}[br][[한국방송통신대학교]] {{{-1 (경영학 / 학사)}}}[br][[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1 (경제학 / 석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경력''' ||국민은행 조사역[br]금융경제연구소 이사[br]서민금융진흥원 경영자문위원[br]교육시설재난공제회 상임감사 [br]IBK연금보험 상근감사 [br]예금보험공사 감사자문위원 [br]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민소통특별위원 [br]한국감사협회 부회장[br]고등학교 금융교과서 집필위원 [br]한국노총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br]이재명대통령후보 금융특보[br]문재인대통령후보 금융경제특위 위원장 [br]더불어민주당 고양갑 지역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 위원 [br]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 [br]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 금융안정 태스크포스위원 [br]더불어민주당 전세사기피해자대책TF 수석부단장 [br]2019 서강경제대상 수상[br]2019 자랑스러운 청백리상 수상 || || '''SNS''' ||[[https://www.facebook.com/munms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unms1, 크기=20)] | [[https://m.youtube.com/c/문명순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m.blog.naver.com/munms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moonmyoungsoon/|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금융인, 노동운동가, 정치인이다. == 생애 == 1962년 [[제주도]] [[제주시]] 건입동에서 출생했다. 서울봉래초등학교 졸업, 마포여자중학교 수석졸업,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를 수석졸업하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영학 학사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를 취득했다. KB국민은행에서 30년 이상 근무하고, 한국노총 최대 조직인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을 지냈다. 또한 금융경제연구소 이사, 서민금융진흥원 경영자문위원, 교육시설재난공제회 상임감사를 지냈고 고등학교 금융교과서를 집필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ILO 국제노사정포럼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여 금융공공성 강화와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주장했다. KB국민은행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시절 기간제근로자법 시행보다 앞서서 비정규직 노동자 1년 근무 정규직 전환이라는 획기적 성과를 만들었다. == 정치 활동 == [[IMF]] 이후 외래 자본 유입과 [[이명박]]·[[박근혜]] 정권에서 심화된 금융 분야 산업화 추세에 맞서 민주통합당에 영입되었고 19대 총선 비례대표 23번을 받았으나 국회 입성에 실패했다. 당내에서 지속적으로 금융 주권 및 금융공공성을 지키는 정책을 제시해 왔으며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금융경제 공약을 설계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 후보 중앙선대위 금융경제특위 위원장, 문재인 정부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민소통 특별위원,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금융경제연구소 이사를 지냈고 2019년 4월 고양갑 지역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했다.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비례대표로 23번을 부여받으며 출마했지만 당선은 21번까지만 되었고 승계마저도 [[한명숙]] 의원의 승계까지만 인정되어 22번 신문식 후보까지만 승계를 받아 결국 승계받지 못하였다.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는 [[정의당]] 대표 [[심상정]]이 현역으로 있는 고양갑에 출마선언을 하고 더불어민주당 고양갑 후보로 단수공천되었다. 선거 운동 초반 3월 11일 중부일보가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문명순 26.5%, 심상정은 26.3%으로 현역 국회의원 심상정을 앞서 돌풍을 일으켰으며, 3월 31일 kbs가 발표한 마지막 여론조사에서도 문명순 33.5%, 심상정 34.5%로 박빙의 결과를 이어갔다. 그러나 21대 총선 결과 27.36%의 득표율로 역대 고양갑지역의 민주당 득표율 8.74% 대비로 크게 선전했으나 결국 최종 3위로 낙선했다. 선거운동 기간 중 문명순은 미래통합당 후보 보다는 정의당과 심상정을 주요 공격 대상으로 삼으면서, 심상정이 "말꾼 낡은 진보"이며 중앙 정치에 집중하느라 지역구에 소홀했다고 비판을 가했으나 역부족이었다. 2021년 민주당 대선 경선 초기부터 고양민주평화포럼 공동대표와 이재명 대통령후보 금융특보를 맡아 경선 승리를 도왔다. 이후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덕양구 선대위원장으로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2.1% 득표율로 윤석열 당시 당선인이 43.6%로 8.46% 차이 승리를 이끌었고, 2022년 지방선거에서도 본인 지역에 6명의 시도의원을 당선시켰고, 김동연 도지사 후보 또한 고양갑 지역구에서 50.7% 득표율로 김은혜 46.5%를 9,993표 차이로 승리하여 기적적으로 당선되는데 큰 보탬이 되었다. 2020년 총선, 2022년 대선과 지선에서 민주당 역대 최고의 득표를 하였고 정의당 기초의원 기존 4석을 0석으로 만드는 조직력을 보여주었다. 2023년 국민의힘 [[이동환(1966)|이동환]] 고양시장이 고양시청 원당 재건 결정을 엎고 백석으로의 이전을 추진하자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 고양갑지역구에 <양평고속도로 원안대로 고양시청 원안대로> 문구의 현수막을 게첩했다. 2023년 이재명 당대표가 단식농성을 하자 이에 본인도 7일간 동조단식농성을 하면서 국회 기자회견에서 민주당 국회의원들에게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당론부결'을 요구하기도 했다. 민주당 경기도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과 전세사기피해자대책TF 수석부단장을 맡아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있다. 전세사기피해자 간담회에서 피해자들이 금융권의 무책임을 격앙되게 비난하자 은행권 출신으로서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 따뜻한 금융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으로 신용점수제 개선, 학자금대출을 학자금대여제로 전환, 금융공공성 회복을 주장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민주통합당)] || 7,777,123 (36.45%) || 낙선 (23번)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고양시 갑|고양 갑]]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9,268 (27.36%) || 낙선 (3위) ||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명순 21총.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1대 총선}}}]] ([[고양시 갑|{{{#000000,#e5e5e5 경기 고양시 갑}}}]]) ||}}}}}}}}} ||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1962년 출생]][[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남평 문씨]][[분류: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신]][[분류:서강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노동운동가]][[분류: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 인물]][[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