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2 문성일}}}[br]Moon Seong il}}}'''[* [[인스타그램]] 소개란의 표기를 따름] || ||<-2> [[파일:문성일문성일.jpg|width=100%]] || || {{{#ffffff '''본명'''}}} ||문성일 (文成一)[* 본래는 어머니의 성을 딴 '김성일'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2013년 이후부터 아버지의 성을 따 '문성일'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럴거면 뮤지컬 28회 군인즈 편에서 동명이인인 스타일리스트가 성을 바꾼 이유 중 하나였다고 언급하였다. 2022년 초부터는 약 1년간 '''원우준'''이라는 예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 ||<|2> '''{{{#ffffff 출생}}}''' ||[[1988년]] [[8월 14일]] ([age(1988-08-14)]세) || ||[[일본]] [[오사카]] || || {{{#ffffff '''신체'''}}} ||180cm, 72kg, [[B형]] || || {{{#ffffff '''학력'''}}} ||[[안양예술고등학교]] {{{-2 (졸업)}}}[br][[ 청강문화산업대학교]] {{{-2 (무대미술과 / 졸업)}}} || || {{{#ffffff '''데뷔'''}}} ||[[2011년]]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 || || {{{#ffffff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ungIl0814,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m_seong_i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연극]]·[[뮤지컬]] 배우. 2011년 제작사 뮤지컬해븐의 [[스프링 어웨이크닝]]의 한센 역으로 데뷔하였다.[* 프로필 상 데뷔는 스프링 어웨이크닝이지만 공연은 2009년에 시작했다. [[김도현(배우)|김도현]]이 문성일을 학공에서 처음 봤다고 베헤모스 관객과의 대화에서 언급했다.] 뮤지컬해븐 소속으로 [[쓰릴 미]]의 "그", [[번지점프를 하다]]의 "재일"역까지 작업을 이어갔다. 2013년 [[모범생들]] 이후로는 연극과 뮤지컬 작품을 넘나들며 연기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 참여작품 == === 드라마 === ||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6> 2002 ~ 2003 ||<|6> EBS || [[TV로 보는 원작동화]] - 선생님 울지 마세요 || 박병기 || || TV로 보는 원작동화 - [[꼬마 독재자]] || 박정수 || || TV로 보는 원작동화 - 아빠의 선생님 || 불량 중학생 || || TV로 보는 원작동화 - 혜순이 || 승봉 || || TV로 보는 원작동화 - 마스크의 저주 || 박재수 || || 특집드라마 '네 손톱 끝에 빛이 남아있어' || 북한 출신 학생 || || 2011 || MBN || [[뮤지컬 서바이벌 왓츠업]] || || || 2022 || SBS || [[소방서 옆 경찰서]] || [[소방서 옆 경찰서 시리즈/등장인물/회차별 등장인물#박태훈|박태훈]] || === 뮤지컬 === || '''연도''' || '''제목''' || '''배역''' || '''공연기간''' || '''공연장소''' || || 2009 || [[뮤직박스(뮤지컬)|뮤직박스]](CJ영페스티벌 수상작 공연) || 강민석 || 091027 || 서강대학교 메리홀 || ||<|2> 2011 || [[스프링 어웨이크닝]] || 한센 || 110603 ~ 110904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쓰릴미]] || 그 || 111129 ~ 120226 ||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 || || 2012 || [[번지점프를 하다(뮤지컬)|번지점프를 하다]] || 재일 || 120714 ~ 120902 ||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 || || 2013 || [[블랙메리포핀스]] || 헤르만 디히터 || 130801 ~ 131027 || 동국대학교 이해랑예술극장 || ||<|4> 2014 || [[트레이스 유]] || 구본하 || 140304 ~ 140629 || 유니플렉스 2관 || || [[여신님이 보고 계셔]] || 변주화 || 140426 ~ 140727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살리에르(뮤지컬)|살리에르]] || 모차르트 || 140722 ~ 140831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 || [[쓰릴미]] || 그 || 141210 ~ 150301 || [[DCF 대명문화공장]] 2관 라이프웨이홀 || ||<|2> 2015 || 바람직한 청소년 || 현신 || 150117 ~ 150301 || 동숭아트센터 소극장 || || [[위대한 캣츠비]] [RE : BOOT] || 하운두 || 151107 ~ 160131 || 유니플렉스 1관 || || 2016 || [[팬레터(뮤지컬)|팬레터]] || 정세훈 || 161008 ~ 161105 || 동국대학교 이해랑예술극장 || ||<|2> 2017 || [[틱틱붐]] || 마이클(Michael) || 170829 ~ 171015 || 대학로TOM 1관 || || [[팬레터(뮤지컬)|팬레터]] || 정세훈 || 171110 ~ 180204 ||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 ||<|2> 2018 || 아티스 쇼케이스 || 에릭 || 180330 ~ 180331 || [[충무아트센터]] 소극장 블루 || || [[트레이스 유]] || 구본하 || 181009 ~ 190224 || 대학로 드림아트센터 1관 || || 2019 || [[팬레터(뮤지컬)|팬레터]] || 정세훈 || 191107 ~ 200202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4> 2020 || 어나더어스 || 람 || 200307 ~ 200315 || 동양예술극장 2관 || || [[차미]] || 오진혁 || 200414 ~ 200705 ||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 || [[베어 더 뮤지컬]] || 제이슨 || 200529 ~ 200822[* 원래는 23일까지 공연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수도권에서 확산되자, 하루 조기 폐막했다.]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광주(뮤지컬)|광주]] || 장삼년 || 201009 ~ 201108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3> 2021 || [[광주(뮤지컬)|광주]] || 장삼년 || 210413 ~ 210425 || [[LG아트센터]] || || [[땡큐 베리 스트로베리]] || 로봇 || 210624 ~ 210829 ||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스콘1관 || || [[팬레터(뮤지컬)|팬레터]] || 정세훈 || 211210 ~ 220320 || 코엑스아티움 || ||<|2> 2022 || [[광주(뮤지컬)|광주]][*A '원우준'이라는 예명으로 출연했다.] || 장삼년 || 220415 ~ 220501 ||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 || [[여신님이 보고 계셔]][*A] || 변주화 || 221108 ~ 230301 || 유니플렉스 1관 || ||<|2> 2023 ||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뮤지컬)|나르치스와 골드문트]][*A] || 나르치스 || 230415 ~ 230702 || 대학로 TOM 1관 || || [[판(뮤지컬)|판]] || 달수 || 230919 ~ 231126 || 대학로 TOM 1관 || === 연극 === || '''연도''' || '''제목''' || '''배역''' || '''공연기간''' || '''공연장소''' || || 2013 || [[모범생들]] || 서민영 || 130531 ~ 130929 || 대학로 자유극장 || || 2014 || Almost Maine(올모스트 메인) || 게스트 || 140123 ~ 140223 || 대학로 예술마당 4관 || ||<|3> 2015 || [[모범생들]] || 서민영 || 150508 ~ 150802 || 대학로 자유극장 || || [[트루웨스트]] || 오스틴 || 150813 ~ 151101 || 신연아트홀 || || [[모범생들]] || 서민영 || 150904 ~ 151004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1관 || ||<|2> 2016 || [[킬 미 나우]] || 라우디 에이커스 || 160501 ~ 160703 ||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 || 까사 발렌티나 || 글로리아 || 160621 ~ 160911 || 대명문화공장 2관 라이프웨이홀 || ||<|5> 2017 || [[베헤모스(연극)|베헤모스]] || 태석 || 170201 ~ 170402 ||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 || [[킬 미 나우]] || 라우디 에이커스 || 170425 ~ 170716 ||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 || [[모범생들]] || 서민영 || 170604 ~ 170827 || 드림아트센터 4관 || || [[데스트랩(연극)|데스트랩]] || 클리포드 앤더슨 || 170630 ~ 170822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1관 || || [[오펀스]] || 필립 || 170919 ~ 171126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2관 || || 2018 || [[알 앤 제이]] || 학생 1 || 180710 ~ 180930 || 동국대학교 이해랑예술극장 || === 기타경력 === * 2011~2012 MBN 드라마 <[[뮤지컬 서바이벌 왓츠업]]> 출연 [111203 ~ 120205] * 2014 뮤지컬 이야기쇼 이석준과 함께 10주년[140526 LG아트센터] * 2015 투가이즈쇼 - 게스트[150309 대학로 공간아울] * 2015 더뮤지컬 창간 15주년 기념 콘서트 [150713 [[광림아트센터]] BBCH홀] * 2015 제4회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옥션콘서트[150823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 * 2016 자라섬 뮤지컬 페스티벌 - 뮤지컬 이야기쇼 이석준과 함께 in 자라섬[160903 ~ 160904 경기도 가평군 자라섬] * 2017 더 뮤지컬 페스티벌 인 갤럭시 - 트레이스 유, 뮤지컬 이야기쇼 이석준과 함께[170909 ~ 170910 난지 한강공원] == 여담 == * [[연뮤덕]]들 사이에서의 별명은 '''핫'''. 블랙 메리 포핀스 공연 당시 출연한 라디오에서 ~~자기 입으로~~ 대학로에서 핫한 배우라고 하여 붙여진 별명. 비교적 오피셜한 별명이라 연출, 배우들을 비롯한 공연 관계자들도 이름 대신 심심찮게 부른다. * 초등학교 6학년 때, 학교에서 소풍으로 63빌딩을 갔다가 MBC의 PD에게 길거리 캐스팅을 당한 것을 계기로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MBC의 서프라이즈 같은 재연 드라마에, 점점 분야를 넓혀 SBS과 KBS에 아역으로 출연하게 되었고 EBS의 어린이 드라마와 방학생활 등에도 출연하였다.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 살인사건을 처음 보여줄 때 여자의 속옷을 들고 뛰어다니던 아이로 나오기도 하였다. * 중학교 때 아역배우로 활동했던 것을 바탕으로 담임 선생님께 예고에 가는 건 어떻겠냐는 권유를 받았고 그를 계기로 안양예고에 원서를 넣어 붙었다고 한다. 동기로는 [[장민수(배우)|장민수]], 선배로는 [[강기둥]], [[전성우(배우)|전성우]]가 있다. * [[안양예고]]에서는 1학년 때 부전공을 선택하게 되어있는데, 어렸을 때 춤 추기를 좋아했고 당시 춤을 추며 스트레스를 풀곤 해 현대무용을 전공했다고 한다. 팬레터의 왈츠 장면 등 춤추는 씬에서 빛을 발한다. --몸 쓰는 게 자유자재라 이상한 짓도 잘 한다-- * 그에게 춤을 가르친 스승은 황수현 안무가다. 고교 시절 그에게 춤에 재능이 있다며 배워 보지 않겠냐고 제안했고, 비용 문제로 거절하자 공짜로 가르쳤다. 고1부터 고3까지 현대무용과 탭댄스, 거기에 필요한 발레와 재즈를 배웠다. 대학도 무용과로 진학할 것을 권했으나 연기를 하겠다며 거절했다. * 뉴욕에 있는 친구가 넘버를 보내준 것을 계기로 배우로서 [[스프링 어웨이크닝]]에 출연하기로 마음먹었다. 1년 뒤 한국에 초연이 올라온다는 소식을 들어 오디션을 봤지만 최종에서 떨어졌다. 재연 오디션에서도 한번 더 떨어지고 컴퍼니로 찾아가 간절함을 토로한 후 2주, 갑자기 재오디션을 보러 오라는 전화를 받아 결국 한센 역으로 스프링 어웨이크닝 재연에 출연하게 되었다. * 한센의 상대역인 에른스트 역의 [[전성우(배우)|전성우]]와는 차기작에서 [[쓰릴 미]] 의 "그"와 "나"로 다시 만나게 되었다. 1년 동안이나 [[전성우(배우)|전성우]]와 --(본인 왈) 마르고 닳도록-- 키스를 했고 한동안은 같은 작품에서 만나지 말자며 서로를 피해다녔다고 한다. 그 후론 3년 뒤 [[여신님이 보고 계셔]]의 "류순호"와 "변주화"로 만났다. * 데뷔 초 세고 날카로운 인상 탓에 강한 이미지의 캐릭터들을 주로 맡아왔지만 [[여신님이 보고 계셔]]에서 맡았던 변주화 이후로는 캐릭터의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 2022년 1월 28일 [[다음]] 프로필 상 이름이 '''원우준'''으로 변경된 것이 발견되었고, 이후 2월 3일에는 [[네이버]] 프로필까지 변경되었음이 확인되면서 활동명이 바뀐 사실이 확실시되었다.[* 다만 활동명 변경 당시 이미 공연중이던 뮤지컬 [[팬레터(뮤지컬)|팬레터]]에는 '문성일'이란 이름으로 계속 올라갔다.] 삶의 변곡점에 들어서면서 변화를 주고자 했다고. 작명소에서 받은 한자 뜻을 가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름이 바뀌었어도 핫은 어쨌든 핫~~ 그러나 1년 정도 지나고 나서 2023년 6월 중반경, 본인의 SNS 이름 및 포털사이트 상 이름까지 전부 본명으로 변경하면서 다시 본명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아버지께서 변경한 예명에 적응을 못 하시고 "네 이름이 뭐였지?"라고 매번 물으셔서 결국 다시 본명으로 돌아왔다고 밝혔다. [* 지방 공연 중이던 뮤지컬 [[여신님이 보고 계셔]]에는 '원우준'이란 이름으로 계속 올라갔다.] == 수상 == * 2016 SACA 최고의 연극 배우 남우조연상 * 2017 SACA 최고의 연극 배우 남우조연상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쓰릴 미 역대 배우)] [[분류:한국의 뮤지컬 배우]][[분류:뮤지컬 남배우]][[분류:아역배우]][[분류:1988년 출생]][[분류:오사카시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분류:안양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청강문화산업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