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민훈장 무궁화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B5B40 0%, #1B5B40 20%, #1B5B40 80%, #1B5B40);" '''[[대한민국 국회의원|{{{#FFFFFF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br]{{{#FFFFFF {{{+1 문창모}}}[br]文昌模 | Moon Chang-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1095_5920_1449.jpg|width=100%]]}}} || ||<|2> '''출생''' ||[[1907년]] [[4월 23일]] || ||[[평안북도]] [[선천군]] 남면 삼성리 803번지 || ||<|2> '''사망''' ||[[2002년]] [[3월 13일]] (향년 94세) || ||[[강원도]] [[원주시]] || || '''본관''' ||[[남평 문씨]] || || '''호''' ||야성(野聲) || || '''배우자''' ||이희주 || || '''자녀''' ||1남 1녀 || || '''학력''' ||[[배재학당|배재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2 (의과 / 졸업)}}}[br][[경성제국대학]] [[대학원]] {{{-2 (생물학 / 석사)}}}[br][[경성제국대학]] [[대학원]] {{{-2 (법학 / 석사)}}}[br][[고려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석사)}}}[br][[연세대학교/학부/의과대학|연세대학교 대학원]] {{{-2 (의학 / 석사)}}}[br][[연세대학교/학부/의과대학|연세대학교 대학원]] {{{-2 (의학 / 박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군의관]] [[소령]] 전역 || ||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감리회]])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4대 국회의원|'''14''']] || || '''경력''' ||문이비인후과 원장[br]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특임강사[br]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br]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br]국제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br]인천간호전문학교 특임강사[br]평택대학교 행정학과 석좌교수[br]자유당 당무위원[br]민주공화당 당무위원 겸 상임위원[br]한국독립당 당무위원[br]신민주공화당 고문 겸 당무위원[br]통일국민당 당무위원 겸 최고위원[br]신민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br]자유민주연합 전임고문 겸 당무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rokps.or.kr/1843.jpg|width=150]] || ||[[파일:external/tv.pstatic.net/chosun_400016354.jpg|width=150]] || [[파일:문창모사진.png]] || || 노년기 || || 노년기 2 || 젊은 시절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의료인, 정치인이다. 호는 야성(野聲). 종교는 [[개신교]]([[감리회]])이다. == 생애 == [Youtube(WiWcV3TuHXw)] 1985년 12월 11일 KBS2 <11시에 만납시다> 인터뷰 영상. 1907년 [[평안북도]] [[선천군]] 남면 삼성동[[http://minkwa.org/bbs/board.php?bo_table=columns&wr_id=301&sst=wr_datetime&sod=desc&sop=and&page=14|#]]에서 [[서울대학교/학부/농업생명과학대학|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하고 훗날 선천금융조합장을 역임하는 문승훈(文勝勳)의 아들로 태어났다. [[배재학당|배재고등보통학교]],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현 [[연세대 의대]]) [[이비인후과]] 과정을 졸업하였다. 배재고등보통학교 5학년에 재학중이던 1926년 6월 10일 [[6.10 만세 운동]]이 서울에서 전개되자 참여했다. 하지만 시위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는 바람에 경찰의 탄압으로 만세운동이 더이상 지속되지 않자, 그는 서울 서대문에 있는 피어선성경학교 기숙사에서 서울시내 고등보통학교(高等普通學校) 대표자들과 회합을 가진 뒤 제2의 6.10 만세 운동 거사 계획을 협의했다. 그는 격문과 선전문을 작성, 인쇄하는 책임을 맡았다. 6월 18일 거사계획이 발각되어 경찰에 체포되었지만 6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기소유예 처분을 받고 석방되었다. 이후 [[의사]]로 활동한 그는 1932년 황해도 해주의 구세병원 의사로 기반을 잡았고, 1938년 감리교총회 대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정춘수]], [[윤치호]] 등 친일 기독교인들이 함리감리교회를 일본 메소디스트 교회에 종속시키기 위한 행각을 벌이자 반대투쟁을 전개했다. 1941년 3월 정춘수 등이 국민총력(國民總力) 조선기독교감리회연맹 명의로 감리교 3부연회를 해산하고 일본의 교단규칙에 따라 일본기독교조선혁신단(日本基督敎朝鮮革新團)을 창립하려 하자, 1942년 10월 해주 대표로 총회에 참석하여 [[이규갑]], 조신일(趙信一) 등과 함께 정춘수의 불신임안을 결의했다. 그러나 1943년 10월 정춘수가 일제의 비호로 다시 교권을 장악하면서 무위로 돌아갔다. [[8.15 해방]]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 겸 해주시장으로 잠시 활동하다가 공산주의자들의 체포를 피해 월남했고, [[마산]]결핵요양소 [[소장]], [[세브란스병원]] [[원장]], 대한결핵협회 사무총장, 원주기독병원(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원장, 원주문이비인후과 원장 등을 지냈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육군]] [[군의관]]으로 종군(1949년부터 1955년까지 복무)했다. 대한결핵협회 사무총장으로 재직할 당시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크리스마스 씰]]을 발행하는데에 기여하는 등 결핵퇴치 운동에 앞장섰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기도]] [[김포시|김포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무소속]] [[정준(정치인)|정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강원도]] [[원주시]]-원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박영록(정치인)|박영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국민당]] 전국구 국회의원 제1번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5년 모교인 연세대학교에서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과 명예 박사 학위를 받은 것이 인연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시 역대 국회의원 중 최고령 당선자(만 84세)로 주목받았다. 참고로 해당 선거에서 지역구 당선자 중 최고령은 [[민주당(1991년)|민주당]] [[홍영기(1918)|홍영기]](만 74세)였다.[* 반대로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자는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통영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만 26세로 당선된 [[김영삼]] 당시 민주자유당 총재였다.] 이 덕에 보기드문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당시 규정에 따라 최다선 의원이 아니라 최고령 의원이 임시의장을 맡도록 되어있어,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선출을 진행하기 위해서 초선에 제3당 의원임에도 불구하고 최고령인 문 의원이 임시 의장을 맡았던 것이다.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 의정 활동으로 바쁜 와중에도 그가 경영하던 원주의 문이비인후과 병원에서 새벽 진료를 본 후 서울 의사당으로 올라가고, 다시 원주로 내려와 진료를 하는 바쁜 나날을 보내야만 했다고 한다. 이 때 의사당으로 출근할때에도 항상 청진기와 진료가방을 가지고 갔다고 하니, 천생 의사였다는 평이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이후 1996년에 임기 만료 후 평범한 의사이자 야인으로 되돌아갔고, 무려 94세인 2001년까지 의료 활동을 하다가 건강상의 문제[* 손에 마비가 와서 더 이상 진료를 볼 수가 없었다고 한다.]로 의료 활동을 그만둔 뒤 이듬해인 2002년 3월 13일에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문창모에게 건국포장을 수여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김포군 || [include(틀:자유당)] || 15,342 (38.65%) || 낙선 (2위) ||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 2[* 원주시, 원성군] || [include(틀:민주공화당)] || 17,127 (30.45%) || 낙선 (2위) ||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include(틀:통일국민당)] || '''3,574,419 (17.37%)''' || '''당선 (1번)''' || '''초선'''[* 역대 최고령 국회의원 당선자. (84세 5개월)][* 3번의 선거 중 첫 당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전국구)]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통일국민당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94년) 국회의원]][[분류:자유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남평 문씨]][[분류:선천군 출신 인물]][[분류:1907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분류:실향민]][[분류:의료인 출신 정치인]][[분류:건국포장]][[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분류:대한민국의 감리회 신자]][[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