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교의 신)] ---- ||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사마진 반란 지도자)] ---- [include(틀:원 시기 비황족 황제 추존자)] ---- [include(틀:역대 서 황제)] }}} || ---- ||<#800080><-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F015F 0%, #800080 20%, #800080 80%, #5F015F); color: #ece5b6" '''촉 초대 국왕[br]{{{+1 黑龍王 | 흑룡왕}}}'''}}} || ||<-2><#004db1> {{{#fff '''원 비황족 추존 황제''' [br] {{{+1 '''宏仁帝君 | 굉인제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fff '''서 추존 황제 [br] {{{+1 太祖 高皇帝 | 태조 고황제}}}'''}}}}}} || ||<-2><#000000> {{{#fff '''도교 제군'''}}}[br]{{{#fff {{{+1 '''文昌帝君 | 문창제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清初铜铸文昌帝君漆金造像.jpg|width=100%]]}}} || || '''[[묘호|{{{#FFFFFF 묘호}}}]]''' ||'''[[태조]](太祖)''' || || '''[[시호|{{{#ffffff 시호}}}]]''' ||고황제(高皇帝) || || '''{{{#FFFFFF 봉호}}}''' ||촉왕(蜀王) || || '''{{{#FFFFFF 연호}}}''' ||흑룡(黑龍, 374.6 ~ 374.9) || || '''{{{#FFFFFF 성씨}}}''' ||장(張) || || '''{{{#FFFFFF 휘}}}''' ||육(育) 또는 아자(亞子) || || '''{{{#FFFFFF 부왕}}}''' ||[[황제(중국 신화)|황제]] || || '''{{{#FFFFFF 생몰}}}''' ||? ~ [[374년]] 9월 || ||<|2> '''{{{#FFFFFF 재위}}}''' ||<#800080>'''{{{#ece5b6 장촉 초대 국왕}}}''' || ||374년 6월 ~ 374년 9월 (4개월)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신]](神)으로 [[학문]]을 관장한다고 한다. [[도교]]에선 [[업적]]과 [[명성]], 녹봉과 [[작위]]를 관장하는 신으로 추앙한다. 장육(張育)[* ? ~ [[374년]]. 비수대전 당시 전진을 막다 전사한 인물로 장아자=문창제군과 동일시되었다.], 문창제군(文昌帝君), 재동(梓潼), 제순왕(濟順王)[* [[당희종]] 추존.], 괴성(魁星), 재동제군(梓潼帝君), 문창제(文昌帝), 영현왕(英顯王), 온조(瘟祖), 뇌응제군(雷應帝君) 등 여러 이명이 있다. [[원인종]] 시기 굉인제군(宏仁帝君)으로 추존되어 황제(帝)와 신(神, God)을 겸하는 [[신황]](神皇)이 되었고, [[명말청초]] 시기 [[서나라]]를 세운 [[장헌충]]이 그의 묘호를 태조(太祖), 시호를 고황제(高皇帝)로 추존하여 장씨의 시조가 되었다. == 존호 == ||<#dcdcdc,#000> 왕조 ||<#dcdcdc,#000> 추증인 ||<#dcdcdc,#000> 존호 || || [[동진]] || 민간 || 뇌택용왕(雷澤龍王) || ||<|2> [[당나라]] || [[당현종]] || 좌승상(左丞相) || || [[당희종]] || 제순왕(濟順王) || ||<|3> [[송나라]] || [[송진종]] || 영현무열왕(英顯武烈王) || || [[송광종]] || 충문인무효덕성렬왕(忠文仁武孝德聖烈王) || || [[송이종]] || 신문성무효덕충인왕(神文聖武孝德忠仁王) || || [[원나라]] || [[원인종]] || 보원개화문창사녹굉인제군[br](輔元開化文昌司祿宏仁帝君) || || [[서나라]] || [[장헌충]] ||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 ||<|6> - ||<|6> [[도교]] || 칠곡산뇌택신룡제도대왕(七曲山雷澤神龍濟渡大王) || || 개화보덕굉인대제(開化保德宏仁大帝) || || 구천거사제온굉인교충포효조사(九天去邪除瘟宏仁教忠布孝祖師) || || 천조계적사록진군(天曹桂籍司祿真君) || || 구천육양칠곡삼궁문무열재동제군(九天六陽七曲三宮文昌武烈梓潼帝君) || || 소겁행화경생영명천존(消劫行化更生永命天尊) || == 역사 == [[북두칠성]] 중 첫 번째 별. 뛰어난 문장가는 이 별과 응하고 있다 하며 문창성에 소원을 빌면 [[과거 시험]]에 급제한다는 전설이 있다. [[명나라]], [[청나라]] 시기 학문의 신 문창제군(文昌帝君)은 이 별을 [[신격화]]([[의인화]])한 것이며 일설에는 [[삼황오제]]의 [[황제(중국 신화)|황제]]의 아들 공손휘(公孫揮)가 문창제군이라고 한다. [[명사(역사책)|명사]]에선 촉(蜀) 칠곡산(七曲山)[* 現 [[쓰촨성]].]에 거주한 장아자(張亞子)와 동일시되며 [[동진]]의 [[벼슬아치]]로 [[비수대전]]에서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의 침략을 막기 위해 촉왕(蜀王)을 자칭하고 흑룡(黑龍)으로 개원하여 싸우다 [[전사]]했는데 후세 사람들이 그의 용맹함을 기리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고 한다. 장아자는 [[당현종]] 시기엔 [[안사의 난]]을 피해 칠곡산에 머무른 현종의 꿈에 나타나 [[태상황]]이 될것이라 예언했고 실제로 [[당숙종]]이 즉위하자 현종은 장아자를 좌승상(左丞相)으로 추존하였다. 881년 [[당희종]]이 [[황소의 난]]을 피하는 과정에서 칠곡산을 지나갈 때 그를 제순왕(濟順王)으로 한차례 추봉했으며, 희종의 추존 사례를 계기로 장아자는 전국에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송나라]] 시기엔 영현왕(英顯王)으로 [[추존]]되었으며 [[원인종]]은 [[1316년]], 그를 보원개화문창사록굉인[[제군]](輔元開化文昌司祿宏仁帝君), 약칭 문창제군(文昌帝君)으로 추존하였다. 이후에도 문창제군은 후에 [[장헌충]]이 [[서나라#s-3|대서]](大西)를 세운 후 태조(太祖) 고황제(高皇帝)로 추존[* 《蜀碧》: 贼所过处,公廨、民居、园林、亭馆、寺观、楼阁,悉为瓦砾,所存者惟文昌、关帝二祠。盖关帝,秦人所尊,而文昌则彼推尊为'''太祖高皇帝'''者也。故重修七曲山(在梓潼)大庙,又建关帝祠於东,皆极钜丽]되었다. == 참고 항목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3401&cid=60583&categoryId=60583|재동제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문창성, version=12)] [[분류:별의 신]][[분류:학문의 신]][[분류:추존된 왕]][[분류:원나라의 추존 왕]][[분류:추존된 황제]][[분류:비정통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