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DbhLolseuhA, width=640, height=480)] [목차] == 개요 == '''[[해병대]] [[마샬 아츠]] [[프로그램]](Marine Corps Martial Arts Program, MCMAP)''' [[미 해병대]]의 맨손 격투술 훈련을 일컫는다. 미 해병뿐 아니라 미 해병대에 배속된 미 해군 장병들도 받는다. 흔히 매크맵(MCMAP)이라고 부른다. 전신은 LINE(Linear Infighting Neural Override Engagement)이다. LINE이란 론 돈비토(Ron Donvito)가 미 해병대에 근무하면서 [[태권도]], 마츠카지류 주짓수(Matsukazi-Ryu Jiu-Jitsu), 미치 무도류 주짓수(Michi Budo Ryu Jujitsu), [[극진공수도]], [[소림사 권법]], 잇신 무도 체술(Isshin Budo Taijitsu), [[유술|일본 유술]], [[오키나와 테]] 등 여러 무술을 조합한 무술체계이다. LINE은 민간인 대상 작전에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공격적이었기 때문에 개발된 것이 MCMAP이다. 2002년도부터 미 해병대 격투 프로그램이란 이름으로 보급을 시작했다. 곤봉 체포술이나 폭동진압술 등이 강조되었다. == 체계 == === 기술 === 기본적으로 맨손 무술과 함께 [[총검술]], [[나이프 파이팅]] 등의 냉병기 사용법을 가르치며 육체적인 훈련 외에도 군생활과 전쟁터에서 필요한 심신을 단련하기 위한 정신교육도 동반되고 지도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공식적으로는 [[브라질리언 주짓수]], [[레슬링]], [[유도]], [[씨름]], [[스모]], [[삼보(무술)|삼보]], [[인술|부진칸 무도 체술]], [[권투|복싱]], [[사바트]], [[오키나와 테]], [[가라테|잇신류 가라테]][* 기본 주먹을 종권으로 지르는 것이 특징인 전후 오키나와 발생 가라테 유파 중 하나. 창시자가 일제 패망 이후 개인적인 고전 가라테 부흥 운동이라도 한것인지 아예 판가이눈 "쿵푸"라는 이명까지 가진 그 우에치류보다 더 토속적인 기술 구성을 보여주며, 많은 카타를 하진 않지만 슈리테, 나하테, 토마리 테의 것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영문 위키에 따르면 오키나와에 주둔했던 미 해병대 출신 인물이 이 유파의 10단까지 올랐다는데 아마 그 인연으로 편입된 듯하다.][* 가라테보단 오히려 쿵푸에 가까운 움직임과 아예 신념적 이유로 허리 아래로 깔아버린 듯한 발차기 등. 굳이 동영상 찾아보기 귀찮은 이들을 위해 예시를 들자면 고전 가라테 + 영춘권 식 발기술 위에 형의권의 손기술을 얹은 느낌인데 그냥 보면 쿵푸도 가라테도 아닌게 애매하고 빈약하고 소박해 보이지만, CQC라는 개념이 유행한 이후 생겨난 수많은 근접격투 방법론이 어떠한 스타일인지/ 어떠한 방법론을 공유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체간을 유지한 채 작은 동작으로 목표만 타격하고 빠지는 잇신 류의 방식이 상당히 쓸만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극진공수도]], [[무에타이]], [[킥복싱]], [[태권도]], [[쿵푸]], [[아이키도]], [[합기도]], [[칼리 아르니스]], [[픈착 실랏]], [[유술]], [[크라브 마가]], [[시스테마]], [[대동류 합기유술]], [[소림사 권법]], [[카포에라]], [[검도]], [[발도술|거합도]], [[일본 고류 무술]], [[서양 검술|유럽 검술과 단검술]], [[영춘권]], [[절권도]], [[케이시 파이팅 메소드]], [[특공무술]]등의 장점을 고르고 골라 도입했다. 수많은 전통 무술들이 포함되었는데, 미군은 미국과 교류하는 나라의 각종 격투기들을 유파에 상관없이 받아들이고 배웠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후술할 무술들의 기술만 사용되는데 [[종합격투기]]의 발전과정에서 살아남은 무술들과 많이 겹친다. 가장 실전적인 일부 무술들의 액기스만 추려낸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맨몸 격투술이 아니기에 몇몇 무기술과 옷을 이용한 유도식 메치기가 포함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복싱]]: 펀치, 풋워크, 방어 기술. * [[무에타이]]: 킥, 엘보우, 니킥, 빰 클린치. * [[킥복싱]]: 복싱과 무에타이의 절충.[* 기술 범주만 놓고보면 무에타이의 하위호환으로 여겨질 수 있고 스텝 측면에 있어서도 복싱에 밀리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편견으로 킥복싱만의 특장점 역시 분명히 존재한다. 해당 항목 참조.] * [[칼리 아르니스]]: [[나이프 파이팅|단검술]], 곤봉술. * [[레슬링]]: 클린치와 태클. * [[유도]]: 상대방의 의복을 이용하는 테이크다운. * [[브라질리언 주짓수]]: [[관절기]], [[초크]], [[스윕]], [[가드패스]] 등 그라운드 기술. * [[종합격투기]]: 더티복싱, [[파운딩]], [[사커킥]], 4점니킥, [[스탬핑]], 업킥. * 대부분의 격투기에서 금지하는 기술들: [[박치기]], [[로블로]], 키드니 블로, [[래빗 펀치]], 눈찌르기, 깨물기 * [[총검술]] * [[사격 전술]] === 승단 === 기존의 동양 무술처럼 벨트 체계가 있으며, 벨트에는 [[탠]]([[탄색]])→그레이([[회색]])→그린([[녹색]])→브라운([[갈색]])→블랙([[검정]]) 순이며 벨트가 올라 갈수록 새로운 기술을 배운다. 탠 벨트 : 27.5시간의 훈련 이수 후 부여.[* 모든 [[해병]]이 [[기초군사훈련]] 중 필수적으로 이수.] 그레이 벨트 : 25시간의 훈련 이수 후 부여.[* 훈련 대상은 [[상병]] [[진급예정]]자.] 그린 벨트 : 25시간의 훈련 이수 후 부여.[* [[교관]] 자격 취득 가능.] 브라운 벨트 : 33시간의 훈련 이수 후 부여. 블랙 벨트 : 40시간의 훈련 이수 후 부여. === 교육과정 === 체력단련→기술 배우기→겨루기→체력단련 순서로 반복한다. == 매체에서 == [[히스토리 채널]]의 [[인간 병기]]에 미 해병대 격투 프로그램이 소개되었다. [[분류:격투기 무술]][[분류:미합중국 해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