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쿠바 국가주석)] || '''{{{#fff 미겔 디아스카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ㆍ 접기 ] [include(틀:역대 쿠바 국가이사회 위원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6A8 0%, #0773BA 20%, #0773BA 80%, #0166A8)" '''[[쿠바 공화국 주석|{{{#febe00 제1대 쿠바 공화국 국가주석}}}]][br][[쿠바 공산당|{{{#febe00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br][[쿠바군|{{{#febe00 쿠바 혁명무력 총사령관}}}]][br]{{{#ffc224 {{{+1 Miguel Díaz-Can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미겔 디아스카넬...jpg|width=100%]]}}} || ||<-2> {{{#fff '''{{{+1 Miguel Mario Díaz-Canel Bermúdez}}}[br] {{{+1 미겔 마리오 디아스카넬 베르무데스}}}'''}}} || || '''{{{#febe00 출생일}}}''' ||[[1960년]] [[4월 13일]]([age(1960-04-13)]세) || || '''{{{#febe00 출생지}}}''' ||[[쿠바]] 비야클라라 주 플라세타스 || || '''{{{#febe00 국적}}}''' ||[[쿠바|[[파일:쿠바 국기.svg|width=28]] 쿠바]] || || '''{{{#febe00 학력}}}''' ||라스 비야스 마르타 아브레우 대학 {{{-1 ([[전자공학]] / [[학사|B.S.]])}}} (1978 ~ 1982년) || || '''{{{#febe00 가족}}}''' ||배우자[br]마르타 디아스카넬 ([[이혼]]) [br]리스 쿠에스타 페라자 디아스카넬 [br] 슬하 : 2명 || || '''{{{#febe00 약력}}}''' ||쿠바 공화국 국가이사회 제1부위원장[br]쿠바 공화국 국가이사회 위원장[br]쿠바 공화국 내각 수상[br]'''쿠바 혁명무력 총사령관 ,,([[2018년]] ~),,'''[br]'''쿠바 공화국 국가주석 ,,([[2019년]] ~),,'''[br]'''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 ,,([[2021년]] ~),,''' || || '''{{{#febe00 정당}}}''' ||[include(틀:쿠바 공산당)] (1993 ~) || || '''{{{#febe00 직업}}}''' ||정치인, 엔지니어 || || '''{{{#febe00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iazcanelb, 크기=24)] || [목차] == 개요 == [[쿠바]]의 [[정치인]]이자 국가주석이다. [[쿠바 혁명]] 직후 [[1960년]]에 태어났으며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쿠바의 국가이사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국가이사회 위원장직은 현재 [[인민주권민족회의]](국회) 의장인 에스테반 라소 에르난데스가 겸임하고 있다.], 2019년부터 [[쿠바 공화국 주석]]([[대통령]]), 2021년부터 [[쿠바 공산당]] [[서기장|제1비서]]로 재직하고 있다. == 생애 == [[1960년]] 출생으로 [[1993년]]에 공산당에 입당했고, 이후로 업무능력을 인정받아 빠르게 승진하며 최연소 중앙정치국원이 되었고, [[2009년]]에 고등교육상(고등교육장관)을 지냈다. 개인적으로 [[라틴아메리카]] 추세에 따라 [[동성애]]에 관대하고, 평소에도 로큰롤 음악을 즐겨들으며, [[인터넷]]의 [[보급]]을 더욱 늘리자고 제안하는 등 [[라울 카스트로]]보다 개방적인 인물로 알려졌다. 하지만 [[TV]]에 자주 출연하거나, 논쟁적인 인물은 아니었기 때문에 쿠바 대중들에게 그리 인상깊게 남은 [[인물]]은 아니었다. 그래도 [[2012년]]부터 [[후계자]]로 언급되기 시작하더니 이후로 라울 카스트로와 함께하면서 후계자 [[수업]]을 받았고, 2018년에 공식적으로 국가이사회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쿠바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 재임 기간 == 일단 최우선적으로 [[2016년]] 이후로 침체되어있는 쿠바의 [[경제성장률]]을 다시 끌어올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쿠바와의 [[관계]]에 부정적인 인물이라서[* 사실 트럼프도 처음 출마했을 때만 해도 이렇게 부정적이지는 않았지만 이후로 [[공화당]]과 [[쿠바계 미국인]]의 반발을 의식해서 강경한 자세가 되었다.] 적어도 그가 재임하고 있는 이상, [[미국]]의 지원을 받기 힘들 것으로 여겨진다. 때문에 자체적으로라도 경제개혁에 나서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미국은 쿠바를 불신하며 미국으로부터의 경제지원이 뒷받침되지 않는 이상, 쉽지 않을 전망이다. 쿠바의 헌법이 [[시대]]의 변화에 발을 못 맞추었기 때문에 손을 봐야한다는 [[여론]]이 당내에서 많았다는 것을 감안하여[* 현행 쿠바 헌법이 [[1976년]]에 제정되었는데 그 동안 쿠바가 [[소련 붕괴]]로 인해 크게 타격을 입으면서 국가적인 생존을 위해서 관광업을 진흥시키고 자영업도 허가되면서 시장화가 촉진되었고 냉전시대의 쿠바와는 경제체제면에 있어서 완전히는 아니지만 여러모로 차이가 많이 나게 되었다. ] 헌법 개정에 나서고 있다. 그리고 [[7월]]에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4&sid2=235&oid=081&aid=0002931507|새 헌법 개정안이 나왔으며]], 새 개헌안에는 공산당 일당 체제 유지를 하면서 점진적으로 변해가는 체질로 변화할 예정이며, 사유재산권과 시장경제 첫 인정, [[외국인]] 투자의 중요성과 인터넷의 역할 인정, 중임(총 10년)만 허용하는 국가이사회 위원장(대통령)의 [[임기]] 제한 및 연령 제한(60세 이하로 첫 임기 시작), 권력 분산과 정부 운영 감독을 위한 총리직 부활, 인민주권민족회의를 [[모델]]로 한 지방인민회의 폐지 등 지방 정부 개편, 성 [[정체성]]에 기반을 둔 차별금지 원칙 명문화, [[무죄 추정의 원칙]] 도입, [[결혼]]은 남녀 간 결합 문구 삭제 등이 담겨있다. [[2019년]] [[2월 24일]]에 [[국민투표]]를 가질 예정이며, [[2019년]] [[8월 14일]]에 [[피델 카스트로]] 생일을 맞아 새 헌법 발효일로 정했다. 새 헌법에 대한 캠페인을 벌였고.[* 그러면서 은근 슬쩍 베네수엘라 마두로 정권 지지 방송은 덤.] 당초 찬성표가 70%대까지 내려앉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투표 결과는 87% 찬성으로 나왔다. 그래도 쿠바의 역대 투표 결과를 보면 아주 낮게 나온 것은 아니지만 높게 나온 것도 아니기 때문에 대충 무난하게 나온 수준이기는 하다. 다만 [[1976년]] 국민투표와 비교해볼 때 반대표와 무효표를 합쳐서 13%가 나왔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 [[4월]]에 인민주권민족회의 폐회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양국관계를 수십 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시켰다고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0761871|#]] [[10월 10일]]부로 국가원수직의 주석이 부활하였고, 총리는 3개월 내 임명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135623|#]] [[12월 21일]]에 관광상(관광장관)이었던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Manuel Marrero Cruz)를 총리로 임명했다. [[2020년]] [[12월 10일]]. 2021년부터는 기존의 이중화폐 정책을 폐지하고 [[페그|24페소를 1달러로 연동하겠다고]] 선언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01211123400009|#]] [[2021년]] [[4월 16일]]. [[전당대회]]에서 [[라울 카스트로]]가 공식적으로 물러나게 되면서 명실상부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에 오른다. [[2021년]] [[7월]]에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난에 항의하는 국민들의 시위가 발생하자 해결하지 않고 미국의 경제제재 탓으로 돌리고 시위를 폭력진압하여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시위가 커지자 결국 일부 [[책임]]을 인정하였다.[[https://m.yna.co.kr/view/AKR20210715148000009?section=international/all|#]] 결혼을 성별과 무관하게 ‘두 사람간 자발적 결합’으로 변경, 동성결혼을 허용하는 가족법 개정안이 66.87%의 찬성률로 국민투표를 통과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464335?sid=104|#]] 디아스카넬 본인도 트위터를 통해 투표 참여를 독려하였다. [[https://twitter.com/diazcanelb/status/1574002963990908928?s=46&t=yN6hDd84vzmIv7d80BVHKA|#]] 2023년 4월 19일. 국가주석 재선으로 간선제 선출 결과 유효표 460표 중 찬성 459표(97.66%)를 얻었다. 이날 회의에는 지난달 총선에서 선출된 전체 의원 470명 중 462명이 참석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420013600087?section=international/all|#]] == 기타 == * [[2015년]]에 국가이사회 제1부위원장 신분으로 [[북한]]을 방문하여 [[김정은]]과 만난 적이 있다. 그리고 의장에 오른 이후 2018년 해외 순방을 통해 다시 만났다. 북한 방송에서는 그의 풀네임과 직함을 전부 불러준다. '[[쿠바|꾸바공화국]] 내각수상 겸 국가리사회 위원장 미겔 마리오 디아스까넬 베르무데스동지'라고 불러주는데, 북한에서는 국내든 외국이든 [[국가원수]]나 [[정부수반]]의 [[이름]]과 직함을 함부로 줄여 부르지 않는다. * 북한 등의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미겔 디아스카넬의 직명(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 Cuba)을 [[주석(직위)|주석]]으로 소개하고 있다.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대통령으로 부를 수도 있지만 공산국가라는 점 때문에 국가주석이라는 명칭이 선호된 모양이다. [[영어]]로는 모두 [[대통령]]을 뜻하는 [[president]] 로 번역된다. 영어에선 [[대통령]], [[국가주석]], ([[대만]] 등 [[중화권]]의)[[총통]] 모두 [[president]]라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공산주의 국가의 지도부 일람)] [[분류:1960년 출생]][[분류:비야클라라 주 출신 인물]][[분류:쿠바 공산당 제1비서]][[분류:쿠바 국가주석]][[분류:쿠바 고등교육상]][[분류:아메리카의 독재자]]